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수면문제 행동 특성에 미치는 부모-자녀관계 및 양육스트레스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overall sleep features of infant and impact on parent-child-related variables. First of all, we woul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fants' gender, age, sleeping with parents or not, education of parents,...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overall sleep features of infant and impact on parent-child-related variables.
First of all, we woul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fants' gender, age, sleeping with parents or not, education of parents, average income.
Also, we would like to examining the nurturing environment impact on the behavioral sleep problems of infant dividing into two parts: parent-child relationship,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total of 139 infants chosen from Seoul Mapo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private care center.
In this study, CSHQ (The Children's Sleep habits Questionnaire developed by Owens, Spirito and McGuinn(2000), translated by Kim youra, Lee kyoungsuk(2011)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sleep behavior of the infants. In order to measure parenting stress, Korea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 by Abidin(1995), K-PSI-SF (Korean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normalized by Jeong Gyeongmi, Lee kyoungsuk, Park Jina(2008) was used.
For parent-child relationship, PRQ (Parent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 by Kamphaus and Reynolds (2006), adapted by Lee kyoungsuk, Park Jina, Shin Euijin was used.
After childcare teachers and the parents who were chosen for this study were described the purpose of this questionnaire and how to do it, the mothers got directed to fill the questionnaire and submit in a classroom.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 technical statistic was calculated regarding each variable.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 T-test,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regression-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data of the 139 infant shows that their average bedtime, wake time and sleep time turned out to be 21:54(p.m), 07:51(a.m) and about 10(h) respectively.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bedtime, wake time and total sleep time according to gender and behavioral sleep problems in the sub-reg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verage bedtime, wake time and total sleep time according to ag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sleep. Especially, it shows that the younger the infant's age is, the more problems there were.
Fourth, In sleeping features depending on sleeping with their parents or not, about 74% of infants were sleeping with their parents, they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leep anxiety, which shows infants who sleep with their parents get more sleep anxiety than those who don't.
Fifth, as the result of sleep features depending on parents educ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ut infant whose parents are less educated has more problems in amount of sleep compare with infant whose parents are higher educated.
Sixth, as the result of sleep features depending on everage imcom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leep time, wake time, total sleep time.
Seventh, it appears that parent suffer as the sub-region in parent stress is sleep anxiety among behavioral sleep problems.
Eighth, it shows that attachment and parenting efficacy, sub-region in parent-child relationship, affect sleep disordered breathing, and joint participation affect daytime sleepiness.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유아의 전반적 수면특성과 이에 미치는 부모-자녀관련 변인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유아의 성별, 연령에 다른 차이와 부모와의 동반수면여부...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유아의 전반적 수면특성과 이에 미치는 부모-자녀관련 변인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유아의 성별, 연령에 다른 차이와 부모와의 동반수면여부, 부·모의 학력, 평균소득에 따른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유아의 수면문제행동 요인에 미치는 부모양육 환경을 부모 자녀 관계양육스트레스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시내 마포구 내 국공립 보육시설과 민간 보육시설 유아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총 139명의 유아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수면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Owen, Spirito와 McGuinn(2000)이 개발한 CSHQ(The Children's Sleep Habits Questionnaire)척도를 김유라, 이경숙(2011)이 한국어로 번역한 후 완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양육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Abidin(1995)의 부모양육스트레스 축약형 척도를 정경미, 이경숙, 박진아(2008)가 표준화한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축약형 검사(Korean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K-PSI-SF) 도구를 사용 하였으며 부모-자녀관계 측정을 위하여 Kamphaus와 Reynolds(2006)의 PRQ(Parent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를 이경숙, 박진아, 신의진(진행중)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어린이집 교사 및 부모들에게 설문지에 대한 취지와 방법을 설명하고 연구에 대한 동의를 얻어 교실에서 설문지와 검사지를 배포해 각 유아의 모가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지시하고 회수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고, 연구문제에 따라 t검정, 분산분석,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국내 유아들 총 139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균 취침시간은 오후 9시 54분이였고, 평균 기상 시간은 오전 7시 51분, 평균 총 수면시간은 약 10시간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평균 취침시간, 평균 기상시간 그리고 평균 총 수면시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면문제행동 특성의 하위영역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연령에 따른 평균 취침시간, 평균 기상시간 그리고 평균 총 수면시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면문제행동 특성의 하위영역 중 수면의 양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유아의 연령이 낮을수록 수면의 양에서 문제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동반수면 여부에 따른 수면특성에서 유아의 약 74%가 동반수면을 하고 있었으며, 수면 불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동반수면 유아가 분리수면 유아보다 수면불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부모의 학력에 따른 수면특성 결과 평균 취침시간, 평균 기상시간 그리고 평균 총 수면시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모가 고졸 이하의 학력의 유아가 대졸, 대학원 이상 부모의 학력에 비해 수면의 양에서 문제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째, 가정의 평균소득에 따른 수면특성 결과 평균 취침시간, 평균 기상시간 평균 총 수면시간, 수면문제행동 특성의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일곱 째, 유아의 수면문제 행동특성 중 수면불안에 양육 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부모고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 째, 유아의 수면문제 행동특성 중 수면호흡장애에 부모-자녀 관계 하위 영역인 애착과 양육 효능감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간 졸림증에는 공동참여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