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s, which express human emotions, embody every situation in different ways. While language can be used as explanation for presenting purpose, it can also be use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hat is, languages are used by tacit rules which are ...
Languages, which express human emotions, embody every situation in different ways. While language can be used as explanation for presenting purpose, it can also be use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hat is, languages are used by tacit rules which are prescribed in diverse regulations such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speakers, places, time and so on. The use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s one of the ways used to express one's opinion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 complicated situation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materials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Japanese learners who are studying these kind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n spite of the similar grammar structure, there are many differences with regard to the use of vocabular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alyzing contrastively both languages, I tried to find out the similarity in the region of morphology and sense. Then, it was followed that the focus on the construction of basic materials related with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was made for Japanese learners.
I chose a Japanese cartoon 'One Picec' as a resource of culture because lot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appeared there. I also classified 20 Korean and Japanese versions each on the standard of morphology, I identified 3503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n Korean versions and 3530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n Japanese versions. Words classified by the basis of morphology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basic type words, transformational type words, compatible type words. With this result, I analyzed both languages and presented a sample survey on the basis of the similarity in meaning and frequency.
With words identified by the aspect of the sense, I classified them into five senses again: the sense of sight, hearing, touch, taste and smell. The area of the sense used mainly with mimetic words was visual. In the area of hearing and touch, the frequency of onomatopoeia was high. There were few words about the sense of hearing and tast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use of sensory words, I found out that Korean words were more various than Japanese. Especially, as for words for the sense of sight and hearing, Korean language was used more diversely than Japanese. Instead, Japanese language had various words in the sense of touch.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words classified by senses, I prepared the basic learning materials about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To verify the connection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I compared my standard with that of the followings: Korean Language for Beginners 1 published by Kyung-Hee University, Korean Language for Beginners 2,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1,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2, Advanced Korean Language 1, Advanced Korean Language 2; Korean Language 1 by Korea University, Korean Language 2, Korean Language 3, Korean Language 4; Korean Language 1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Language 2, Korean Language 3, Korean Language 4; Korean Language 1 by Yon-Sei University, Korean Language 2, Korean Language 3, Korean Language 4, Korean Language 5, Korean Language 6; and Pathfinder in Korean 1 by E-Wha Women University, Pathfinder in Korean 2, Pathfinder in Korean 3, Pathfinder in Korean 4, Pathfinder in Korean 4, Pathfinder in Korean 5. I also compared and cleared up with a list of words in 'The Lis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by Cho Chang-Kyu(2005).
I studied about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to straighten the basic materials out, yet there are many methodological studies to be desi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 lot of studies and plans are required from the standard of the selection and quantity of words to a phase-model of the way they learn and a method of teaching. This is an experimental study of Korean education for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사람의 감정을 표현하는 언어는 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된다. 특정 목적의 제시를 위한 설명으로써 사용되기도 하고, 일상적인 삶 속에 간단한 의사소통의 용도로써 사용되기...
사람의 감정을 표현하는 언어는 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된다. 특정 목적의 제시를 위한 설명으로써 사용되기도 하고, 일상적인 삶 속에 간단한 의사소통의 용도로써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쓰이는 방법에 있어서도 차이를 나타내는데, 대화하는 사람과의 관계, 장소, 시간 등 다양한 제약 속에서 규정지어진 암묵적인 규칙에 따라 쓰이는 것이 언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복잡한 관계 속에 자신의 의견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 표현 방법 중 하나가 의성어 · 의태어의 사용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의성어 · 의태어에 대해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자료 제시의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비슷한 문법 구조를 가지면서도 어휘 사용에 있어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 언어 관계를 대조 분석하면서 형태와 감각의 영역에서 유사성을 찾고 이에 따라 추출된 어휘 자료를 일본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성어 · 의태어 기초 자료로 구축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의성어와 의태어가 많이 사용되는 문화 자료로써 ‘원피스(One Piece)’라는 일본만화를 분석의 틀로 잡았고, 한국어와 일본어의 양 언어로 제작된 각 20권의 책을 형태와 감각의 기준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먼저 형태적인 분류의 틀로써 분석한 결과, 한국어 본에는 3503개, 일본어 본에는 3530개의 의성어 · 의태어가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형태적 분류에 따라 분석된 어휘들은 각각 구성 형태에 따라 기본 형태 어휘, 변형 형태 어휘, 양립 형태 어휘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이렇게 분류된 어휘들을 한국어와 일본어에 대조하여 의미와 사용 빈도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기초자료로써 추출하여 제시하였다.
감각적인 분류 틀로 분류된 어휘들은 인간의 오감인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의 5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의태어가 주로 사용된 감각 형태는 시각적인 부분이 많았고, 청각이나 촉각적인 부분에서는 의성어의 사용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 외 미각과 후각에 관한 어휘들은 그다지 등장하지 않았다. 감각 어휘의 어휘 사용의 빈도 면에서 일본어보다 한국어 어휘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시각과 청각 어휘 같은 경우, 한국어 어휘가 일본어 어휘보다 여러 가지 어휘들이 사용되었다. 일본어 어휘는 촉각적인 면에서 다양한 어휘 구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렇게 분석된 감각적 어휘 분류 결과를 토대로 의성어 · 의태어 학습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
각 기준들은 한국어 교육과의 연계성을 살피기 위해 현행 출판 중인 경희대 한국어 초급1, 한국어 초급2, 한국어 중급1, 한국어 중급2, 한국어 고급1, 한국어 고급2와 고려대 한국어1, 한국어2, 한국어3, 한국어4, 서울대 한국어1, 한국어2, 한국어3, 한국어4, 연세대 한국어1, 한국어2, 한국어3, 한국어4, 한국어5, 한국어6, 그리고 이화여자대학 말이 트이는 한국어1, 말이 트이는 한국어2, 말이 트이는 한국어3, 말이 트이는 한국어 4, 말이 트이는 한국어5의 교재들에서 나타난 의성어 · 의태어를 분석하여 비교 정리하였고, 또 조창규(2005)의 의성어 · 의태어 교육 자료 목록에서 제시된 어휘들과도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기초 자료 정리 목적으로 의성어와 의태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아직 한국어 교육에서 의성어와 의태어에 대한 방법론적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학습과 교수의 기본 규격으로 삼을 수 있는 어휘 선택과 어휘량의 기준에서부터 학습 방법과 교수 방법에 대한 단계적 모델들에 대한 연구와 고안이 요구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한국어 의성어 · 의태어 교육의 실험적 논문이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