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ly, Korea has becom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English education. However, Once Korean English students are actually in English speaking environments, they find it difficult to speak the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
Recently, Korea has becom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English education. However, Once Korean English students are actually in English speaking environments, they find it difficult to speak the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ocu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in Korean and Chinese middle school textbooks.
This is aimed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Korean English textbooks. Currently both Chinese and Korean English books are based on the Task-Based Language Teaching approach and are aimed at encouraging students to use four language skills in an integral way.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ollows.
1) All of the analyzed textbooks mainly deal with similar content orders and units.
2) The textbooks are used for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middle school.
3) Korean and Chinese English textbooks both emphasize communicative skills, but the Chinese English textbooks are highly focused on the speaking comprehension.
4) Korean and Chinese English textbooks are made within the Task-Based Language Teaching teaching method. So teacher are called upon a consider communicative dimension such as goal, input from the teacher, interaction, teacher and learner roles, and assessment.
5) In the Korean English textbooks, reading is emphasized more than speaking. For that reason, a small amount of new vocabulary is introduced than chinese textbook.
6) There are many partner and group exercises in Chinese English textbooks. Group and pair activities are excellent techniques as long as they are structured and clearly defined with specific objected.
7) The entire contents are written in English in the Chinese English textbooks. In contrast, Korean English textbooks use both the target language(English) and the mother language(Korean).
8) There are no grammar sections in the Korean English textbooks. Rather, they teach grammar in reading.
9) In terms of subject matter, it is important that all skills integrate toward the speaking skills though various procedures. Also, in a textbook, the priority is not the forms of language, but rather the functional purposes for which language must be used. Teacher should Input for tasks can come from a variety of authentic sources.
As a result, through enhancing the speaking skills in textbooks, we hope that this thesis can help future textbook writers to improve the quality of English textbooks in Korea. Through comparison to Chinese English textbook, we find that Korea should learn more about speaking procedures. If well constructed textbooks are provided to students, they will have more confidence and a greater chance at improving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using their textbooks.
최근, 한국은 영어교육에 관한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 그러나 EFL 환경속에서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을 끌어낸다는 것은 아직도 어려운 일이다. 균등한 교육을 받아야 하는 공교육에서, 학...
최근, 한국은 영어교육에 관한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 그러나 EFL 환경속에서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을 끌어낸다는 것은 아직도 어려운 일이다. 균등한 교육을 받아야 하는 공교육에서, 학생들의 말하기 실력을 높힐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교과서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같은 환경과 지리적 위치에 놓인 중국의 영어교과서와 한국의 영어교과서를 중학교 1, 2, 3학년을 대상으로 비교ㆍ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국과 중국의 영어교과서는 모두 의사소통향상을 강조한다, 하지만 중국의 영어 교과서가 학생들의 말하기 활동을 향상하도록 활동 위주로 많이 제시되었다.
2. 두 교과서 모두 Task-Based Language Teaching 교수법을 기저로 삼고 있으며, 그에 따른 학습 목표 설계와 내용, 그리고 평가까지 이루어진다.
3. 중국의 교과서는 짝 활동과 그룹 활동이 반복적으로 제시되고 형식과 의미를 모두 강조하는 방향으로 교과서가 제작되었다.
4. 두 교과서에서 드러난 모국어의 사용에서, 중국은 영어로만 되어있다. 반면 한국의 경우에는 영어와 한국어가 혼용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어, 원어민 교사가 지도를 할 경우 어려움이 따르거나 교사가 어떤 언어를 사용하여 지도해야할 지 혼란이 올 수 있다.
5. 한국은 읽기 부분에서 문법과 단어의 사용을 강조한다. 본문의 주된 핵심 사항은 말하기 활동보다는 읽기 활동에 더 치중이 되어있어, 명사나 형용사를 위주로 어휘가 학습된다.
6. 두 교과서는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의 4가지 영역을 뚜렷이 나타내려고 하였으나 통합적으로 연계된 수업 절차에 대해서는 크게 다른 점 없이 미흡함이 보였다.
7. 한국의 영어교과서는 소재와 언어목표, 본문에 이어지는 내용들의 일관성이 부족 하였다. 한 단원을 기준으로 할 때, 좀 더 내용적으로 통일성 있는 구성이 요구된다.
두 교과서를 비교ㆍ분석하여 교과서에서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고찰할 수 있었다. 또한 말하기 능력이 강조되는 분위기 속에서 여전히 형식에 대한 중요성도 함께 부각되어 학생들에게 모든 활동을 연계할 수 있는 통합적 학습 방법이 요구된다.
교실에서 교사의 교과서 활용빈도를 높힐 수 있는 실제성 있는 교과서 제작이 요구된다. 중국의 영어교과서가 여러 측면에서 한국의 교과서보다 우수한 점이 있었기 때문에, 우수한 점을 잘 활용하여 교과서 제작에 사용한다면 한국은 훨씬 질 높은 영어교과서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외국어로써 영어를 배우는 환경과 비교적 많은 학생을 대상으로 지도해야 하는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의 내적동기를 이끌어낼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 교과서이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 학습능력, 특히 말하기 활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