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늘어나고 있는 국내거주 외국인 아동들이 한국어를 학습을 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특히 본국과 연계하여 실시하고 있는 홈스쿨링을 중심 외국인 아동들의 ...
본 연구는 최근 늘어나고 있는 국내거주 외국인 아동들이 한국어를 학습을 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특히 본국과 연계하여 실시하고 있는 홈스쿨링을 중심 외국인 아동들의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현재 국내 외국인 학교나 일반 한국 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아동에 대해서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홈스쿨링을 통해 학습하고 있는 외국인 아동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하다. 이는 정식 교육기관이 아닌 홈스쿨링이라는 비공식적인 교육 방법을 통해 학습을 하고 있는 학습자들의 현황을 파악하기 어려운 점도 있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에서의 홈스쿨링 학습이 외국의 홈스쿨링과 같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그 개념 또한 외국의 개념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제 1장에서는, 외국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기관을 외국인 학교, 한국 학교, 홈스쿨링의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 기존에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2장에서는 교육 과정 개발의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다.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 중 구체적 조작기에 초점을 두고, 제 2언어 교육에서 아동학습자의 특징과 학습자의 유형에 적용할 수 있는 외국어 교수법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홈스쿨링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제시하였다. 홈스쿨링 교육을 선택하는 동기와 각 나라와 지역별로 제시되고 있는 커리큘럼과 특히 국내에서 자국과 연계하여 홈스쿨링 교육을 받고 있는 외국인 아동들의 학습 형태를 연구하였다.
외국어 습득이라는 한국어 학습의 특성상 모든 학습이 학습자 홀로 이루어 질 수 없기 때문에, 홈스쿨링용 한국어 교재는 그룹 홈스쿨링을 통해 한국인 선생님과 학습하고 가정에서 학습자 스스로 학습하는 형태를 기본으로 하였으며 외국인 아동 학습자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시한 요구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홈스쿨링용 한국어 교재는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한국어를 쉽게 받아들일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국내 거주 외국인 아동을 위한 한국어 교육 과정을 개발해 보았다. A과정(초급)과 B과정(기본)의 두 단계로 나누어 각 10개의 단원으로 구성하고 1주일에 3일 각 1시간씩은 그룹 홈스쿨링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며 1주일에 2일 각 30분씩은 가정 학습을 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각 단원별로 단원명, 목표, 어휘, 문형, 과제, 문화적 요소를 제시하고 특히 문화적인 요소는 매 단원이 아닌 문화의 내용이 단원의 주제와 적합할 때 제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교재들 중 홈스쿨링이라는 낯선 학습 과정 속에 한국어 교육을 포함시키기란 쉽지 않다. 또한 그룹 홈스쿨링의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학습자 스스로 학습한다는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을 가진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학습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을 기대해 본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ive method of learning Korean for foreign children residing in Korea and to develop Korean textbooks for foreign children who are doing homeschooling in connection with their own country.
Presently, ther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ive method of learning Korean for foreign children residing in Korea and to develop Korean textbooks for foreign children who are doing homeschooling in connection with their own country.
Presently, there have been studies on foreign children enrolled in foreigner schools in Korea or Korean public schools; however, the study on foreign children studying through homeschooling is still insufficient. Sinc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s studying through nonofficial method of education called homeschooling and moreover, since the homeschooling of Korea is not conducted as concretely as other countries, the concept also is different from the concepts in other countries.
In Chapter 1, the Korean education institution for foreign children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of foreigner school, Korean school and homeschooling and the status of Korea education for children educated through homeschooling, other than existing education curriculum was studied based on this.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evelopment of education curriculum is introduced. Focused on the concrete manipulation stage among perception development theory of Piage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students in language education and foreign language teaching method theory that can be applied to the type of students are studied.
In Chapter 3, the general area of homeschooling is suggested. The motif of choosing homeschooling education, curriculums in each country and region, especially the study format of foreign students getting homeschooling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ir own country are studied.
Since language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acquired on one’s own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studying Korea, the Korean textbook for homeschooling is based on the format that gets education with a Korean teacher through a group homeschooling and study on their own at home and the demand for the necessity of Korean education is studied for foreign children student and parent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on demand, it is concluded that the Korean textbook for homeschooling should be composed of the content for acquiring Korean easily in reflection of the demand of the students.
Lastly in Chapter 4, a Korean education curriculum is developed for foreign children residing in Korea considering these factors. It is divided into A curriculum (elementary level) and B curriculum (basic level) and consists of 10 chapters. The study through group homeschooling is provided 3 days a week, 1 hour each and the home study is taken place 2 days a week for 30 minutes.
Chapter title, objective, vocabulary, sentence structure, homework and cultural elements are suggested on each chapter and especially, the cultural element was designed to be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ubject of the chapter rather than in every chapt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Korean textbook focused on foreign children taking education curriculum of their own country through homeschooling. Among the texts for children, it is not easy to include Korean education in new study curriculum of homeschooling. Moreover, although it is in the format of homeschooling, it is more true since it has the limitation that the student themselves should study basically. However, in the aspect that foreign students with various goals in diverse fields are demanding Korean education, I anticipate the necessity of this study.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