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을 고찰하고 이를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여 미술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배움의 공동체가 추구하는 방향성을 올바르게 적용한 수업... 본 연구의 목적은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을 고찰하고 이를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여 미술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배움의 공동체가 추구하는 방향성을 올바르게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는데 도움을 주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에 근거하여 연구자가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Dewey이론에 나타난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은 어떠한가? 즉, Dewey의 이론이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과 연결되는가? 둘째, Vygotsky 이론에 나타난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은 어떠한가? 즉, Vygotsky의 이론이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과 연결되는가? 셋째,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을 통한 미술과 각 영역별 모형 개발의 아이디어는 어떠한가? 즉,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을 적용한 미술과 체험, 표현, 감상영역의 모형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이다.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Dewey의 이론과 Vygotsky의 이론을 고찰하여 Dewey의 이론과 Vygotsky의 이론이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 이론과 접해 있는지 고찰하였다. 그 다음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을 고찰하여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을 기반으로 한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의 제작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고찰된 이론을 바탕으로 학교 미술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을 교육과정 내용체계에 따라 체험, 표현, 감상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미술과에서 제시하는 역량을 바탕으로 하고, 여기에 배움의 공동체가 추구하는 활동, 협력, 표현을 기본으로 하였다. 모형 개발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에서 학습 주제를 선정할 때 21세기 핵심 역량을 적용하고, 학생들의 삶을 반영한 학생 발달 단계에 맞는 적절한 주제를 선정하였다. 둘째, 개별학습보다는 협력학습이 더 많이 일어날 수 있도록 모형을 개발하였다.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학생과 교재,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모형을 개발하였다. 셋째,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에서 주장하는 배움이 모형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에서는 학생들의 배움은 활동, 협동, 표현을 통해 일어난다고 한다. 따라서 교수-학습 모형에서 학생들의 활동, 협동, 표현을 통해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넷째, 모형의 기본은 학생 주도의 탐구형 모델로 개발하였다.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아닌 학생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학생 탐구형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다섯째, 창의적 표현 능력을 기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미술교과의 본질인 표현과 감상의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Dewey의 이론이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과 연결되는가에 대한 결론은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이 Dewey의 이론을 충실히 반영한 교육론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Dewey가 주장한 학교 수업을 통한 민주주의의 습득, 민주주의를 습득하기 위한 의사소통의 중요성, 경험을 통한 배움, 협력을 통한 배움이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에 고스란히 들어있음을 알 수 있다. Dewey의 교육론은 교육부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역량(지식정보처리 능력,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능력, 공동체 능력)과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ewey의 교육론을 반영한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도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길러줄 수 있는 적합한 교육론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둘째, Vygotsky의 이론이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과 연결되는가에 대한 결론은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이 Vygotsky의 이론을 충실히 반영한 교육론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Vygotsky가 주장한 사회문화적 발달은 인간의 발달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문화적 맥락에 근간을 두고 이루어진다는 것을 주장하였는데, 사회문화적 발달과 학생들의 배움도 개인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음을 알 수 있게 된다. 한 개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배움은 고등 정신 기능의 발달로 이어지고, 배움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근접발달영역을 통해 더 높은 배움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Vygotsky의 교육론은 또한 배움의 공동체의 교육론에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셋째, 배움의 공동체 교육론을 적용한 미술과 체험, 표현, 감상 영역의 모형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져야하는가에 대한 결론은 배움의 공동체가 미래사회에 대비한 학생들의 역량을 키워주는데 합당한 교육론을 알게 되었고, 이를 적용한 미술과 모형 개발은 배움의 공동체가 주장하는 이념들을 충실히 반영하였다. 배움의 공동체의 만남(사물, 동료, 자기)과 배움의 공동체의 활동을 통한 배움, 협동적인 배움, 표현적인 배움이 충실하게 반영된 모형을 개발하였다. 체험, 표현, 감상 영역의 모형은 각 영역의 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각 영역의 교육적 의의를 바탕으로 배움의 공동체가 주장하는 활동적, 협동적, 표현적 배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형이 개발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