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실에서의 비언어적 교수 행위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는 초급 한국교실에서 교사가 사용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의 양상을 분석한 연구이다. 언어 교실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의사소통이 음성 언어만으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으며...

본고는 초급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가 사용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의 양상을 분석한 연구이다. 언어 교실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의사소통이 음성 언어만으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으며, 학습자들에게 의미를 전달하기 위하여 교사들이 신체를 움직이거나 비음성적 특징을 사용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교육계에서 교실 관찰을 통해 교사말과 학습자의 중간언어 등은 관심 있게 연구되어 오고 있으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기능과 중요성에 대해서는 깊은 관심을 보이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초급 한국어 교실을 녹화하여 교사의 교수 행위에서 음성 언어가 아닌 비언어적 행위가 발생하는 맥락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소개하고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다룬 국내외의 선행 연구들 중에서 언어 교육과 관련된 논의들을 검토하였다.2장에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수단의 개념 정의를 시작으로 음성 언어와의 관계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가지는 특징과 기능 등을 살펴 보았다. 또한 본고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 기준을 정립하기 위하여 기존 논의들에서 제시된 분류 체계를 살펴 보았다.3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대상과 연구 절차 등의 연구 방법을 상세히 제시하고 분석 기준을 명시하였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전사 체계에 단일한 기준이 없어, 본고에서는 대화 분석을 토대로 한 전사 기호와 비언어적 행위를 간소화한 범례를 함께 제시하였다.4장에서는 수업 녹화를 통해 수집한 초급 교사들의 비언어적 교수 행위를 분류하고 각 양상을 하위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급 교사의 비언어적 교수 행위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첫째, 어휘 설명 시 교사가 사용한 몸짓과 손짓 등을 구체적이고 추상적인 정도에 따라 묘사적 행동과 추상적 행동으로 하위 분류하고, 손으로 물체나 사람을 가리키는 행위는 지시적 행동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문화특수적 성격을 띠는 몸짓은 상징적 행동으로 묶어 한국 고유의 몸짓과 외래적 몸짓의 양상을 살펴 보았다. 둘째, 문법 설명 시 나타난 비언어적 교수 행위는 조사와 어미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나누어 보았는데, 대다수가 허공에서 수평, 수직으로 팔을 이동하거나 원이나 사각형 등을 도식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교사-학습자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비언어적 행위는 교사가 대화의 흐름을 조절하고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교수 내용을 강조하는 데 사용한 몸짓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5장에서는 4장에서 제시된 비언어적 행위 외에 수업 녹화를 통해 수집된 행위들을 추가하여 비언어적 교수 행위 목록을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후속 연구에의 제언을 덧붙였다.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를 수집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use in the basic-level classroom. In order to help students successfully communicate, the body language (and other non-phonetic elements) that accompany the teacher...

This study examines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use in the basic-level classroom. In order to help students successfully communicate, the body language (and other non-phonetic elements) that accompany the teacher's verbal channel are vital; until now, however, the importa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has been underestimated while studies on teacher speech and interlanguage have increased. This study analyzes such nonverbal teaching behavior in the context of classroom communication.Chapter 1 introduc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reviews previous literature on nonverbal communication.Chapter 2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nonverbal communication. Concepts are identified and characteristics/functions are explained in relation to verbal language. Also, prior theory is investigated in order to formulate the criteria for this study.Chapter 3 describes the experimental methods and procedures utilized. Video tapes are transcribed in accordance with Conversation Analysis, while nonverbal descriptions are included (with static images from video tapes when necessary.)Chapter 4 categorizes teachers'nonverbal behavior, examining each type and sub-type in detai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nonverbal teaching behavior can be classified in three broad terms: first, it is divided into descriptive behavior or abstract behavior, depending on its concreteness in the vocabulary explanation. Pointing, for example, is considered deictic behavior; such culturally specified behavior is emblematic and can have either Korean or foreign characteristics. The second category includes nonverbal behavior used for particle use and inflection in grammatical explanations. The vast majority of teachers were found to be using horizontal or vertical arm movements and drawing circles or squares. Third, teachers' gestures and facial expressions can be classified as interaction that offers students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 emphasizing teaching contents and regulating the flow of conversation.Chapter 5 presents a list of nonverbal teaching behavior. Other data not analyzed in chapter 4 are also included as a supplement.Finally, Chapter 6 summarizes the entire study and presents its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given at the end.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ducts action research on Korean language teacher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in the classroom and provides inductive analysis of that behavior.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