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income level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s' vocabulary abilit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s' vocabulary ability. The subjects were 64 in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income level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s' vocabulary abilit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s' vocabulary ability. The subjects were 64 infants and their mothers. This study used the The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Korean(MCDI-K), which was modified by Lim(2002) and Kim(2006) to measure infants' vocabulary,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by PSQ(Parental Style Questionnaire, Bornstein, et al., 1996).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s.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levels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e mothers in middle-income family showed more social exchange and didactic behavior than the mothers in low-income family.Second, income level and infants' ag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ir vocabulary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fants in middle-income and the infants in low-income vocabulary of scores. According to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he scores of the infants in low-income were lower than the infants in middle-income.Thir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s' vocabulary scores. The more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showed, the higher vocabulary score of infants in low-income and in middle-income.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과 일반 가정의 19~30개월 영아와 어머니 64쌍을 대상으로 가정의 소득 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영아 어휘력의 차이와 어머니 양육행동과 영아 어휘력의 관계...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과 일반 가정의 19~30개월 영아와 어머니 64쌍을 대상으로 가정의 소득 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영아 어휘력의 차이와 어머니 양육행동과 영아 어휘력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영아 어휘력은 MCDI를 기초로 임용순(2002)과 김의향(2006)이 우리나라 영아를 대상으로 수정 보완한 어휘목록을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미국 NICHD에서 한국어로 번안한 PSQ(Parental Style Questionnaire, Bornstein, et al., 1996)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 이원분산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저소득과 일반 가정의 어머니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일반 가정 어머니가 애정, 반응, 상호적 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사회적 양육행동과 사건과 사물 등을 설명해주고 관찰하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교수적 양육행동을 저소득 가정 어머니보다 더 많이 나타내었다.둘째, 가정의 소득 수준과 연령에 따라 영아의 어휘력은 차이가 있었다. 일반 가정의 영아가 저소득 가정 영아에 비해 이해, 표현, 전체어휘의 평균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셋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영아의 어휘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보일수록 영아의 이해어휘력과 전체어휘력이 높게 나타났다.결론적으로 가정의 소득 수준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영아의 어휘력에 영향을 주며 영아기 어머니의 바람직한 양육행동은 영아기 어휘습득에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활용도 분석
View
Usage
Sha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