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의 발달과 온라인 플랫폼의 구축은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넘어서고 잉여, 유휴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공유경제’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이런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의 ... 기술의 발달과 온라인 플랫폼의 구축은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넘어서고 잉여, 유휴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공유경제’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이런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의 양상을 공유 경제의 개념을 바탕으로 살펴보고 ‘공유공간’의 개념 확장과 그에 따른 공간 유형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3년부터 서울시가 진행한 ‘공유기업 지정 및 사업비 지원사업’에 선정된 공유기업·단체 중 ‘공간’ 분야의 35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허브(sharehub.kr)’에 공개된 대상 사례의 정보를 수집하고 둘째,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대상 사례를 공간적 측면의 ‘공간 운용’, ‘공간 기능’, ‘공간 특성’ 유형과 내용적 측면의 ‘공유경제’, ‘사회문제’ 유형, 총 5가지 유형에 따라 분류한다. 셋째, 각 유형 간 연결성을 중심으로 이에 따른 양상과 의미를 분석하여 현재 공유공간의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한 유형을 밝힘으로써 균형적 공유 공간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유형 간 연결성이 두드러지며 이를 바탕으로 한 공유공간의 양상을 살펴보면, 첫째, 공간적 측면 유형에서 공유공간은 ‘숙박, 문화 및 기타’ 기능의 ‘기존 공간’을 ‘플랫폼’ 방식으로 운용하고, ‘주거, 사무’ 기능의 ‘신축 공간’을 ‘실공간 공유’를 통해 운용하며, ‘문화 및 기타’ 기능의 ‘유휴 공간’을 ‘플랫폼’과 ‘기획 및 매니지먼트’ 방식으로 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내용적 측면 유형에서 ‘경제, 복지, 문화’ 관련 사회 문제를 ‘공간의 협력적 라이프스타일’ 타입의 공유경제 유형을 이용하여 해결하고, ‘교통, 환경’ 관련 사회문제를 ‘공간 서비스’ 타입의 공유경제 유형을 통해 공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각 유형 간 연결성이 현저히 낮으며 향후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한 유형을 살펴보면, 첫째, 공간적 측면 유형에서 ‘숙박, 주차’ 기능의 공유공간은 ‘유휴공간’과 ‘신축공간’의 ‘실공간 공유’ 및 ‘기획 및 매니지먼트’의 공간 운용 방식을 활용하여 공유공간의 오프라인으로의 범위 확장이 요구된다. 또한 ‘주거, 사무’ 기능의 공유공간은 ‘신축 공간’을 통해 ‘플랫폼’과 ‘기획 및 매니지먼트’의 공간 운용 방식으로 공유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문화 및 기타’ 기능의 ‘유휴 공간’의 ‘실공간 공유’ 운용방식을 이용한 공유공간의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내용적 측면에서 공유경제 유형 중 ‘공간서비스’ 타입을 이용하여 ‘복지, 문화’ 관련 사회문제 해결하는 모델 개발이 필요하며, 또한 ‘공간 재분배’ 타입을 활용하여 ‘경제, 복지, 문화, 교통, 환경’의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공유 유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유(共有)공간’의 용어 재정의와 개념 확장을 토대로 공유공간의 공간적, 내용적 측면의 유형을 밝히고, 각 유형간의 연결성 분석을 바탕으로 공유공간의 현황 파악과 앞으로의 균형적 발전을 위한 유형을 분석하고자하며 향후 발전적 전개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그 의미가 있다.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platforms, space has exceeded the limitations of physical space. Then, sharing surplus, idle resources became important. This thesis aims to expand the concept of sharing space and categorize the types of 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platforms, space has exceeded the limitations of physical space. Then, sharing surplus, idle resources became important. This thesis aims to expand the concept of sharing space and categorize the types of sharing spaces based on transforming the aspect of space as time goes on. This thesis examines 35 companies in ‘space’ category among the selected sharing company and organization which are supported by Seoul city project since 2013. Public information on Sharing Hub (sharehub.kr) is collected. Case studies are categorized by sharing economy and types of social issues, the function of sharing space, managing methods and conditions. Sharing space can be categorized as three distinctive types; Operating space as a platform by utilizing previous space such as accommodation and cultural space. Residential and office can be newly built, shared that place. Using space as a cultural place by setting up platform and management. Moreover, sharing space for solving social issues should be developed as a spatial service and re-distribution of sharing space.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