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요 약 혈액투석(Hemodialysis) 중인 신장장애인의 직업복귀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에 따르면 2015년에 조사된 우리나라 혈액투석(Hemodialysis) 환자 수는 62,634... 국 문 요 약 혈액투석(Hemodialysis) 중인 신장장애인의 직업복귀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에 따르면 2015년에 조사된 우리나라 혈액투석(Hemodialysis) 환자 수는 62,634명으로 급속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인구 백만 명당 1,688명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혈액투석 신장장애인은 말기신장병 진단을 받고 이로 인해 신장 기능이 정상인의 15% 이하로 감소되어 신장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므로 혈액 내 노폐물 제거를 위해 혈액투석 치료를 받게 된다. 혈액투석을 3개월 이상 받고 있는 자는 신장장애 2급으로 분류되며 신장장애인으로 등록이 된다. 혈액투석 치료는 주3회, 1회 4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표준이며 혈액투석 신장장애인들은 일생동안 혈액투석 치료를 받으며 살아가게 된다. 2015년에 조사된 65세 이전에 말기신장병을 진단받은 환자는 58.1%로 이는 근로능력이 있는 20대부터 50대의 연령대를 의미하며 근로활동을 하던 중에 말기신장병을 진단받는 경우가 적지 않음을 의미한다. 말기신장병 환자는 지체 없이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 신장이식을 받게 되며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건강관리에 집중해야하므로 근로가 장·단기적으로 중단되게 된다. 혈액투석 신장장애인은 주3회, 1회 4시간이 소요되는 혈액투석을 받게 되므로 이들의 직업복귀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이렇게 말기신장병 진단과 혈액투석 치료 때문에 근로가 중단되었던 혈액투석 신장장애인들이 직업 활동을 재개하려고 할 때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우리나라의 특수한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혈액투석 신장장애인들의 말기신장병 진단, 혈액투석 치료, 직업복귀, 직업복귀 이후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직업복귀 경험에서 겪는 심리사회적 특성 및 환경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직업복귀 경험에서의 영향요인과 상황적 맥락의 탐색으로부터 사회 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직업복귀를 성공한 경험 분석을 통해 이들에게 필요한 사회 복지적 서비스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연구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s, IRBs)로부터 승인을 받아 진행되었으며(승인번호7001988-201610-SB-271-02) 자료 수집은 2016년 9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 총 10명은 연령, 성별, 교육수준, 혼인관계, 직업유형, 근로유형을 고려하여 의도적 표집을 하여 선정하였으며 1시간에서 1시간 반 정도 소요되는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에게 연구 결과를 보여주고 진실성 여부에 대한 검토를 부탁하여 수정, 보완의 과정을 거쳤으며 사회복지학 연구에 학식이 높은 자와의 면담을 통해 분석 결과의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연구 결과를 보완하였다. 분석 결과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녹취록을 근거로 일반적으로 질적 사례연구에서 사용하는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제시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각 연구 참여자들이 직업복귀에 있어서 어떠한 경험을 했는지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았고 사례 간 분석에서는 직업복귀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경험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혈액투석(HD) 중인 신장장애인의 직업복귀 경험은 38가지 하위범주와 9가지 상위범주로 살펴보았다. 9가지 상위범주는 ‘투석 생활에서 근로 욕구를 느낌’, ‘투석 신장장애인의 직업복귀를 어렵게 하는 부정적 사회를 경험함’, ‘직업복귀 과정이 버겁게 느껴짐’, ‘근로 관련 제도를 적절히 활용함’, ‘타인으로부터 도움과 지지를 받음’, ‘직업복귀 후 어려움을 경험함’, ‘직업복귀를 통해 정신적/심리적 건강 회복을 하게 됨’, ‘투석 신장장애인을 위한 사회 변화가 필요함’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와 이론적 배경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혈액투석(HD) 중인 신장장애인의 직업복귀 경험의 특성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능력에 있어서 비장애인과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둘째, 근로활동에 있어 혈액투석 신장장애인의 혈액투석을 위한 특수한 상황을 배려해줘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혈액투석 신장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편견을 개선해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 혈액투석 신장장애인을 향한 가족의 지지와 격려가 중요하다는 점이다. 혈액투석(HD) 중인 신장장애인의 직업복귀 경험에 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이론적 함의는 혈액투석 신장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 복지 측면에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혈액투석 신장장애인의 직업복귀 경험에 관하여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신장장애인들의 전반적인 생활과 직업복귀 환경에 있어서의 새로운 이해의 틀을 구축하였으며, 신장장애인의 직업복귀와 관련된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실천적·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혈액투석 신장장애인을 포함한 신장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이해 증진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둘째, 신장장애인에 대한 개별화(Personalize)된 사례 관리가 요구된다. 셋째, 신장장애인의 혈액투석 시간 할애에 대한 특수한 상황에 대한 이해로 유연근무제(flexitime)를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신장장애인들의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위해 혈액투석(HD) 중인 신장장애인의 직업복귀에 관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핵심 되는 말: 혈액투석, 말기신장병, 신장장애인, 직업복귀, 질적 사례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