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족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 온라인 교육 방안 연구 : NIE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 Study on Online Bilingu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 Focusing on NIE While the total school-age population estimates in Korea are decreasing due to the declining fertility rate, the number of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cons...

A Study on Online Bilingu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 Focusing on NIE While the total school-age population estimates in Korea are decreasing due to the declining fertility rate, the number of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constantly on the rise. Statistics 2016 released by Ministry of Education shows that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has increased by 20 percent from the year before, standing at 99,186, a figure nearing 100,000. Such phenomenon not only signifies the country’s growing population but also calls for an adequate education system for multicultural students. The numbers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are highest in the following order: those born on Korean soil with international parents (a Korean and a foreign nationality), those born outside of Korea but with foreign national parents who reside in Korea, and those born on foreign soil with international parents who moved to Korea. Those born in Korea with international parents tend to have a slower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skills as they spend most of the time with their mothers who cannot speak Korean well, and also are seldom fluent speakers of the other language of their parents. Such linguistic setbacks found in multicultural children result in dropout due to difficulties keeping up with school, social maladjustment, identity crisis, and so on. Therefore, this dissertation predicates on the importance of bilingu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searches for online bilingual education that can be administrated without temporal or spatial constraints. First of all, I conclude from analysing policies in relevant organisations that fund bilingu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that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focuses more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bilingual education itself, and also that it is limited to temporary and transitory service. Subsequently, I suggest that online education can provide a solution to those problems. Therefore, the dissertation conducts a case study on LG Global School’s online programme currently in operation and a survey for online cours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From the survey, I conclude the following: First, online bilingual education by reason of its availability without temporal or spatial constraints allows to receive bilingual education children in the non-capital region, and even those whose parents’ mother tongues are not English, Chinese, or Japanese but minority South Eastern languages can receive the education. Second, instead of lecture-based learning, learner-oriented online education has been shown to improve bilingual abilities among the students as it utilizes teaching materials with a lot of visual aids that help students have an interest in learning and achieve a high level of concentration. Third, the online education help children have pride in their parents’ home countries through understanding the cultures, and build their identities as well as improving their bilingual fluency. Multicultural children experience identity crises as they are exposed to their parents’ two different nations and cultures. Therefore, I suggest in this dissertation an online bilingual education plan that applies both Trans-identity Theory in conjunction with multicultural identity in the children, and Newss In Education (NIE) which is used as an effective media education method. Multicultural children have a great deal of potential in the global world as they can speak two languages. We as a society should show full support for them to develop such a talent and provide them with policies and environ that can assist to raise multicultural children with an unwavering positive identity.

다문화가자녀위한 이중언어 온라인 교육 방안 연구 : NIE를 중심으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율 저하로 인해 학령인구가 줄어들고 있지만 그에 반해 다문화 학생 수는 지속적으로 늘고...

다문화가자녀위한 이중언어 온라인 교육 방안 연구 : NIE를 중심으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율 저하로 인해 학령인구가 줄어들고 있지만 그에 반해 다문화 학생 수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초중고 다문화 학생 수는 전년대비 20%가 증가하여 총 99,186명으로 거의 10만 명에 가까워졌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단순한 인구 증가를 넘어 다문화 가족 자녀를 위한 적절한 교육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다문화 학생 수의 유형은 국제결혼 커플이 국내에서 출산한 국내출생,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사이에서 출생한 외국인가정, 국제결혼 커플이 외국에서 출산한 후 귀국한 중도입국 순으로 나타난다.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국제결혼 커플이 국내에서 출생한 다문화 가족 대부분의 자녀들은 한국말이 서툰 결혼이민자 어머니와 시간을 많이 보내 한국어 발달이 더딘 편이며, 부모 출신국의 모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경우 또한 매우 드물다. 다문화가족 자녀의 언어적 문제는 학업의 어려움으로 인한 학업중단, 사회부적응, 정체성 혼란 등의 결과로 이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 교육의 중요성을 토대로,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교육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 온라인 교육을 활용한 이중언어 교육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먼저 다문화가족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 지원에 관한 부처별 정책 분석을 통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이중언어 교육은 실제 이중언어에 대한 교육보다는 다문화 이해 교육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과 일시적이고 한시적인 교육이라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문제점의 보완으로 필자는 온라인 교육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LG와 함께하는 사랑의 다문화학교’ 이중언어 온라인 과정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였고, 온라인 교육을 수강한 학생들을 상대로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시간과 장소의 제약에서 벗어나 교육이 가능하여 수도권이 아닌 지방에 거주한 학생들과 영어, 중국어, 일본어와 같은 주류언어가 아닌 동남아 출신 부모의 모국어와 같은 소수언어권 자녀도 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둘째, 주입식 교육이 아닌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시각적 효과가 큰 수업 자료들을 통해 집중도가 높아 이중언어 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온라인 교육을 통해 이중언어 뿐 아니라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부모님 국가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며 정체성이 함양되었다. 한편, 다문화가족 자녀는 부모에 의해 두 국가, 두 문화를 가지게 됨으로써 정체성 혼란을 겪는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자녀의 정체성과 연결되는 트랜스 아이덴티티 이론과 미디어교육으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NIE(신문활용교육) 수업 방법을 적용하여 이중언어 온라인 교육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다문화가족 자녀는 글로벌 사회 속에서 두 개 언어를 사용할 수 있어 성장 가능성이 무한하다. 우리는 함께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으로서 다문화가족 자녀가 이러한 재능을 펼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지해주고, 흔들리지 않는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며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제도와 환경을 마련해 줘야 할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