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양태술어와 중국어 양태조동사의 대조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aims of the thesis are to elucidate the different ways of expressing modality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nd to clarify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pre-final ending '-겠-', periphrastic configuration '-ㄹ 것이-', '-ㄹ 수 있-...

The aims of the thesis are to elucidate the different ways of expressing modality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nd to clarify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pre-final ending '-겠-', periphrastic configuration '-ㄹ 것이-', '-ㄹ 수 있-' in Korean language and auxiliary verb '要', '會', '能' in Chinese language.
In chapter 2, theoretical discussion and modal expressions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was done. In this , modality is not a syntactic category but a semantic category. The definition of modality is the speaker's attitude towards the proposition. Related to the sub category of modality, usually modality is classified into epistemic modality and deontic modality. This classification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is but instead of deontic modality behavior modality is used because not all the modal meanings, which are related to necessity or possibility of the speaker's behavior, are related to obligations. In this , deontic modality is used as a comprehensive nomenclature. It concludes all of the modal meanings which are related to behavior which the main declinable word indicates, such as the subject's intention, hope, ability, obligation, grant and so on. Korean modality is expressed both grammatically and non-grammatically. The grammatical expressions are endings, postpositions, adverbs, adjectives, verbs, periphrastic configurations, and 'modifier ending/noun word/이다' and so on. And the non-grammatical expressions are intonation, word order or emphasis. Modality of Chinese language is generally expressed using auxiliary words, mood words, and adverbs. It also can be expressed by intonation, word order or emphasis.
In chapter 3, modal meanings of pre-final ending '-겠-', periphrastic configuration '-ㄹ 것이-'and '-ㄹ 수 있-' were analyzed and mapped into the grammatical category. '-겠-' has the modal meaning of [probable judgment], [deduction] and [assumption of well-known facts] in epistemic modality and in behavior modality, [will] and [ability] can be expressed with '-겠-'. And '-ㄹ 것이-' has the modal meaning of [probable judgment], [deduction] and [assumption of unknown facts] in epistemic modality and in behavior modality, modal meaning of [will] can be expressed with '-ㄹ 것이-'. And '-ㄹ 수 있-' has the modal meaning of [possible judgment] in epistemic modality and [ability] in behavior modality. For distinguishing these three modal expressions when they have the same meaning, the restriction of usages were clarified. When both have the modal meaning of [probable judgment], '-겠-' expresses a subjective judgment, but '-ㄹ 것이-' focuses on a objective description. And when both have the modal meaning of [deduction], it's a deduction which is on a subjective ground when '-겠-' is used and it's a deduction which is on a objective ground when '-ㄹ 것이-'is used. And when both have the modal meaning of [will], it expresses the speaker's will directly with '-겠-', but it expresses the speaker's will as a plan to the listener.
In chapter 4, the modal meaning of Chinese auxiliary word '要', '會', '能' were analyzed and the restriction of usages were examined. After that, it was compared with'-겠-', '-ㄹ 것이-', '-ㄹ 수 있-'. As a result, '-겠-' corresponds to '要' when expressing [probable judgment], [deduction], [assumption of well-known facts] and [will] except when the subject is his majesty and the predicate is adjective. It corresponds to '能' when expressing [ability]. And '-ㄹ 것이-' corresponds to '會', '-ㄹ 수 있-' corresponds to '能'.
In chapter 5, discussions of previous chapters were summarized and future tasks were given.

이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가 양태의 실현 형태에 있어 어떻게 다른가, 그리고 그 중에서 한국어 선어말어미 '-겠-',한국어 구문론적 구성 '-ㄹ 것이...

이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가 양태의 실현 형태에 있어 어떻게 다른가, 그리고 그 중에서 한국어 선어말어미 '-겠-',韩语毕业论文,한국어 구문론적 구성 '-ㄹ 것이-'와 '-ㄹ 수 있-'과 중국어 조동사 '要',韩语论文题目,'會'와 '能'의 대응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양태의 이론적 논의와 한국어와 중국어의 양태 표현을 다루었다. 본고에서 양태는 통사적 범주가 아닌,'명제에 대한 화자의 태도'라는 의미범주로 정의했다. 그리고 양태의 하위 분류에 관련하여 양태는 인식양태와 의무양태로 나뉘는 전통을 받아들이되 행위자가 수행하는 행동의 필연성이나 가능성과 관련된 양태의미가 반드시 '의무'와 관련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의무양태의 개념을 보류하고 대신 행위양태란 이름을 사용했다. 여기서 행위양태는 본용언이 가리키는 행위와 관계된 주어의 의도, 바람, 능력, 의무, 당위 등의 모든 양태의미를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용어로 쓰인다. 한국어의 양태는 어미, 조사, 부사, 형용사, 동사, 구문론적 구성, '관형사형 어미+명사+이다'등의 문법적 단위로 실현되고 억양, 어순, 강세 등의 비문법적인 단위로 실현되기도 한다. 중국어의 양태는 주로 조동사(助動詞), 어기사(語氣詞), 부사(副詞)등에 의하여 실현되고 한국어처럼 억양, 어순, 강세 등의 비문법적인 단위로 실현되기도 한다.
3장에서는 한국어 선어말어미 '-겠-', 구문론적 구성 '-ㄹ 것이-'와 '-ㄹ 수 있-'의 양태 의미를 분석하고 본고에서 사용된 양태 의미 영역에 자리매김을 시켜봤다. 그 결과, ‘-겠-’은 인식양태에서 [개연성 판단], [추론]과 [기지 가정], 그리고 행위양태에서 [의지]와 [능력]의 용법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ㄹ 것이-'는 인식양태에서 [개연성 판단], [추론]과 [미지가정], 그리고 행위양태에서 [의지]의 용법을 가진다고 보았다. 그리고 '-ㄹ 수 있-'은 [가능성 판단]의 인식 양태 용법과 [능력]의 행위 양태 용법을 가진다고 기술했다. 또한, 이들이 같은 양태 의미를 가질 때 그 쓰임을 구별하기 위해 용법상의 제약을 기술했다. [개연성 판단]의 의미를 가질 때 ‘-겠-’은 주관적인 판단인데 비해 '-ㄹ 것이-'는 그 사태에 대한 객관적인 기술에 중점을 둔다고 보았고 [추론]의 의미를 가질 때 ‘-겠-’은 주관적인 근거로 의해 추론하는 것인데 '-ㄹ 것이-'는 객관적인 근거로 의해 추론하는 것이라고 발견했다. 그리고 행위양태에서 [의지]의 의미를 가질 때 ‘-겠-’은 화자의 의지를 직접 표현하는 반면에 '-ㄹ 것이-'는 화자의 의지를 계획처럼 청자에게 알리는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을 기술했다.
4장에서는 중국어 양태 조동사 ‘會’, ‘要’, ‘能’에 대해 의미 분석을 해 봤고 4장과 같은 방식으로 이들의 용법상의 제약을 살펴본 후에 한국어의 '-겠-', '-ㄹ 것이-'와 '-ㄹ 수 있-'을 비교해 보았다. 이를 통하여 주어가 3인칭일 때와 술어가 형용사일 때를 제외하고 '-겠-'은 [개연성 판단], [추론], [기지 가정], [의지]를 표현할 때 중국어 '要'와 대응된 것으로 보았다. [능력]을 표현할 때 중국어 '能'와 대응된다. '-ㄹ 것이-'는 '會'와 대응되고 '-ㄹ 수 있-'은 '能'과 대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5장에서는 결론으로서 논의를 요약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