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지역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 : 방언을 포함한 교재 구성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국문초록> 전라남도 복지여성국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7년 6월 30일 기준으로 도내 거주 여성 결혼 이민자는 4,079 명에 달한다. 한국인의 배우자가 되어 한국에 삶의 터전을 마련한 ...

<국문초록>

전라남도 복지여성국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7년 6월 30일 기준으로 도내 거주 여성 결혼 이민자는 4,079 명에 달한다. 한국인의 배우자가 되어 한국에 삶의 터전을 마련한 여성 결혼 이민자들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우리 사회에 적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역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시급하고도 필요한 과제는 한국어 교육일 것이다.
그러나 현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는 이들의 직업과 거주 지역 등을 반영하는 다양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대부분 국내 대학이나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학문적인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 학습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라고 해도 각각의 직업이나 거주 지역 등에 따라 학습 요구는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한국어 교재 역시 각각의 수요에 적합하게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논문이 연구대상으로 하는 여성 결혼 이민자들은 대부분 농어촌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많이 접하는 생활 한국어 교육은 농업과 어업에 관한 내용뿐만 아니라 도시에 비하여 방언이 많이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동안 논의된 바가 없는 전남 지역 여성 결혼 이민자들의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전개하고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의 대상과 방법 및 선행 연구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전라남도 내에 있는 여성 결혼 이민자들의 현황과 한국어 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한국어 교육기관을 통해서 나타난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며, 또한 이들 기관에서 사용하는 교재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여성 결혼 이민자들과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과 이들의 요구 사항을 묻는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고 이들의 의사소통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제 대화를 녹취하여 전사해 보았다.
4장에서는 여성 결혼 이민자들이 효율적으로 방언을 학습하기 위한 기본 교육 요소를 방언 음운, 방언 문법, 방언 어휘로 나누었다. 그리고 전남방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본적인 음운 현상과 문장 연결어미 및 종결어미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들을 제시하고 문법 교육 방법과 어휘 교육 방법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2장의 기존 교재에 대한 분석과 3장의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토대로 방언과 함께 방언 어휘와 문법 부분에 영어 표기가 포함된 교재의 기본 방향과 단원의 실제 예 및 수업지도안을 내용으로 하는 교재 구성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그동안의 논점을 정리하고 여성 결혼 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과제와 개선 방안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방언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초급 교재부터 ‘어휘’부분에 방언과 영어를 병기하는 방안도 제안 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 결혼 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재에 실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방언을 포함하는 교재 구성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어 교육의 실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ccording to the statistics(2007.6) of Welfare & Women's bureau in Jeollanam-do, married immigrant women who live in Jeonnam province come up to 4,079 . As the number of immigrant women is rising steadily, nowadays various progra...

<Abstract>

According to the statistics(2007.6) of Welfare & Women's bureau in Jeollanam-do, married immigrant women who live in Jeonnam province come up to 4,079 . As the number of immigrant women is rising steadily, nowadays various programs are being developed to help them to adapt our society. Although there are many programs, the most necessary and pressing matter will be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immigrant women tend to lack the real language used in their residental district and occupation. Furthermore it is true that most of the current textbooks are mainly for the students who aim at academic purpose.
So the needs of students who want to learn Korean language are different from their occupation and residental district that should include their needs.
Especially as most of the immigrant women in this study live in rural and fishery areas, we have to consider that dialects are much more used in there compared with urban area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roper methods of composing a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immigrant women which has not been considered in current textbooks .
To accomplish this research, this study developed as follows.
In chapter 2 this study surveyed personal conditions of immigrant women,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in Jeollanam-do, pointing out the problems appea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current textbooks.
In chapter 3 I analyzed the survey results which immigrant women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answered. This survey was a questionnaire which focused on the necessity of dialect education.
To supplement the limits that a survey has and to grasp real conversation situation I recorded a real conversation between an immigrant women and her husband's aunt.
In chapter 4 on the basis of recording mentioned above , this study devised some basic Korean language education factors which are helpful to understand Jeonnam dialects so that dialect phoneme, dialect grammar, dialect vocabulary and suggested phoneme phenomena, connecting words, ending words, and frequently used vocabularies. I also suggested the methods of dialect grammar and vocabulary teaching.
In chapter 5 this study suggested fundamental ways of composing a textbook and a actual exemplary dialect chapter and teaching plan.
Lastly, in conclusion this study arranged the previous arguments and pointed out the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not mentioned in front chapters.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method of writing dialects with vocabulary together from beginner's level textbook to execute dialects education systematic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providing a opportunit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by including dialects in their Korean language textbook.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