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교육 참여자들이 후기를 작성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여 박물관의 소통력을 높이고 후기가 박물관교육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이를... 본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교육 참여자들이 후기를 작성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여 박물관의 소통력을 높이고 후기가 박물관교육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박물관교육 참여자들이 웹 커뮤니티에 남긴 자발적 교육후기의 형태적ㆍ내용적 특성을 파악하고 박물관교육 후기 작성에 대한 관련자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기간은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이며 연구는 질적연구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후기의 내용분석은 인터넷 문화기술지 절차를 따랐고, 박물관교육 후기 작성에 대한 인식은 심층인터뷰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웹 커뮤니티에 게재된 162개의 후기와 박물관교육 참여자 10명, 박물관교육 전문가 5명이다. 박물관교육 후기는 서울 경기 지역 박물관 중 교육후기가 지속적으로 게재된 4개 박물관에서 선별하였다. 첫째, 박물관교육 후기의 내용은 크게 박물관 교육에 대한 감상, 재참여의사, 정보전달, 참여 독려로 대분되는데 교육감상이 47.46%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정보전달 16.95%, 참여독려 13.56%, 재참여 의사 11.86%, 기타 10.17% 순이다. 박물관교육 후기에는 감상뿐만 아니라 관련정보, 교육평가, 참여권유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박물관교육 후기는 복습의 성격을 띤 학습과정의 하나임과 동시에 박물관을 알릴 수 있는 홍보매체라 할 수 있다. 둘째, 글을 작성하는 매체는 홈페이지, 카페, 블로그, SNS으로 조사됐으며 매체에 따라 게재된 후기의 개수와 형태적 특징이 달랐다. 가장 많은 후기가 게재된 매체는 홈페이지(78개, 48.15%)였으며 텍스트 위주로 작성되었다. 후기의 파급력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누적 조회량 역시 홈페이지가 59,532회(97.59%)로 월등히 높았다. 카페는 후기 수 50개(30.86%), 누적 조회수 970회(1.59%)로 텍스트와 더불어 사진이 게재되었다. 회원제로 운영되는 특성상 개인정보인 사진이 활용되고 있었다. 블로그의 경우 이미지 중심으로 후기가 작성되었고 후기 수는 31개(19.14%), 누적 조회수는 494회(0.81)%였다. SNS는 후기 수 3개(1.85%), 누적 조회수 7회(0,01%)로 확인되었으며 글이 짧고 명료했다. 셋째, 박물관교육 참여자 중 후기작성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경험을 기록하고 정보를 공유할 목적으로 후기를 작성했다. 그 결과 자녀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소통으로 인해 친밀감을 높아졌고 자신의 생각과 표현을 더 잘하게 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고 답했다. 넷째, 박물관 교육 참여자 중 후기작성 경험이 없는 사람들은 후기작성이 번거롭다고 했다. 단, 매우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경험을 할 경우 또는 이벤트나 할인혜택이 주어진다면 후기를 작성하겠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이들 역시 타인이 작성한 후기의 내용을 보고 교육 참여를 결정했다. 따라서 박물관교육 후기는 작성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다섯째, 박물관교육 전문가들은 교육후기 작성을 독려해본 경험은 없다고 했다. 대부분 교육 참여자들의 후기작성 이유를 단순히 칭찬, 불만을 표시하거나 자료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인식했다. 박물관 후기는 박물관과 교육 참여자들을 이어주는 소통의 창구이며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척도임과 동시에 정보를 제공하여 박물관교육 참여를 독려하는 홍보의 역할도 한다. 관람객들의 소통방식과 소통 매체의 특성을 알고 소통할 수 있는 웹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야말로 관람객 중심의 박물관이 되는 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museums and figure out the effects of reviews on the participation in museum education by arranging the environment where the museum education participants can fill out reviews. In 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museums and figure out the effects of reviews on the participation in museum education by arranging the environment where the museum education participants can fill out reviews.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has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form and contents of the voluntary education reviews posted on online communities by the participants and looked at the awareness of the relevant staff with regard to filling out reviews.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2013 to 2016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reviews abided by the Internet ethnography and the awareness regarding filling out the review of museum education was exam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objects were 162 reviews posted on online communities, 10 museum education participants, 5 museum education specialists. The museum education reviews were selected from four museum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ich had received consistent reviews. First, the contents of museum education review are mainly categorized into the appreciation of museum educati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again, the information delivery, and the encouragement to participate. Among the categories, the appreciation of museum education comprised the highest proportion with 47.46 percent and it is followed by the information delivery (16.95 percent), the encouragement to participate (13.56 percen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again (11.86 percent), and etc. (10.17 percent). The museum education reviews not only contain appreciation but also relevant information, assessment of education, participation suggestion, and so on. Thus, museum education review is a stage of learning process that has the character of revision and is means of promoting museums. Second, the media of writing reviews were website, online cafe, blog, and SNS and the number of reviews and characteristics of form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The medium which had the highest number of reviews was website (78 reviews, 48.15 percent) and the reviews were in written text. Website had the highest number of accumulated hits (59,532 hits, 97.59 percent) which show the far-reaching power and effect of reviews. Online cafe recorded 50 reviews (30.86 percent) and 970 hits (1.59 percent) and had text and photos posted on it. Since it was operated by membership, photos - personal information - were being used. In the case of blog, reviews were based on images and it recorded 31 reviews (19.14 percent) and 494 hits (0.81 percent). SNS recorded 3 reviews (1.85 percent) and 7 accumulated hits (0.01 percent) and the posting were short and clear. Third, those who have an experience of writing a review among the museum education participants had done it for the purpose of recording experience and sharing information. As a result, they responded that the experience had positive effects such as enhanced intimacy thanks to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education of children and being able to express one's own thoughts better. Fourth, those who did not have an experience of writing a review among the museum education participants said that it is cumbersome to write a review. However, they were willing to do it if the experience is either very positive or very negative or a special discount benefit is offered. They had decided to take part in the education after seeing the reviews posted by others. Therefore, museum education reviews did have an effect on everyone regardless of whether one has had an experience of writing a review or not. Fifth, the museum education experts did not have an experience of encouraging writing the review of education. They perceived the reasons of most education participants writing a review as merely to express compliment or complaint or a means to request the provision of data. Museum review is a channel of communication that connects museums and education participants, a scale of assessing museum education programs, and plays the role of promoting the participation in museum education by offering information. Arranging an online community space where the communication style of aud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can be identified and communicated is the right way to becoming a museum centered on audience.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