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가 다른 두 언어사이 고유명사 비등가 번역 : 한국 국립중앙박물관 소재 조선시대 유물 한영번역 사례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은 서울 국립중앙박물소재 조선시대 유물 고유명사 한영번역 시포괄적 등가(comprehensive equivalence) 외에 국소적 비등가(localized nonequivalence) 번역전략(translation strategy)을 조사하였다. ...

본 논문은 서울 국립중앙박물소재 조선시대 유물 고유명사 한영번역 시포괄적 등가(comprehensive equivalence) 외에 국소적 비등가(localized nonequivalence) 번역전략(translation strategy)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자어를 한글로 풀어쓰고 다시 한글을 영어로 번역한 경우가 가장 빈번하였다. 이러한 한영번역 전략을 토대로 Vinay와 Darbelnet(1995) 그리고 Baker(2011)의 비등가 번역전략을 1차적으로 14개 범주 그리고 다시 단일, 두개, 세 개의 범주로 각각 분류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과 부합된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단순히 직역을 넘어서 포괄적 의미에서 등가가 발견되었고(단일 범주: 7.27%), 둘째 비등가 번역전략의 개념적이고 기능적인 등가는 음차번역인 차용(borrowing)을 비롯해서 일반적인 단어 상위어, 생략까지 발견되었다(단일 범주: 92.73%). 셋째 Vinay와 Darbelnet 그리고 Baker의 비등가 번역전략 범주들은 서로 다른 범주에 속하는 사례들이 드러났다. 특히 Baker의 비등가 번역전략 범주들은 목표언어 독자들에게 원천언어의 텍스트를 수월하게 접근하는 번역전략으로 간주될 수있었다. 넷째 박물관 유물에서 비등가 번역전략의 범주 중 직역(literal translation)은 가장 두드러지게 사용되었고, 설명을 덧붙인 차용어 그리고 일반적인 단어 상위어와 (비)관련어를 사용한 풀어쓰기 등이 순차적으로 사용되었다. 결국 국립중앙박물관 유물들의 고유명사를 단어 차원 등가(word-level equivalence)와 비등가의 이분법(dichotomized non-equivalence)으로만 번역하게 되면 문화의 특성(characteristics of culture)까지 포함한 단어 번역에는 한계성이 존재한다.

This thesis investigated localized non-equivalence along with comprehensive equivalence during the Korean-to-English translation of relic proper nouns from the Joseon Dynasty in the National Museum, Seoul, Korea. In most cases, Chinese characters were...

This thesis investigated localized non-equivalence along with comprehensive equivalence during the Korean-to-English translation of relic proper nouns from the Joseon Dynasty in the National Museum, Seoul, Korea. In most cases, Chinese characters were first translated to Hangul and then to English. According to Vinay and Darbelnet’s (1995) and Baker's (2011) classifications, in which the non-equivalence translationstrategies are grouped into 14 types, which are in turn classified into single, dual, and triple categor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mprehensive equivalence beyond the level of literal transliteration was trivial (single category: 7.27%). Second, localized non-equivalence was frequently evident in more general words and omissions (single category: 92.73 %) as well as borrowing used in phonetic translations. Third, Vinay and Darbelnet’s (1995) and Baker's (2011) classifications revealed the cases with dual or triple categories. In particular, Baker's classification seems to direct for more comfortable understanding of the source texts by target-language readers. Fourth, literal translation was the most predominant non-equivalence translation-strategy, while loan-words plus explanation follow the next. The sequence continues with more general words and then paraphrasing. Taken together, unless translation between two different cultures transcends word-level equivalence and dichotomized non-equivalence, limitations to transfer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re expected to occur.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