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외국인근로자 자녀들의 복지욕구에 대한 궁금증에서부터 시작된다. 외국인근로자 자녀의 삶 전반에 걸친 복지욕구를 조사함으로서 그들이 원하는 복지체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본 논문은 외국인근로자 자녀들의 복지욕구에 대한 궁금증에서부터 시작된다. 외국인근로자 자녀의 삶 전반에 걸친 복지욕구를 조사함으로서 그들이 원하는 복지체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제도 개선을 모색하여 외국인근로자 자녀들이 한국 사회에서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외국인근로자 자녀에 대한 실질적 연구가 미비한 현실에서 이들의 복지욕구를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은 그들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복지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들에 대한 사회적 시각을 긍정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를 위해 외국인근로자 자녀의 복지욕구를 C. Alderfer의 욕구이론을 기초로 하여 생존욕구(existence needs), 관계욕구(relatedness needs), 성장욕구(growth needs)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서울과 경기, 부산, 인천에서 비확률표집을 실시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설문을 수거하거나 기관 담당자 및 자원봉사자의 도움으로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25일 동안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서베이 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113개의 설문지 중에 106개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카이제곱 검정(Chisq-Test),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T-test, 데이터마이닝(Decision tree 기법)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발견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외국인근로자 자녀는 모든 영역(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에서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도와 복지욕구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더니 한국어 구사능력에 뛰어난 외국인근로자 자녀일수록 현재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외국인근로자 자녀들은 지금보다 20년 뒤에 더 행복해질 것이라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현재 행복도와 생존욕구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생존욕구가 충족될수록 행복을 느끼는 정도가 커진다는 결과와 더불어 교우관계가 좋을수록 행복함을 느낀다는 연구결과도 찾아볼 수 있었다.
지원욕구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장학금 지원, 학습지도 지원, 생활비 지원, 집수리 지원, 의료혜택 지원, 문화 활동 지원 간에는 상당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근로자 자녀의 복지욕구에 대한 제도적 지원 및 활성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첫째, 외국인근로자 자녀의 기본적인 생존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민간이 함께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 정책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외국인근로자 자녀가 한국 사회에서 올바른 관계형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외국인근로자 자녀의 성장을 돕는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실행해 나가야 한다.
넷째, 외국인근로자 자녀를 바라보는 한국 사회의 시각이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자료 수집에서 비확률표집을 사용하여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그들의 민족성이나 문화적 배경 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민족성 및 문화적 배경 등의 변수가 연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없다. 향후 질적 연구를 통하여 외국인근로자 자녀의 복지욕구를 깊이 있게 분석한다면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has started with the investigator's concern to the welfare needs of foreign workers' childr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elfare needs of foreign workers' children in general, and then work out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
This study has started with the investigator's concern to the welfare needs of foreign workers' childr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elfare needs of foreign workers' children in general, and then work out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welfare system for them, in order for foreign workers' children to realize their dream in Korea. Because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on foreign workers' children, an analysis of their welfare needs is seemingly meaningful in that i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sider a minium welfare service for them and change social viewpoints of them positively.
The welfare needs of foreign workers' children was classified into existence needs, relatedness needs, and growth needs, based on the C. Alderfer's need theo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ampled from Seoul, Gyeonggi, Busan, and Incheon with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directly or with the help of agents or volunteers. A questionnaire survey of study subjects was carried out with a 25 day self-entry technique. Out of 113 collected responses, 106 were used in analysis, And such analytic techniques as frequency, percent, Chi-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d decision tree were us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reign workers' children do not satisfy their needs in all the categories (existence needs, relatedness needs, and growth needs), thus needing supports.
Second,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happiness and welfare needs, children who can command Korean language excellently feel happiness at the moment. And they think they will be happier 20 years later. When their existence needs are satisfied, their extent of happiness increases. In addition, when their peer relatedness is good, their happiness increases too.
Third, The relatedness between their happiness and support needs is considerably influenced by scholarship support, learning support, living expense support, home improvement support, medical care support, and cultural activity support.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strategies of systematic support and activation of the welfare needs of foreign workers' children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local autonomies, and private entities must grope after and implement appropriate policies to satisfy the basic existence needs of foreign workers' children.
Second, foreign workers' children must be supported to shape a correct relatedness in Korean society.
Third, a program to help the growth of foreign workers' children must be introduced and implemented.
Fourth, Korean society's viewpoint of foreign workers' children must be changed.
Because this study has used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it has a limit to generalize the collected data. In addition, their ethnicity and cultural background were not considered too. So it is unknown what influence such factors have on their welfare needs.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 future studies must center on qualitative researches to examine the welfare needs of foreign workers' children.
,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