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To accomplish this goal,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set. 1. How is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in terms of s...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To accomplish this goal,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set.
1. How is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in terms of studying?
1-1 How are studying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going?
1-2 What are the difficulties for studying?
1-3 Is there a difference of studying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2. How is social relationship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2-1 How is social relationship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2-2 What are the difficulties in social relationship?
2-3 Is there a difference of social relationship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3. How is satisfaction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with school life?
3-1 How is satisfaction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with school life?
3-2 What are the difficulties that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experience in school life?
3-3 Is there a differenc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The questionnaires consist of students' background variables, school study area, social relationship (parent, friends, and teachers), and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3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sent 49 elementary schools that were randomly selected by mail. And 150 copies were collected (collect rate 50%). Except a copy that was impossible for statistical analysis, 149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by SPSS 12.0 program, and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frequency, percentage, cross- tabulation analysis, t-test and variable analysis were perform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do their homework well. In terms of understanding on learning, they understand Korean and math best. Generally, they participate in class well. Also, they have high self-confidence in studying. The most difficulty in school study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is Korean language use ability. Among four language skills, they feel writing is the most difficult. There is a difference of task performance according to students' sex and also difference of task performance according to appearance. There is a understanding difference on learning according to grades. There is a understanding difference on learning according to students' sex. There is a difference on students' task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mothers' level of Korean language, and appearance. There is a difference of students' attitude to learning according to their mothers' language, specifically, speaking, listening, and writing. There is a difference of students' attitude to learning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re is a school work efficacy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s. There is a difference of students' school work efficacy according to their mother's Korean language skill.
Second, most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proud of their mothers. According to level of Korean language skill, there is a difference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have mostly their close friends and their relationship is smooth. According to mother's level of Korean language skill, there is a difference of friends.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ve goo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grades, there is a difference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According to students' sex, there is also difference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Third,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mostly satisfied with their school life. There is no differenc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 are these. If the study compared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ose from common families, more specific results can be acquired on how difficult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eel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and what is their difference from students from common families. Also, it will help to build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학생학교생활적응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다문화가학생학교공부에서 학교생활적응은 어떠...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공부에서 학교생활적응은 어떠한가?
1-1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공부는 어떠한가?
1-2 학교공부에서 어려움은 무엇인가?
1-3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공부의 차이가 있는가?
2.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관계(부모관계, 친구관계, 교사관계)는 어떠한가?
2-1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관계는 어떠한가?
2-2 사회관계에서 어려움은 무엇인가?
2-3 배경변인에 따라 사회관계의 차이가 있는가?
3.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은 어떠한가?
3-1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만족은 어떠한가?
3-2 학교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3-3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생활만족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내 초등학교에 다니는 다문화가정 학생이다. 설문지의 구성은 학생의 배경변인, 학교공부영역, 사회관계(부모, 친구, 교사), 학교생활 만족도를 측정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임의로 표집한 49개의 초등학교에 우편으로 설문지 300부를 발송하여, 150부가 회수되었다(회수율50%). 통계처리가 불가능한 1부를 제외한 149부가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 t-검증과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중심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의 학생은 과제를 잘 해오고 있다. 학생의 학습에 대한 이해는 다른 과목에 비해 국어와 수학에서 가장 높다. 수업태도는 학교 수업에 전반적으로 잘 참여하고 있다. 또한 공부에 대해서 대부분 높은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공부에서 가장 큰 어려운 점은 국어 사용능력으로 나타났으며 국어 사용능력 중 쓰기를 가장 어려워하고 있다. 성별에 따라 과제이행의 차이가 있다. 외모의 차이에 따라 학생들의 과제이행의 차이가 있다. 학년에 따라 교과이해의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교과이해의 차이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한국어사용능력, 외모의 차이에 따라 학생들의 과제이행의 차이가 있다. 어머니의 한국어 사용능력 중에서 말하기, 듣기, 쓰기능력에서 수업태도의 차이가 있다. 외모의 차이에 따라 학생들의 수업태도의 차이가 있다. 거주지별에 따라 학업효능감의 차이가 있다. 어머니의 한국어사용능력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효능감 차이가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학생은 거의 어머니를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다. 한국어사용능력에 따라 부모의 관계성은 차이가 있다. 다문화가정의 학생은 대부분 친한 친구가 있고 친구들과 원만하게 생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한국어사용능력에 따라 친구관계는 차이가 있다.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은 교사와 잘 지내고 있다. 학년별 차이에 따른 교사 관계의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라 교사와의 관계성에 차이가 있다.
셋째,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은 학교생활에 대해 대부분 만족하고 있다.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생활 만족의 차이는 없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중심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을 다문화가정의 학생과 일반가정의 학생을 함께 연구하여 결과를 비교한다면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의 어려운 점과 일반가정 학생들과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며, 다문화학생들에 대해 적절한 지도방안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가 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