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효능감의 관계 : 문화적응과 사회적 지지의 중다매개효과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multiple mediated effect of acculturation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parenting efficacy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Gwangju City and Jeoll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multiple mediated effect of acculturation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parenting efficacy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Gwangju City and Jeollanamdo participated, and the data of 461 were collected by self-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self-esteem, acculturation,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The data of 416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responded with sincerity were analyz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B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1.0 and AMOS (Analysis of Moment Structu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level of self-esteem was high, the level of parenting efficacy and acculturation were high, that of social support was high. Also,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steem was,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support wa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parenting efficacy was. And as the level of social support was high, the level of parenting efficacy was high. The mediated effects of acculturation and social support were respectively significant in the path of self-esteem to parenting efficacy. self-esteem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a in direct positive effect through social support on parenting efficacy and didn't have an indirect positive effect through acculturation.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arenting efficacy,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acculturation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herefore, it indicates that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acculturation, accultu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Secondly, as a result of verifying on difference of study model as to the residence length more than five years, all paths were significant as same as the result of all of the hole group. And in the path of self-esteem to parenting efficacy, all the paths except for the path of acculturation to parenting efficacy were significant and the mediated effect of acculturation were not significant,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also significant, and the multiple mediated effect of acculturation and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Therefore, it indicates that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acculturation, accultu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In conclusion, the increase of acculturation was related to the social support, which in turn was related to the increase of parenting efficacy.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parenting efficacy related to self-esteem by promoting acculturation and social support. those was the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variable. Also questingly in some of the paths the relationship of self-esteem, acculturation,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rough residence length more than five years group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re was difference of residence length more than five years. This results, as their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nd residence length of female immigrant women, suggests there is need to apply discriminating method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consulting program which helps parenting efficacy.

이 연구는 자아존중감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사회지지의 중다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일부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여...

이 연구는 자아존중감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사회지지의 중다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일부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 461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가운데 성실하게 응답한 4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 문화적응척도, 사회적지지 척도, 양육효능감 척도와 함께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분석을 하였고, AMOS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가설 검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 문화적응,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응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 수준은 높았고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 수준은 높았다. 그리고 문화적응은 양육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자아존중감이 양육효능감에 이르는 경로에서 문화적응은 매개 역할을 하지 못했으며,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매개 역할을 하였다. 자아존중감은 양육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지지를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문화적응과 사회적 지지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자아존중감은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주고 문화적응은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주며, 사회적 지지는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거쳐서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5년 이상의 거주기간에 따른 경로 차이를 검증한 결과, 5년 이상의 관계모형에서 자아존중감이 양육효능감, 문화적응, 사회적 지지에 이르는 모든 경로는 유의하였다. 다만 문화적응이 양육효능감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자아존중감이 양육효능감에 이르는 경로에서 문화적응은 매개 역할을 하지 못했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에서 양육효능감에 이르는 경로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를 가졌으며 문화적응과 사회적 지지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자아존중감은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주고 문화적응은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주며, 사회적 지지는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거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문화적응의 증가는 사회적 지지의 증가와 관련되고, 증가된 사회적 지지는 양육효능감의 증가와 관련된다는 것으로, 개인의 심리적 특성변인인 문화적응을 증진시키고 사회적 지지의 정도를 높임으로써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탐색적으로 거주기간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일부 경로가 거주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양육효능감을 돕는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시하는데 있어서 여성결혼이민자의 개인적인 심리적 특성과 거주기간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