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rove textbook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grammar area of ‘Standard Korean Textbook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ich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target of standard K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rove textbook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grammar area of ‘Standard Korean Textbook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ich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target of standard Korean textbook is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public education who have difficulty in limited Korean language ability such as immigrated students and played role to assist to adapt to school life by acquiring Korean language precisely and fluently as a second language. This teaching material has been used in the education filed since 2014 and some parts to be improved have been found. There have been continuous studies on elementary standard Korean textbook but few studies on middle and high school standard Korean textbook.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foundation to improve textbook by analyzing and evalua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andard Korean textbook by focusing on grammar area. First, it was set up the principles of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ategorized the category of grammar analysis into three aspects of ‘curriculum and syllabus, composition of textbook and lessons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largely and established detailed analysis standard per each category. It was analyzed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middle and high school according to nine specific analysis frameworks,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First, only half level was reflected among grammatical features suggest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so there is a need to specify contents precisely and increase the number of books of Korean textbook than the present situation to realize the curriculum properly. Second, there is a need to standardize not to contrary to school grammar which is the unit of education of grammar and to unify the method to mark sentence structure. Third, there is a need to reflect basic grammatical principle to compose sentences of Korean language as well as themes and functions when arrange grammatical features to the lessons of textbook. Fourth, there is a need to revise lessons which ill-matched themes, functions and sentence structures. Fifth, there is a need to supplement for there were no three-dimensional suggestions of grammar and lack of pragmatic explanation or discourse examples. Sixth, there were more practice activities of controlled and induced forms rather than significant communicative activities in practice activities. Especially, it was showed those aspects in middle school textbook than high school textbook, so there is a need to change to learn sentence structures due to actual usage practice. Seventh, there is a need to reduce assignment activities not to premise the use of sentence structures and to compose textbook with the assignment activities which has a value a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Last, for immigrated learners who should adapt to language usage by entering middle and high school, it is hoped that the analysis of textbook of this study would be foundation and to be developed better Korean language textbook.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토대로 개발된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의 문법 영역을 분석․평가하여 교재를 개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표준 한국어 교재는 중...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토대로 개발된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의 문법 영역을 분석․평가하여 교재를 개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표준 한국어 교재는 중도입국 학생과 같이 제한된 한국어 능력 때문에 곤란을 겪는 공교육 내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며, 이들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를 정확하고 유창하게 습득하여 학교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 교재는 2014년부터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면서 몇몇 개선해야 할 점들이 발견되었다. 그 동안 초등 과정의 표준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나 중등 과정의 표준 한국어 교재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2언어 교육의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의 큰 틀 안에서 한국어의 속성과 청소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중등 과정의 표준 한국어 교재를 분석함으로써 교재를 개선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제2언어 문법 교육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문법 교육의 원리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문법 분석 범주를 크게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교재 및 단원 구성, 교수 학습 활동’의 세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여 각 범주마다 세부적인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모두 아홉 가지의 세부적인 분석 기준에 따라 중학교․고등학교 한국어 교재의 문법 교육 영역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문법 항목을 교재에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내용을 정교하게 세분화하고 현재보다 한국어 교재의 권수를 더 늘릴 필요가 있다. 둘째, 문법의 교육 단위인 문형을 학교 문법과 어긋나지 않게 표준화하여야 하며 문형을 표시하는 방법도 통일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법 항목을 교재의 단원에 배열할 때 주제와 기능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문장 생성에 필요한 기본적인 문법 원리를 반영해야 한다. 넷째, 주제ㆍ기능과 문형 및 문형의 예문이 서로 어울리지 않는 단원에 대해서 세심한 수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문법의 난도와 교육 분량의 적절성을 검토한 결과 문법의 난도는 낮추고 등급에 필요한 문형의 분량은 늘려야 하며 단위 시간 당 문법 수업 분량은 줄여야 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에는 담화 문법의 측면에서 화용을 아는 것이 중요하므로 문법의 의미, 형태, 용법의 3차원적 제시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담화에서의 기능과 화용적인 제약까지도 적절하게 보여줄 수 있는 담화 수준의 예문을 늘릴 필요가 있다. 여덟째, 연습 활동에서 통제되고 유도된 형태 연습 활동보다 유의적인 의사소통적 활동을 더 늘릴 필요가 있다. 특히 중학교 교재에서는 실제 사용 연습으로 문형을 익히도록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아홉째, 문형의 사용이 전제되지 않는 과제 활동은 과감하게 줄이고 중등 과정 한국어 교재가 교과 학습보다는 한국어 교육으로서 가치가 있는 과제 활동으로 구성되도록 해야 한다. 중․고등학교에 입학하여 언어 사용부터 적응해야 하는 중도 입국 학습자들을 위해 본고의 표준 한국어 교재 분석이 초석이 되어 더 나은 한국어 교재가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