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 인형 연구 : 조선시대 가례 복식의 재현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우리는 전통 양식을 표현한 인형을 통하여 그 나라의 역사와 생활풍속을 알 수 있으며, 인형이 입고 있는 의상뿐만 아니라 얼굴생김과 표정에서도 그 당시 사람들의 예술성을 엿볼 수 있다. ...

우리는 전통 양식을 표현한 인형을 통하여 그 나라의 역사와 생활풍속을 알 수 있으며, 인형이 입고 있는 의상뿐만 아니라 얼굴생김과 표정에서도 그 당시 사람들의 예술성을 엿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궁중 가례 복식을 재현하고자 문헌을 통해 조선시대 가례 의식에 나타난 궁중 복식과 장신구에 대해 알아 보았고, 그에 따른 궁중 혼례 장면을 도자 인형을 통해 전개하였다. 연구자는 조선 말기의 궁중 복식을 기본으로 하여 왕과 왕비의 위엄 있는 자태와 황후의 황원삼, 왕가의 여인들, 문관의 대표적인 제례 옷, 조복, 무관의 홍철릭과 갑주, 궁녀와 내시들의 도자 인형을 제작 하였으며, 그 시대 왕가의 혼례식을 조형적으로 묘사하였다. 조선시대 궁중에서 행해지는 복식의 색감은 주로 강렬한 오방색의 대비를 이룬다. 연구자는 흙을 통하여 그러한 오방색의 화려한 색감과 견사의 부드러움 까지 표현하기 위해 색소지와 각종 섬유를 이용한 천 슬립 기법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기법은 한복의 우아한 곡선미를 잘 드러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천을 슬립에 묻히는 농도에 따라 옷감의 섬세한 느낌까지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의상의 금박 장식을 표현하기 위해 수금으로 페인팅 하여 3차 소성 과정을 거쳐 궁중의 화려한 복식을 완성하였다. 인형의 몸체는 석고몰드를 이용한 슬립 케스팅 기법으로 제작하였으며, 세밀한 장신구들은 주로 가압성형으로 찍어낸 후 흙의 반 건조 상태에서 몸체에 붙이는 작업으로 완성되었다. 그러나 내시가 들고 있는 적색양산과, 여령이 들은 봉선의 경우 몸체와 밀착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소성 후 인형 본체에 붙여 주었다. 현재 인형은 다양한 재료와 기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도자 인형은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것에 비해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주며 영구적으로 보존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흙을 통해 여러 차례의 제작공정을 거치며 고화도 소성과정까지 이르러야 완성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조선시대의 가장 성대하고 격식화된 의례중 하나인 왕실 혼례를 도자 인형으로 표현함으로써,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문화에 대한 우수성을 세계 여러 나라에 알리고자 하였다.

The customs of a country can be understood through its indigenous dolls. In particular, facial features and even distinct countenances can be expressed in a way that make it possible for an outsider to witness that country’s history, life customs an...

The customs of a country can be understood through its indigenous dolls. In particular, facial features and even distinct countenances can be expressed in a way that make it possible for an outsider to witness that country’s history, life customs and artistry, while at the same time experiencing the spirit of the people. By means of bibliographical references, this thesis seeks to identify the palace fashion and accessories according to the social standing of the person that took part in the auspicious ceremony of the Joseon Dynasty, and depict a scene from a royal wedding using porcelain dolls. Based on palace fashion from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researcher fashioned figurines of the majestic figures of the king and queen, the yellow coat of the empress, the women of the royal family, the representative ritual clothes of civil officers, court dress, the Hongcheollic and Gapju of the military officers, and porcelain dolls of court ladies and eunuchs. The wedding ceremony of a royal family from that era was portrayed, figuratively. The red parasol, Bongseon, and Yeonreongi held by the eunuch were glazed with transparent white porcelain soil before being fired in a kiln, allowing it to adhere to those objects. To portray the traditional five colors of Korea, a colored clay experiment was performed, and based on the experiment, colored clay was created in the colors the clothes would be expressed. The detail for the accessories was accomplished using engraving and a mould to create an impression using pressure molding. To best bring out the contours of the Hanbok as expressed in the ceremony, a cloth slip technique was used to coat the slip and shape it. Three coats of gold water were then applied. At present, dolls in general are made using a wide variety of materials and techniques, but compared with dolls made from other materials, porcelain dolls look more elegant and have the advantage of standing the rest of time. By expressing a wedding in the royal family, one of the grandest and most formal of all the ceremonies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seeks to teach the world about the uniqu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and convey the excellenc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rough a proper understanding of history.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