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도시는 경제성장 위주의 도시화, 산업화의 진행으로 도시 내 자연 녹지의 감소, 불투수면 증가, 생태환경 악화 등의 환경적 변화로 인해 침투량은 급감하고 유실량은 급증하였다. 이러... 현재 도시는 경제성장 위주의 도시화, 산업화의 진행으로 도시 내 자연 녹지의 감소, 불투수면 증가, 생태환경 악화 등의 환경적 변화로 인해 침투량은 급감하고 유실량은 급증하였다. 이러한 자연적 수순환 체계의 파괴로 홍수 및 침수가 주기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빗물이 자연재해의 원인으로 인식되어 빠른 배수와 처리의 대상이 되었다. 이제는 빗물을 단순히 재해의 원인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닌, 경제적 가치를 갖는 수자원으로 바라보고 도시 수순환 문제를 완화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최근 자연적 수순환 체계를 중심으로 한 저영향개발(LID)이 주목 받고 있다. 자연적 수순환 체계는 우수를 저류, 침투 및 이용함으로써 지표유출량을 줄여 침수피해를 저감할 수 있으며, 단절된 도시의 수순환 체계를 회복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우리나라 도시의 침수피해지역의 토지이용은 대부분 주택지가 차지하고 있다. 주택의 형태는 크게 공동주택(고층·고밀)과 단독주택(저층·저밀)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 중 단독주택은 주택 침수피해 구성비 중 61%로 침수피해에 취약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시 저층·저밀 주거지역에 적합한 수순환 체계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서울시 내에서 단독주택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광진구로, 침수예방 및 완화를 위해 침수피해지역의 상류인 ‘구의 2동’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수순환 체계 구축 절차 및 규모설정은 서울특별시 빗물관리 기본계획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였다. 수순환 체계 구성요소는 대상지의 인문·자연환경분석 및 선행연구, 연구보고서, 가이드라인 등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수순환 체계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수순환 체계 설계 수립은 대상지를 공간 유형별로 주택지와 공공시설로 구분하여 필요대책량을 만족하도록 계획하였다. 적용 된 수순환 체계 계획은 기존 도시의 관거 위주 배수 체계를 보완하는 계획으로 주거지역의 빗물은 지역 내에서 저류, 침투 및 증발산 등의 자연적 수순환 체계를 통해 자연으로 순환된다. 그 결과 기존 대상지의 우수유출량 중 약 16.4%를 저감할 수 있었으며, 연간 상수도 요금의 2천 5백만원의 절감효과가 예측된다. 이는 단절된 도시의 수순환 체계의 회복을 도모하고, 지표유출량을 줄여 침수피해를 저감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 개발 된 저층·저밀 주거지역의 수순환 체계를 선도적으로 적용한 사례로 볼 수 있다. 실제 적용 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환경적·경제적 효과 이상으로 문화적 효과 및 쾌적한 주거공간의 창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