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의 부분 이미지를 통해 본 기호적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 연구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는데 있어서 인간은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에 대해 생각한다. 인간은 외부세계 즉 타자와의 접촉으로 인간의 정신속 ‘주체’ 즉 ‘자기’ 또는 ...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는데 있어서 인간은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에 대해 생각한다. 인간은 외부세계 즉 타자와의 접촉으로 인간의 정신속 ‘주체’ 즉 ‘자기’ 또는 ‘나’만의 개별적인 경험을 가지게 된다.
역사 이래 인간은 외부세계, 즉 타자의 무의식을 이해하기 위해서 서로를 끊임없이 탐색하는 과정을 언어에 의존하였다. 주체와 타자간의 언어적 소통은, 인간의 사고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한계를 드러낸다. 그것은 언어가 인간의 무의식의 범주까지 도달 할 수 없으며, 언어소통 만으로는 타자와의 관계에 있어서 완전함이란, 존재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언어자체는 차이의 체계일 뿐 타자의 본질을 완전히 이해하는데 있어서 불충분한매체이기 때문이다. 연구자의 작업은 언어가 서로를 이해하는데 있어 단절을 내재하고 있으며 보편적인 언어가 아닌 다른 기호나 형태적인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의사를 전달하며 표현하고 싶은 내용을 기호나 형태적인 수단으로 표현하고 있다. 일반적인 언어가 아닌 소통을 위해서 설치한 공간과 공간의 상황, 인체의 특징적 부각, 상징적 이미지의 변화 등을 요소로 사용하여 의사소통의 수단임을 제시, 시도 하고자한다. 전시 "UMUM" 의 조형작업은, 아직 사회화된 형태로 규정되기 이전의 언어소통 형태인 ‘옹아리’ 즉 "UMUM.."이라는 표제를 부여함으로서, 사회적 소통과정에 접어드는 자신의 개인사적 입장을 표현하고 있다.
언어인류학계의 상식을 잠시 빌어 부연해 보자면, 알파벳의‘M’, 우리말의 ‘ㅁ’에 해당하는 음가(PHO)는 모든 문화권의 언어표현에 있어 자신을 생산하고 양육해준 여성을 칭하는 말(한국어의 ‘엄마’ 영어의 ‘mom' 'ma’ 등은 생기해보라.)에 쓰이고 있다. 옹아리는 ‘지금’, ‘거기’에 살고 있는 자기의 모습을 가장 진실한 형태로 형상화한 것으로 인간소통의 근본적인 물음을 통해 예술생성자체와 존재론적인 가치에 관한 것으로 해석하고, 인간 의사소통의 근본매개인 언어를 오브제를 통해 연구자만의 조형언어로 구성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입을 캐스팅하는 작업을 하였으며 입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과 상징적 이미지를 오브제작업을 통해 제작하였으며, 조형적 측면으로써의 소통의 장으로 입을 상징적으로 제시하여 소통의 의미와 본인의 작업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설치를 통해 전시의 영역을 확장시켜 나가는 과정을 설명하게 될 것이다.

The 'subject' in human spirit occurred due to the idea of 'how other people think of oneself' while human beings make up and maintain society is typical of being unique formed by the contact with outer world through the viewpoint of 'self' or 'I.' In...

The 'subject' in human spirit occurred due to the idea of 'how other people think of oneself' while human beings make up and maintain society is typical of being unique formed by the contact with outer world through the viewpoint of 'self' or 'I.'
In history, humans have solely relied on language during their endless quest for each other so as for them to have an understanding of unconsciousness of the outer world, namely others. However, language itself has been simply a system of differences so that it would be an insufficient medium to completely understand the essence with others. Humans have used language to communicate with others, but there have been always a certain degree of limitations in the expression of human thought. That would signify that language could not reach the category of humans' unconsciousness, nor could there be perfe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This study clearly recognized the disconnection in understanding each other with language and suggested that communication could be successful not in the form of universal language, but with the aid of other signals or morphological methods and what to be conveyed and expressed could be represented through these methods in my work.
New methods of communication such as installation-oriented situation between space, noticeable empha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ody and change of symbolic images, not such as general language, were used to prove and suggest they could be newly adopted communication methods.
Regarding the formative work of Exhibition "UMUM", the personal view of the artist who was about to enter the social communication process was expressed, by endowing the work with 'babbling' (linguistic communication form before being defined as socialized) or "UMUM.." as its title. According to the common sense of the world of linguistic anthropology, the PHO corresponding to the letter 'M' of English alphabet and the Korean letter ‘ㅁ’has been used as a word indicating a woman who gave birth to and raise one in terms of the linguistic expression from every culture (think of 'eomma' in Korean and 'mom' or 'ma' in English!). In this regard, the babbling embodied one's feature that lived 'right now' 'over there' most clearly. Through the fundamental question of human communication, it was interpreted as the generation of art itself and ontological values. In addition, through the work of formulating an oral structure of human being, the artist attempted to construct and reveal it as her own formative language for the said questions by means of an objec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basic medium of human communication - language. The artist performed the casting of a mouth and created various symbolic images showing diverse functions of a mouth in the form of installation using an object.
The study attempted to explain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and the working methods of the artist, by suggesting the mouth symbolically as a place for communication in terms of formative aspects. The study would further expla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range of the exhibition through installation.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