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2005년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을 제정하여 이에 근거한 정부 주도의 자원봉사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모든 지자체에 자원봉사센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자... 우리나라는 2005년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을 제정하여 이에 근거한 정부 주도의 자원봉사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모든 지자체에 자원봉사센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자원봉사센터들은 ‘자원봉사문화의 확산’과 ‘기관·단체들 간의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시민들의 참여 도모’를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자원봉사센터가 설치되고 20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음에도 그에 맞는 가시적인 성과나 효과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최근 봉사활동 연간 참여율은 20%를 웃도는 낮은 수준에 정체되어있다. 이에 자원봉사센터를 중심으로 현재 상황에 맞는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자원봉사의 개념 및 기본 가치를 알아보고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해 시행되고 있는 자원봉사 제도의 전반적인 현황을 검토하였다. 이어 정부의 자원봉사 활성화 지원제도의 대표적 유형으로 각 지역 수준에서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자원봉사센터를 중심으로 실태를 파악하였다. 우리나라의 자원봉사센터 운영 형태는 직영, 위탁, 법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존 다수 연구에서는 자원봉사센터의 바람직한 운영 형태로 독립성을 확보한 민간 운영을 강조하여 왔다. 하지만 서울시내 자치구 자원봉사센터의 경우 총 25개 자치구 자원봉사센터 중 17개의 센터가 직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질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자치구 자원봉사센터 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운영체계, 프로그램 운영, 자원봉사자 등록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대상으로 3곳의 자원봉사센터를 선정하였다. 또한 각 센터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자원봉사와 자원봉사센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설문 조사 및 면접 내용을 토대로 자원봉사센터의 역할 강화 방안을 4가지로 도출해 보았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효과적 자원봉사 관리를 위해서는 자원봉사센터 인력 구성이 보완되어야 한다. 자원봉사자에 대한 자원봉사 관리체계의 적절한 적용을 위해서는 인력 규모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외부 요인 고려로, 외부 환경에 기인한 성과가 도출되기도 하는바 지역적 수요와 공급을 고려한 자원봉사센터의 운영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 세 번째, 지역사회의 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한 환경 구축 차원에서 관계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 운영의 필요성을 포착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원봉사캠프를 중심으로 하는 자원봉사 프로그램 확대와 그 효과의 신장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