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ed on tennis coach's mentoring function and players' perceived sense of freedom, their self-realization and exercise emo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and systematic development required for tennis coach's mentoring function, and motiv...
Based on tennis coach's mentoring function and players' perceived sense of freedom, their self-realization and exercise emo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and systematic development required for tennis coach's mentoring function, and motivate players to exert their potential at the situations of sport match in close associations with their exercise performance, so that it can show more positive directions of mentor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set a population of domestic high school and collegiate tennis players enrolled in Korea Tennis Association (KTA) as of Year 2013, and employed convenience sampling to select total 311 players as final subjects. A collection of any valid data were analyzed in form of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above methods and data analysis findings, this study could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was found that tennis coach's mentoring function correlated with players' perceived sense of freedom.
Second, it was found that tennis coach's mentoring function correlated with players' self-realiz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ennis coach's mentoring function correlated with players' exercise emo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players' perceived sense of freedom correlated with self-realization.
Fifth, it was found that players' perceived sense of freedom correlated with exercise emotion.
Sixth, it was found that players' self-realization correlated with exercise emotion.
Seventh,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ennis coach's mentoring function, players' perceived sense of freedom, self-realization and exercise emotion.
본 연구는 테니스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선수들의 인지된 자유감, 자아실현 및 운동정서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테니스지도자의 멘토링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체계적인 발전, 그리고 선수의...
본 연구는 테니스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선수들의 인지된 자유감, 자아실현 및 운동정서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테니스지도자의 멘토링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체계적인 발전, 그리고 선수의 운동수행 능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선수들의 잠재력을 스포츠 경기 상황에서 최대한 발휘하여 보다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2013년 현재 협회에 선수등록이 되어있는 국내 고교·대학 테니스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총 311명이 선택되었으며, 측정도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은 성, 학력, 경력 등 3개 요인으로 구성하였고, 멘토링 기능에 관한 측정도구로는 Noe(1988)가 개발하고 Dreher & Ash(1990), 이규태(2008), 전익기(2009)가 사용한 설문문항을 인지된 자유감(perceived freedom)은 여가진단도구(leisure diagnostic battery; LDB, witt & ellis, 1987)로서 원형중(1989)이 번안하여 사용한바 있는 여가진단도구를 바탕으로 김용주(2005)가 사용한 문항을 자아실현은 POI(personal orientaion inventory; Shostrom, 1976)로서 설기문(1995)이 한국어로 번안하여 사용한바 있는 자아실현 측정도구를 사용하고, 운동정서는 Watson, Clark & Mineka(1994)의 PANAS-X(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를 기초로 하여 유진, 김종오(2000), 정용각(2000)이 운동경험에서 느끼는 정서감정을 측정할 수 있도록 수정 개발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자료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테니스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선수들의 인지된 자유감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테니스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선수들의 자아실현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테니스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선수들의 운동정서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선수들의 인지된 자유감과 자아실현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선수들의 인지된 자유감과 운동정서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선수들의 자아실현과 운동정서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테니스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선수들의 인지된자유감, 자아실현 및 운동정서는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