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뚝 없는 공장’, ‘보이지 않는 무역’ 등으로 표현되는 관광산업은 내부로는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없이도 외화획득, 고용 창출의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외부로는 국제 친선, 문화교류,... ‘굴뚝 없는 공장’, ‘보이지 않는 무역’ 등으로 표현되는 관광산업은 내부로는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없이도 외화획득, 고용 창출의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외부로는 국제 친선, 문화교류, 국위 선양 등의 역할을 하는 고부가 가치 산업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관광산업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정부 및 민간단체에서 특별법 시행 등을 통해 다양한 노력하고 있으며, 그에 하나로 부족한 국내 관광숙박시설의 확충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 숙박시설은 고가의 특급 호텔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개발되는 호텔들도 그 다양성이 적어 국내를 찾는 관광객들의 불만이 이야기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를 방문하는 세계 각국의 관광객들을 위한 다양한 숙박시설을 마련을 위해 전통 건축인 한옥의 형태로 숙박시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듯이 국내 호텔업계에서도 우리 전통문화의 계승 및 발전 및 다양한 숙박시설의 마련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옥형 호텔 객실의 인테리어 코디네이션 현황을 통해 특성을 상세하게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분석을 통해 신규 한옥형 호텔 계획 시 개선된 인테리어 코디네이션 범위와 근거를 제시하여 시대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적합한 적용이 제2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한옥형 호텔로 정의한 한국전통호텔업에 포함된 호텔들을 대상으로 현황을 정리하며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거실 공간의 고정적 요소 중 바닥은 비닐장판, 벽은 평벽형태에 한지벽지, 천장은 종이반자, 개구부 중 창은 전통 창살에 유리와 창호지 무늬 아크릴을 같이 마감하였고, 문은 전통 창살에 창호지 무늬 아크릴이 주로 사용되었다. 가동적 요소 중 가구는 침대 외 옷장, 화장대, 경대 등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액세서리는 거울과 오브제, 직물류는 침구류가 주로 설치되었다. 심미적 요소 중 주요 재료는 목재와 한지이며, 색채는 미색과 진한 나무색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조명은 천장부착형 한지 조명 사용되었으며 그래픽은 아트월로 표현되었다. 2) 침실 공간의 고정적 요소 중 바닥은 강화마루, 벽은 심벽형태에 한지벽지, 천장은 연등천장, 개구부의 창은 창살에 창호지 무늬 아크릴과 유리, 문은 창살유리가 주로 사용되었다. 가동적 요소 중 가구는 사방탁자, 좌식책상 등이 주로 설치되었으며, 액세서리는 액자, 직물류에는 얇은 커튼, 방석, 쿠션, 침구류, 보료, 방석 등이 설치되었다. 심미적 요소 중 재료는 목재와 한지이며, 색채는 미색과 진한 나무색, 조명은 천장부착형 한지 조명이 주로 사용되었다. 3) 욕실 공간의 고정적 요소 중 바닥, 벽은 세라믹 타일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천장은 ABS계 욕실 천장제, 개구부의 창은 창호지 무늬 아크릴 마감, 문은 창호지 무늬 아크릴 마감과 우리판문이 주로 사용되었다. 가동적 요소 중 가구는 대부분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대리석 욕조, 목재 수납장이 설치 된 경우도 있다. 액세서리는 거울, 직물류는 주로 없으며 롤 블라인드와 샤워커튼이 마감되었다. 심미적 요소 중 재료은 주로 목재와 석재가 사용되었으며, 색채는 미색, 진한 나무색, 백색, 연한 회색, 황색 등이, 조명은 천장 부착형과 매립형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둘째, 이러한 현황들을 통해 도출 된 특성을 공간별로 정리해 보면, 1) 침실공간의 고정적 요소 중 바닥은 비닐장판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편리한 시공으로 주로 많이 사용되나, 현대적 마감재이다. 가동적 요소 중 가구는 호텔이라는 특성에 따라 편의를 위해 현대적 가구인 옷장, 침대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공간의 코디네이션 조화를 위해 전통적 소재 및 패턴으로 마감하였다. 또한, 가구와 직물류에 동일한 패턴 및 자수를 사용하면서 전체적인 통일성이 갖게 했다. 심미적 요소 중 조명은 코니스 조명을 사용함으로 전통적 조명과 유사하게 간접조명을 표현하였다. 또한 그래픽으로 사용된 아트월은 전체적으로 차분하고 밋밋할 수 있는 한옥적 공간에 활기찬 분위기를 주도하였다. 2) 거실공간의 고정적 요소 중 천장은 한옥에서 마루나 대청에 사용되는 연등천장이 사용되어 한옥의 형태가 잘 드러났다. 가동적 요소 중 가구와 직물류는 전통적으로 사랑방에서 주로 사용하는 가구와 직물류가 사용되었다. 가구는 사방탁자, 좌식책상이 설치되었고, 직물류는 보료, 방석이 마감되었다. 심미적 요소 중 조명은 천정부착형 한지조명이 설치되어 전통 한옥에서 나타나는 간접조명과 유사하여 은은한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3) 욕실공간은 전통호텔업 법령에 명시된 ‘이용자의 불편이 없도록 욕실 또는 샤워시설을 갖추고 있을 것’ 이라는 등록기준에 따라 현대적 욕실 시설에 부분적으로 전통적 요소들로 인테리어 코디네이션 되었다. 고정적 요소 중 개구부는 아크릴과 판문을 사용하여 거실과의 인테리어 코디네이션의 조화를 이루었다. 가동적 요소 중 직물류는 롤 블라인드와 샤워커튼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마감은 이용자의 불편이 없도록 갖추진 것이지만, 타 공간과 어울릴 수 있도록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자연소재와 유사한 롤 블라인드가 적합하게 사용되었다. 셋째, 분석의 종합 통해 한옥형 호텔 객실의 인테리어 코디네이션 특성 을 바탕으로 추후 새롭게 건축 될 한옥형 호텔 객실의 인테리어 코디네이션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침실공간은 주로 여성들이 사용하는 안방의 형태로 제안하며, 안방은 가정생활의 중심이 되는 공간으로 집에서 느낄 수 있는 어머니의 따뜻함과 여성의 화려함을 표현한다. 고정적 요소 중 특별히 바닥에 조선시대 상류층에서 사용했던 천마감과 유사한 형태의 바닥마감으로 제안한다. 다채롭게 다양한 색을 사용하여 전통적으로 안방에서 나타났던 화려함을 표현하고자 한다. 가동적 요소 중 가구는 전통적 형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침대는 매트리스만을 사용하여 전통적 형태를 유지하거나, 프레임을 전통적 문양으로 마감한다. 장의 경우 옷이 구겨지지 않도록 헷대에 걸쳐 보관하는 의걸이장 형태에 현대적인 기능들을 추가하여 마감한다. 또는 머릿장은 소품, 귀중품을 보관했던 장으로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경대는 전통적 형태가 작고 좌식형태 불편할 수 있음으로 현대적 형태로 제안한다. 또한 직물류는 차양을 위해 빛을 가릴 수 있는 자연소재와 유사한 암막 블라인드 사용을 제안한다. 심미적 요소 중 조명은 등록 형태로 전반확산조명을 제안해 자연적 빛과 유사한 온아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그래픽으로 침대 헤드에 그림 위주의 아트월을 적용한다. 2) 거실공간은 남성의 공간인 사랑방을 기준으로 인테리어 코디네이션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손님을 맞이하는 공간으로도 사용되는 사랑방은 단순함과 전통적 단아함이 들어나도록 표현한다. 고정적 요소 중 천장은 연등천장을 사용하여 한옥의 형태가 잘 들어나도록 제안하며, 구조상 연등청장이 어려울 경우 우물반자 형태를 통해 한옥적 느낌을 드러낸다. 개구부는 거실과 침실에 사이에 장지를 사용하여 공간적 분리한다. 가동적 요소 중 가구는 사랑방에서 주로 사용했던 사방탁자, 문갑, 경상 또는 서안 등과 함께 전통적 보료와 방석을 마감하다. 액세서리로 병풍을 제안한다. 심미적 요소 중 조명은 코니스 조명과 같이 간접조명을 설치하여 천장의 형태가 잘 들어날 수 있도록 제안한다. 3) 셋째, 욕실공간은 현대적 편리성을 바탕으로 전통적 마감으로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편리성을 있지만, 그 형태는 최대한 전통적 요소를 사용하고자 한다. 고정적 요소 중 개구부는 창은 전통 창살에 유리 마감을, 문은 우리판문 또는 붙발기문을 사용한다. 가동적 요소 중 직물류는 창에 롤 블라인드를 사용하데, 물에 강하며 자연소재의 형태가 있는 PVC 소재로 제안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