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중국어 의성어·의태어 비교연구 : 음식 관련 감각어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s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has become active due to internationalization, the exchange of food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well as the ways to introduce them, such as drama and publications, has also been increased. Thus, the pu...

As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has become active due to internationalization, the exchange of food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well as the ways to introduce them, such as drama and publications, has also been increas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mantic classification of Korean and Chinese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that are related to foods, and to compare the sense words of the two languages from semantic perspective. Linguistic and cultural connotation of those sense words with food are also investigated. Korea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n this study are limited to the subject of food, as otherwise their usage is diverse from nature to human life. Firstly,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of foods were selected and the words expressing five senses are classified. In chapter 2, types of sense that describe tastes of foods and how they are categorized were classified (single-sense vs. multi-sense), and semantic correspondence and cultural connotation via those expressions were discussed with a comparative study of sense words regarding foods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single-sense expressions are 334 (67.75%) whereas multi-sense expressions are 159 (32.25%) among total 493 Korean and Chinese food-related sense words. In spite of the surface gap of 35.5% between the two categories, the percentage of the factual single-sense expressions vs. descriptive multi-sense expressions were shown almost equal. Furthermore, words of tastes, and sight-touch and tough-hearing expressions were prominently used among the single-sense expressions and multi-sense expressions, correspondently. Chapter 3 subdivided single-sense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nto taste (sweet, salty, bitter, spicy, sour), sight (shape, color), touch (warmth, cold, texture of food) smell, and hearing, and analyzed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Chapter 4 subdivided multi-sense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nto <touch-hearing>, <sight-touch>, <sight-hearing>, <sight-touch-hearing>, <smell-taste>, and <sight-taste>, and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include single-sense and multi-sense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regarding food related senses based on commonly shared food culture between Korea and China. Key words: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China, sense of foods, onomatopoeia, mimetic words, single-sense, multi-sense, semantic correspondence.

최근 국제화로 인해 한·중 문화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양국 음식 문화교류도 활발해 졌다. 양국의 음식을 소개하는 드라마나 서적 출판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

최근 국제화로 인해 한·중 문화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양국 음식 문화교류도 활발해 졌다. 양국의 음식을 소개하는 드라마나 서적 출판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중 두 언어의 의성어·의태어의 의미유형을 분류하고 한국어 음식감각 의성어·의태어와 중국어의 음식감각 의성어·의태어를 의미론적인 측면에서 비교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양국 음식감각 표현을 중심으로 양국의 언어적, 문화적 의미도 같이 보고자 했다. 한국어 의성어·의태어는 그 범주가 자연에서 인간생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해서 본 논문에서는 특히 음식에 관련된 의성어·의태어를 자세히 분석하여 중국어와 의미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식(食)에 관한 의성어·의태어(예 : '시쿰시쿰'/'酸溜溜' 등)을 선정하고 그 중에 오감과 관계있는 의성어·의태어를 정리하였다. 2장에서는 한·중 양언어의 음식감각표현을 대상으로 한 비교연구로 음식의 맛을 표현하는 감각의 종류와 그 유형을 통해 양국 언어 간 의미적 대응관계와 나라별 음식감각 표현상에 나타나는 문화적 의미도 함께 기술하였다. 음식감각 의성어·의태어를 단일감각 의성어·의태어와 복합감각 의성어·의태어로 분류하였다. 음식감각 의성의태어를 단일감각 의성의·태어와 복합감각 의성어·의태어로 나누어 각각의 의미를 세분화시켜 어휘를 조사한 결과 한·중 양국의 전체 음식감각을 표현하는 의성어·의태어 493개인데, 그 중 단일감각 표현은 334개(67.75%), 복합감각 표현은 159개(32.25%)이다. 단일감각 의성의태어표현이 35.5%정도 많지만, 사실감 있는 단일감각 표현과 묘사적인 복합감각 표현이 거의 유사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단일감각에서는 미각표현이 두드러지게 많았고 복합감각 표현에서는 시각-촉각표현과 촉각-청각 표현이 53.4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3장은 단일 음식감각 의성어·의태어를 미각(단맛, 짠맛, 신맛, 쓴맛, 매운맛, 떫은맛), 시각(형태, 색조), 촉각(온각, 냉각, 식감), 후각, 청각으로 세분하였고 각 부분 중국어의 대응관계를 분석하였다. 4장은 복합감각 의성어·의태어를 <촉각-청각>, <시각-촉각>, <시각-청각>, <시각-촉각-청각>, <후각-미각>, <시각-미각>표현으로 세분하였고 각 부분에 대하여 중국어로 대응관계를 분석하였다. 한·중 두 나라의 공통된 식문화를 바탕으로 단일감각과 복합감각을 음식감각의 의성어·의태어 표현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논문이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 한국어를 중국어로 번역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