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상시위기의 시대에서 조직과 그 구성원은 지속적으로 적응하고 민첩하게 대응하며 계속된 자기개발의 태도를 요구받고 있다. 이에 조직...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상시위기의 시대에서 조직과 그 구성원은 지속적으로 적응하고 민첩하게 대응하며 계속된 자기개발의 태도를 요구받고 있다. 이에 조직의 변화는 필수적인 숙명이 되었으며 기업은 혁신적으로 변화하고자 두려움을 감수하고 복잡하며 급변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에 과감하게 도전하고 있다. 이처럼 조직변화에 대한 높은 관심은 기업 현장뿐만 아니라 학계에서 또한 끊임없이 연구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선행된 연구의 대부분은 조직의 전략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조직 구성원 측면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이에 개인의 심리적 성향에 초점을 맞춘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 근로자의 핵심자기평가가 조직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며 그 과정에서 직무의미창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진행을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으로 지정한 회사들을 대기업으로 정의한 뒤 연구대상 선정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1명의 응답이 수집되었으며 그 중 불성실한 응답, 무응답 문항이 많은 39명의 응답을 제거한 후 262명의 응답을 최종적으로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각 연구변인 척도의 요인 구조를 상정하고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상관분석, 경로분석, 부트스트랩 등을 통해 연구변인 간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핵심자기평가는 조직변화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직무의미창조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핵심자기평가는 조직변화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직무의미창조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트스트랩을 통해 직무의미창조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핵심자기평가, 직무의미창조, 조직변화몰입이 각각 상호 정적인 영향력을 줄 것이라는 연구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연구 결과가 지니고 있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그동안 선행연구에서는 핵심자기평가와 조직변화몰입 간의 단면적인 관계성만 밝힌 반면 본 연구에서는 핵심자기평가가 조직변화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의미창조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론적인 측면에서 선행연구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또한, 조직의 변화와 발전이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조직 구성원 차원으로 접근한 핵심자기평가의 영향력을 증명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실무적인 측면으로 기업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변화, 혁신교육을 실시할 때 조직에서 취해야 하는 전략과 더불어 임직원들이 가져야 하는 태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핵심자기평가 수준이 높은 사람은 조직변화에 적극적으로 몰입한다는 결과를 기반으로 조직 구성원 평가과정에서 핵심자기평가 수준을 평가과정의 예측 요인으로서 검토한다면 변화 지향적인 조직문화를 정착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