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판매 도시락 이용 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In accordance with a growing interest in dietary life due to a development of foreign dining culture, lunch box consumption is increasing while drawing attention as a new trend. Therefore, in this study, after taking a survey targeting 600 adults expe...

In accordance with a growing interest in dietary life due to a development of foreign dining culture, lunch box consumption is increasing while drawing attention as a new trend. Therefore, in this study, after taking a survey targeting 600 adults experienced at the lunch box us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 tried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commercial lunch boxes according to each dietary lifestyle pattern, which can clearly diagnose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subdivide purchase behaviour patterns and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efficient menu composi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in a lunch box marke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5 patterns such as health-conscious type (24.3%), safety-conscious type (23.2%), taste-conscious type (18.5%), convenience-conscious type (18.0%) and economy-conscious type (16.0%). Among them, the using rate of lunch box more than 2 times a week was higher in men (31.8%) than in women (22.7%) (p<0.05), but particularly the trend using a lunch box for nosh was higher in women. As a result by age groups, the using rate of lunch box more than 2 times a week was shown to be the highest in people in their 20s (30.3%), and the relatively higher the age, the lower the use frequency (p<0.001). Food taste was most significantly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purchasing a lunch box in all clusters, and followed by freshness of food ingredients. Food taste was a most critical determinant in the taste-conscious cluster (61.3%). Freshness of food ingredients was ranked most high in the health-conscious cluster (25.3%) compared to other clusters (p<0.01). In purchasing lunch box,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in the taste-conscious cluster (3.20), and the convenience of purchase among the satisfaction items was found to be most satisfactory (p<0.05). For a flavor addition, the satisfaction appeared generally to be lowest, and particularly, it was surveyed to be lowest in the health-conscious cluster (2.34) (p<0.01). In case of desired lunch box menu, while multi-grain rice among rices was most preferred in the health-conscious cluster (41.8%), white rice was preferred in other clusters (p<0.01). Although soybean paste broth among soups was most selected in the economy-conscious cluster (37.5%), clear broth was desired in other clusters. Meat was most selected as a main menu in all clusters (51.2%), and then it was shown that fish/seafood is more preferred in the health-conscious cluster, poultry in the convenience-conscious cluster, and processed food in the taste-conscious cluster (p<0.01). For the menu composition, the form composed of rice and side dish was most desired, and especially such a preference was the highest in the health-conscious cluster (53.4%). Single menu was more preferred in the economy-conscious cluster, and mixed menu in the convenience-conscious cluster (p<0.05). The most desired thing among side dishes was a stir-fried one (50.0%), and steamed ones were found to be lowest preferred (7.5%). The subjects who responded that they will continuously use a lunch box in this wise were the highest in the convenience-conscious clusters (63.3%) (p<0.01), and the opinions that the quality improvement is most required to ameliorate lunch box appeared to be the most on the whole, this tendency was the highest in the health-conscious cluster (49.3%). As a result of this study, all clusters placed generally emphasis on food taste upon a lunch box purchase, and the quality improvement was selected as a biggest improvement point. Also, convenience of purchase was shown to be highly satisfied, but, in case of flavor addition (MSG use), nutrition, origin place of ingredients, freshness of ingredients, etc., satisfaction of them were investigated to be relatively much low. It is considered that both improvement and supplement are definitely required in terms of desirable choice of food ingredients and flavor use for consumer health, nutrition, and hygiene, and various menu development should be also ameliorated according to a dramatic increase in demand using lunch box as a meal substitute.

최근 외식문화의 발달로 식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간편식 제품들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며 도시락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판매 도시락을 이용해 본 경험...

최근 외식문화의 발달로 식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간편식 제품들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며 도시락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판매 도시락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서울·경기지역 성인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의 특성을 좀 더 명확하게 진단하고, 구매 행동 유형을 더욱 세분화하기 위해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판매 도시락 이용 실태만족도를 알아보고, 도시락 시장에서의 효율적인 메뉴 구성과 개선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조사대상자들은 건강 중시형(24.3%), 안전 중시형(23.2%), 미각 중시형(18.5%), 편의 중시형(18.0%), 경제 중시형(16.0%) 등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조사대상자 중 주 2회 이상 도시락을 이용하는 비율이 남자(31.8%)가 여자(22.7%)보다 높았고(p<0.05), 특히 여자들은 도시락을 간식용으로 이용하는 경향이 더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주 2회 이상 이용 비율이 20대(30.3%)가 가장 높았고, 상대적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이용 빈도는 낮았다(p<0.001). 도시락 구매 시 중점 요인은 모든 집단에서 음식의 맛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다음이 재료의 신선도였다. 음식의 맛은 미각 중시집단(61.3%)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재료의 신선도는 건강 중시집단(25.3%)에서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p<0.01). 도시락 구매 시 미각 중시집단(3.20)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만족도 항목 중에서는 구매의 편리성이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조미료 첨가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특히 건강 중시집단(2.34)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p<0.01). 선호하는 도시락 메뉴를 살펴보면, 밥류로는 건강 중시집단에서 잡곡밥(41.8%)을 가장 선호한 반면, 나머지 집단에서는 백미밥을 선호하였고(p<0.01), 국류에서는 경제중시집단이 된장 육수(37.5%)를 가장 선호한 반면, 나머지 집단에서는 맑은 육수를 선호하였다. 주메뉴로는 모든 집단이 육류(51.2%)를 가장 선호하였고, 그다음으로 생선/해산물은 건강 중시집단, 가금류는 편의 중시집단, 가공식품은 미각 중시집단에서 다른 집단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가장 선호하는 메뉴 구성은 밥과 반찬으로 구성된 형태였으며, 특히 건강 중시집단(53.4%)에서 이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았다. 단품 메뉴는 경제 중시집단, 혼합 메뉴는 편의 중시집단에서 다른 집단보다 더 선호하였다(p<0.05). 가장 선호하는 반찬 종류는 볶음(50.0%)이었고, 가장 낮은 선호를 보인 반찬 종류는 찜류(7.5%)였다. 향후 도시락을 지금처럼 이용하겠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편의 중시집단(69.4%)에서 가장 높았고(p<0.01), 도시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품질의 향상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건강 중시집단(49.3%)에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 모든 집단에서 도시락 구매 시 음식의 맛에 가장 중점을 두었고, 품질의 향상을 가장 큰 개선점으로 꼽았다. 또한, 구매의 편리성에는 만족도가 높았지만, 조미료 첨가(MSG 사용), 영양, 재료의 원산지, 재료의 신선도 등은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사대용으로 도시락을 이용하는 수요가 급증한 만큼 소비자의 건강을 위한 올바른 식재료 선택과 조미료 사용, 영양, 위생 면에서 개선과 보완이 필요하고, 맛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메뉴 개발도 함께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