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릿 댄스의 사회적 표상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스트릿 댄스를 전혀 모르거나, 전문적인 지식이 전무 한 불특정 다수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에 내포되어 있는 스트릿 댄스사회표상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스트릿 댄스를 전혀 모르거나, 전문적인 지식이 전무 한 불특정 다수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에 내포되어 있는 스트릿 댄스의 사회적 표상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인이 갖고 있는 스트릿 댄스의 편견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문제점과 인식개선의 방법을 함께 찾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 요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등 무선 표집 방법과 길거리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스트릿 댄스를 하지 않는 20대에서 50대까지 20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특히, 스트릿 댄스 전공자인 연구자가 답변자인 일반인에게 특정 답변을 유도하지 않도록 주의하기 위해 부연설명을 최대한 배제하며,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표집 된 설문은 귀납적 범주를 통해 분석하였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릿 댄스로, 비보잉, 팝핀, 힙합을 가장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미적 측면으로, 젊음과 자유로움의 이미지를 가장 많이 인식하였고, 신기하고 멋있음, 불량함의 느낌도 인식도가 높았다.
셋째, 현상학적 측면으로, 스트릿 댄스는 표현이 자유로운 춤을 가장 많이 인식하였고, 예술의 한 종류로도 인식도가 높았다. 단, 착한 양아치, 그들만의 세상이라는 부정적인 인식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트릿 댄스를 하는 사람으로, 팝핀 현준, 이주노 순으로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스트릿 댄서의 옷차림으로, 큰옷, 힙합, 자유로운 순으로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고, 특히, 팝핀의 의상은 정장, 중절모 같은 구체적인 의상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스트릿 댄서에 대한 이미지로, 자유, 멋있음, 불량함의 순으로 인식도가 나타났다.
일곱째, 장소에 대한 이미지로, 길거리를 가장 많이 인식하였고, 자유로움, 연습실이 그 다음 순을 이루었다.
여덟째, 스트릿 댄스에 대한 프로그램으로, 스텝 업, 댄싱9, 코리아 갓 탤런트 순으로 나타났고, 답변 수가 가장 높았던 장르인 비보잉, 팝핀, 힙합에서도 위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인식하였다.
아홉째, 장르에 대한 느낌과 이미지로, 비보잉은 멋있음, 신기함, 자유로움, 강함의 순으로 나타났고, 팝핀은 신기함, 로봇, 절도, 힙합에서는 자유로움, 불량, 흑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결과에 대한 건설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릿 댄스를 소개하고 보여 줄 수 있는 다양한 방송매체와 프로그램이 기획 된다면, 일반인들이 스트릿 댄스를 더욱 접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스트릿 댄스의 활발한 이론적 연구 활동과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 시스템이 필요할 것이다. 즉, 일반인을 상대로 문화센터에서의 문화강연, 지역 문화재단의 문화교육 등 스트릿 댄스의 프로그램이 보다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스트릿 댄스를 이용한 댄스컬 등의 공연 콘텐츠와 스트릿 댄스 배틀, 퍼포먼스 행사가 스트릿 댄서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일반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공연문화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ocial representation of street dance within the general population of Korean society, who are not aware of or lack expertise in street danc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ereotypes among the general popul...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ocial representation of street dance within the general population of Korean society, who are not aware of or lack expertise in street danc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ereotypes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regarding the street dance and to find problems and plans for improving the perceptions of street danc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the methods of random sampling and street intercept, in the areas of Seoul and Gyeonggi. The ope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00 participants of ages ranging from 20’s to 50’s, who do not practice street dance. In order to prevent the researcher majoring in street dance from influencing or leading toward specific responses on the participants, the explanation prior to the questionnaires was eliminated as possib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d the conclusion was drawn.
The study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recognized b-boying and poppin as the street dance.
Second, from the aesthetic perspective, most participants perceived youth and freedom as the images of street dance. They also mostly perceived the street dance to be amazing, followed by being cool, and they also linked it to the images of gangster.
Third,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e street dance is mostly perceived as freely expressed dance and also as a genre of art. However, there also were negative perceptions such as having images of harmless gangster and as people living in their own world.
Fourth, as the street dancers, Poppin Hyunjoon and Joono Lee were recognized the most.
Fifth, the outfits of street dancers were mostly recognized as large clothing followed by hip-hop and free styles of clothing. Particularly, the clothing for poppin dance was specifically recognized as suits and fedora.
Sixth, the images of street dancers were mostly recognized as being free, followed by being cool and having the gangster image.
Seventh, the participants mostly perceived the streets, followed by free location, and studio as the places for street dance.
Eighth, the participants mostly recognized Step Up followed by Dancing 9 and Korea Got Talent as the programs related to street dance. For the b-boying and poppin, which had the greatest frequency of responses, the above programs were mostly recognized as well.
Ninth, for the images and impressions of the genres, b-boying was recognized to be cool, amazing, free, and strong, in this order. The poppin was recognized to be amazing, robotic, popping movements, free style in hip-hop, having images of gangster, and black ethnicity.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the constructive implication can be derived as follows.
First, if diverse programs and television shows would be created to introduce street dance, it will be greatly helpful for giving exposure and raising awareness of street dance to the general public.
Second, there will be a need for active theoretical studies in street dance as well as systematic and expert education.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cultural lectures at culture centers and cultural educations at local cultural organizations by targeting on the general public, so that the street dance can become more widely accepted.
Third, there should be more dancecals using street dance, contents for performances, street dance battles, and performance events that are easily accessible to general public as a performing culture.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