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무용 관람에 대한 일반인 관람객들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연선택요인의 주관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공연소비패턴에 대한 상세한 관점을 이해하는데 있...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무용 관람에 대한 일반인 관람객들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연선택요인의 주관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공연소비패턴에 대한 상세한 관점을 이해하는데 있다. 따라서 무용공연 관람객들의 공연선택요인을 기존 선행연구들 속에 결여되어있는 소비패턴에 대해 상세한 관점에 대해 살펴보고 그를 보완하고자 주관성연구로 대표적인 Q방법론(Q-metho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현대무용관람경험이 있는 18명을 선정하여 개방형설문지를 통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추출된 약 40여개의 Q표본(Q-statements) 중에서 의미상 중복되는 문항을 제외하고 총 35개의 유의미한 Q표본을 도출하였다. 또한 P표본은 1년 이내 현대무용공연관람 1회 이상,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 추출을 통해 총 46명에게 Q-sorting을 실행하였으며, 그 중 인터뷰에 불성실하게 임하고 자격요건이 불분명한 표본을 제외한 총 40명의 표본을 최종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PC-QUANL Program을 통해 주요인을 분석하였고 회전방식은 Varimax를 이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유형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무용 공연선택요인은 최종적으로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 되었으며, ‘제 1유형’은‘다양성경험을 통한 영감추구 아티스트형(N=16)’, '제 2유형‘은‘지인출연이나 권유를 통한 공연경험형(N=11)’, ‘제 3유형’은‘무용가의 능력 추구형(N=6)’, ‘제 4유형’은‘지적호기심을 가진 공연입문자형(N=2)’, ‘제 5유형’은‘홍보를 통한 공연경험형’(N=5)으로 유의미하게 분류되었다. 둘째, 각 유형별 특성은 인자가중치(fator weight)를 분석해 가장 대표되는 표본을 선정하고 진술문(Q-SAMPLE)의 표준점수(Z값)를 통해 파악하였다.‘제 1유형(다양함 속 영감추구 아티스트형)’은 각 유형 중 가장 많은 표본수를 포함하고 있으며 단순한 예술경험으로써 공연관람이 아닌 본인의 전공의 능력을 고취시키고 학습하는 유형이라 볼 수 있다. ‘제 2유형(지인출연이나 권유를 통한 공연경험형)’은 각 유형 중 두 번째로 많은 표본수를 포함하며 지인의 권유나 출연으로 인한 선택이지만 지인의 권유나 출연이 아니면 ‘자발적 공연관람’은 이루어지지 않는 유형이기도 하다. ‘제 3유형(무용가의 능력 추구형)’은 인지도 있는 안무가나 무용수를 선호하고 지인의 권유나 출연으로 인한 공연선택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대다수가 본인의 의지로 현대무용공연을 선택했지만 공연에 대한 재미나 흥미는 다른 유형에 비해 적은편이며 의무적인 공연경험이 다수 응답자들에게 보였다. ‘제 4유형(지적호기심을 가진 공연입문자형)’은 문화예술에서 한 장르로 현대무용에 대한 궁금증과 호기심이 공연장으로 이어졌으며 처음으로 접하는 현대무용에서 신선한 매력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집단보다 공연 관람을 할 때 본인의 의지가 가장 큰 유형이다. ‘제 5유형(홍보를 통한 공연경험형)’ 현대무용 선택하는 요인이 홍보에 대한 긍정문항이 대부분이었다. 보통 뮤지컬과 같은 대형작품들을 선택할 때 홍보나 마케팅을 통한 공연의 내용을 접하고 흥미를 느끼는 유형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구분된 다섯 가지 유형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도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사점에 대한 진술문으로는‘지인의 권유’, ‘다양한 예술장르로 견문’, ‘특유의 에너지나 카리스마’, ‘문화예술 관심 높고 다양함을 추구’모든 유형이 공통적으로 긍정하는 진술문으로 나타났다. 또 ‘자주 가는 공연장’, ‘작품의 의상’, ‘작은 작품의 규모’, ‘저렴한 티켓비’는 모든 유형에서 부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점에 대한 진술문으로 ‘제 1유형’과 ‘제 2유형’사이의 가장 높은 표준점수차를 보이는 문항은‘내가 하는 일에 영감을 받기 위해’, ‘제 1유형’과 ‘제 3유형’사이의 가장 높은 표준점수차를 보이는 문항은 ‘인지도 있는 안무가와 무용수’, ‘제 1유형’과 ‘제 4유형’사이의 가장 높은 표준점수차를 보이는 문항은‘작품의 다양한 무대 공간’, ‘제 1유형’과 ‘제 5유형’사이의 가장 높은 표준점수차를 보이는 문항은 ‘안무가의 다양한 사상이나 안무세계’이다. 제 2유형’과 ‘제 3유형’사이의 가장 높은 표준점수차를 보이는 문항은 ‘지인과 함께하기 위해’, ‘제 2유형’과 ‘제 4유형’사이의 가장 높은 표준점수차를 보이는 문항은 ‘스토리 위주의 공연보다 열린 사고를 하는’, ‘제 2유형’과 ‘제 5유형’사이의 가장 높은 표준점수차를 보이는 문항은 ‘지인의 출연’, ‘제 3유형’과 ‘제 4유형’사이의 가장 높은 표준점수차를 보인 문항은 ‘무용수의 화려한 테크닉이나 춤’, ‘제 3유형’과 ‘제 5유형’사이의 가장 높은 표준점수차를 보이는 문항은 ‘인지도 있는 무용수나 안무가’, ‘제 4유형’과 ‘제 5유형’사이의 가장 높은 표준점수차를 보이는 문항은 ‘스토리위주의 공연보다 열린 사고를 하는’이다. 이상과 같이 도출된 결과는 실제 공연장을 방문하는 일반인 공연관람객의 공연 관람경로 파악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공연선택요인을 제시함으로써 점진적이고 지속가능한 마케팅 방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순수예술로의 현대무용의 본질을 퇴색시키지 않고 대중성과 적절한 합의점을 도출하여 무용공연시장을 활성화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