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dern museum in Korea has 100 years of history started with the Imperial Museum of Korean Empire. So far, the museum in Korea not only have played the role as a exhibition site but also is expanding its domain to the research, education, cultural... The modern museum in Korea has 100 years of history started with the Imperial Museum of Korean Empire. So far, the museum in Korea not only have played the role as a exhibition site but also is expanding its domain to the research, education, cultural platform. As one stream of the changes arising in the field of museum, the museum attempts the utilization and recreation of the data having historical values taking one step forward from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them. This change appear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Archives. In the domestic museums, the interests in the archive has started by the influence of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Database Building Project in 1999 and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opened in 2004. Later, as the archives, which can manage and operate the data worth preserving systematically, were established across the society, the needs of earnest archives are discussed in the domain of museum. However, within the museology, the research on the museum archives has not been made yet. Since the preceding researches are remained to design the operation or presentation of the case focusing on the individual museum or art museum, many researches are needed. The archives operated in the museum is the integrated record data management system to preserve and manage the records like the function of general archives. At the same time, as a cultural institution, it is the integrated database to provide the information data in diverse field. In the meantime, it becomes the new service function of the museum and art museum, which can provide the users with much diverse services directly through the research of the collected data and the production of contents. In the modern society, diverse information is produced and discarded.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required information out of such information and create the new value. The museum also should collect diverse information actively among them and utilize the valuable information. In this aspect, the management system, which can classify and organize divers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museum systematically, is needed. That is, the museum archives is needed as the measure to preserve, manage and utilize diverse data in the museum and art museum.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the type of the archive managed in the museum and art museum are defined and the role and the needs of museum archives were examined. Then, the tasks faced by the museum archives were diagnosed by analyzing the archive management cases currently managed by domestic museum and art museum, through which the development measure of the museum archives was sought and the direction of museum archives in future was proposed. For this study, the theoretical details were organized through the preceding theories and literature, and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hrough the request of information disclosure of the relevant museum's current status and the in-site survey. In addition, the case analysis was performed around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institution, based on which the researcher intended to suggest the role to be performed by the museum archives in future and its value by diagnosing the tasks currently faced by the museum archives by suggesting the alternatives. The future museum is expected to expand the education and services arou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In such changes, the museum archives will become information center and the integrated database, which collects and preserves the information data required for the museum through the subjective establishment of plan as one function, based on which integrates and utilizes the accumulated data. This study has meaning in the fact that it diagnosed the current tasks of the museum archives and suggested the development measure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based on them.
한국의 근대박물관은 1909년 제실박물관을 시초로 100여년의 역사를 지녔다.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박물관은 전시장소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연구와 교육, 문화 플랫폼으로 그 영역을 확... 한국의 근대박물관은 1909년 제실박물관을 시초로 100여년의 역사를 지녔다.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박물관은 전시장소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연구와 교육, 문화 플랫폼으로 그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다. 오늘날 박물관 분야에 나타나고 있는 변화의 한 흐름으로, 박물관은 역사적 가치를 가지는 자료의 수집과 보존에서 한발 더 나아가 활용과 재창출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박물관 분야에 아카이브라는 개념의 도입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내 박물관계에서 아카이브에 대한 관심 증가는 1999년 국가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과 2004년 개소한 국가기록원의 영향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사회 전반에서 보존 가치를 가지는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관리⋅운용할 수 있는 아카이브가 설립되면서 박물관 영역에서도 본격적인 아카이브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박물관학내에서 박물관 아카이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선행 연구들 역시 개별적 박물관 및 미술관을 중심으로 운영 구상이나 사례 제시에 그치고 있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박물관에서 운용되는 아카이브는 일반적인 아카이브의 기능과 같이 기록물의 보존과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통합적인 기록자료관리체계이다. 이와 더불어 문화기관으로서 다양한 영역에서 정보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 데이터베이스이기도 하다. 한편, 수집자료에 대한 연구와 자체적인 콘텐츠 생산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박물관 및 미술관의 새로운 서비스 기능이 되기도 한다. 현대사회에서는 다양한 정보가 끊임없이 생산되고 폐기된다. 이러한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취사선택 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박물관 역시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하며, 그 속에서 가치 있는 정보자료를 적극적으로 수집, 활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박물관에 수집되는 다양한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분류⋅정리하고 다시 활용할 수 있는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즉, 박물관 아카이브는 박물관 및 미술관의 다양한 자료들을 보존⋅관리⋅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필요성을 가진다. 본 논문은 박물관 및 미술관에서 운용되는 아카이브의 개념과 유형을 정의하고, 박물관 아카이브의 역할과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이어 현재 국내에서 운용중인 박물관 및 미술관의 아카이브 운용사례를 분석하여 박물관 아카이브가 직면한 과제를 진단하였다. 이를 통해 박물관 아카이브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박물관 아카이브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선행 이론 및 문헌자료를 통해 이론적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해당 박물관 현황자료 정보공개 요청 및 현장답사를 통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기관 관련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이를 토대로 박물관 아카이브가 현재 직면한 과제를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박물관에서 박물관 아카이브가 수행해야 할 역할과 그 가치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미래 박물관은 이용자와의 소통을 중심으로 교육과 서비스의 확대가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박물관 아카이브는 박물관의 한 기능으로서 주체적인 계획 수립을 통해 박물관에 필요한 정보 자료들을 수집, 보존하고 이를 토대로 축적된 자료의 통합과 활용을 수행하는 정보센터이자 통합데이터베이스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박물관 아카이브의 현 과제를 진단하고 이를 중심으로 향후 발전방안과 방향성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