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문 개 요 인생의 또 다른 시작인 婚姻은 二姓 간의 결합이자 사회 조직을 구성하는 근간이 되는 가정을 이루는 과정으로, 개인의 심리적 안녕은 물론, 사회의 생산성과 화합을 도모하는... 논 문 개 요 인생의 또 다른 시작인 婚姻은 二姓 간의 결합이자 사회 조직을 구성하는 근간이 되는 가정을 이루는 과정으로, 개인의 심리적 안녕은 물론, 사회의 생산성과 화합을 도모하는 사회적 제도이다. 우리 선조들은 혼인을 단순히 개인 간의 화합뿐만 아니라 집안 대 집안의 결합의 의미를 부여해 人倫之大事로 가장 신성시하고 중요한 과정으로 여겨왔다. 본 연구는 결혼중개에 대한 史的 考察을 위해 문헌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현대 결혼상담원의 활동사례를 알아보기 위해 질적연구로 심층면접 조사하였으며 결혼상담원의 성격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MBTI 검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로는 강옥수(2006), 고영진(1989), 이길표(1983), 장병인(1993), 최배영(2013)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婚禮를 禮의 근원으로 언급한 『禮記』와 冠婚喪祭에 관한 문헌 중 오랫동안 기본 틀이 되어온 규범적 禮書인『朱子家禮』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저술된 『家禮輯覽』과 『四禮便覽』을 선정하여 결혼중개에 대해 史的 考察을 하고자 하였으며, 질적연구의 사례연구를 위해 현재 강남구에 등록된 결혼중개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결혼상담원 12명을 면접대상으로 선정하여 반 구조화된 면접법과 MBTI 성격유형 검사를 동시에 사용하였고, 전사 및 메모, 코딩, 주제 선정의 과정으로 결과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禮書들 중 『朱子家禮』와 『家禮輯覽』·『四禮便覽』의 혼례절차를 살펴보면 결혼중개에 대한 기록은 ‘議婚’의 절차에 언급되어있다. ‘의혼’이란 혼례를 행하기 이전의 절차로 반드시 중매인을 통해 남.녀 양가를 왕래하면서 의견을 알아보고 서로 전달하여 합의하게 되는 과정으로 남자 집에서는 여자 집의 혼인 허락을 기다린 후, ‘의혼’이 성립되면 納采하는 것으로, 일제강점기와 산업화의 시대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도 그 형태를 유지해오고 있다. 『禮記』에 의하면 혼례는 아내를 맞는 禮라 했고, 아내를 맞이하는 데는 반드시 해질 때를 택하여 禮를 올렸으므로 ‘昏禮’라고도 하였다. 『禮記』에서는 婚禮節次를 納采, 問名, 納吉, 納徵, 請期, 親迎의 六禮로 說明하고 있고, 『朱子家禮』와 『家禮輯覽』·『四禮便覽』에서는 議婚, 納采, 納幣, 親迎의 四禮로 구성하고 있다. 議婚 과정에서 양가는 仲媒人를 통해 혼인조건으로 연령과 성품이나 가법 같은 것들을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중매의 과정은 生活文化와 맞물려 시대의 변화에 따른 변천과정을 거치면서 중매쟁이 혹은 매파라 불리는 직업군이 형성되었고 현대에는 결혼상담원이라는 새로운 직업군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혼례 절차 중 결혼중개과정을 크게 傳統社會에서의 결혼중개, 開化期의 결혼중개, 光復以後의 결혼중개 , 結婚仲介業 등장이후의 결혼중개로 나누어 歷史的 變化에 따른 결혼중개의 變遷過程에 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고, 현대 결혼상담원의 활동사례에 관한 연구를 통해 선조들의 삶 속에서 결혼중개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新직업군인 결혼상담원의 현황과 가능성을 파악함으로서, 향후 결혼중개의 역할인 중매가 현대 사회에서 어떤 필요와 가치로 흡수되었는지 알아보고, 결혼중개 과정의 가치를 현재와 미래에서 재발현해 갈 수 있는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또한 사례연구를 통해 혼인에 있어서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결혼상담원의 직무, 직무스트레스, 자질, 역할, 상담의 성공 및 실패 사례, 결혼상담원의 당면문제를 현상학적으로 탐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상담원의 직무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근무시간에 대한 정확한 규정이 없고 평일과 주말까지 연장되는 상담으로 인해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를 경험했다고 했으며, 예약 후 사전 연락도 없이 오지 않는 노쇼(No Show)에 대해서도는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담과정에서 고객과 의사소통이 안 될 때 감정을 억누르는 과정에서 감정노동을 경험한다고 했으며, 매칭을 전담으로 하는 경우 미팅이 원활하지 않아 고객으로부터 컴플레인을 받을 때 스트레스를 받고, 여성의 고학력 및 고 연봉으로 인해 남성과 미팅을 잡을 수 없을 때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하였다. 둘째, 결혼상담원의 자질과 역할에 관련하여 대부분의 조사자들이 인성과 따듯한 성품, 배려심 등을 얘기했으며 정직, 책임감, 진정성, 공감, 끊임없는 자기관리, 품격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MBTI 성격유형 검사 결과 결혼상담원은 주로 외향형이며, 감각형, 판단형의 성격이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상담의 성공적인 사례는 나이가 많아 결혼이 안 되는 만혼자의 성혼이나 나이차가 많은 연령차를 극복한 성혼과 드라마 같은 성혼, 재혼커플의 성혼을 들었고, 실패 사례로는 고객의 요구가 맞지 않을 때 혹은 의도적으로 불량고객(Black Consumer)으로 돌변하는 경우나 고객의 높은 결혼이상형에 대한 요구와 부모세대와 자녀세대의 의견 불일치로 인한 상담 실패를 사례로 들었다. 넷째, 면접 조사자들은 결혼상담원의 당면한 문제로 상담원의 비전문성과 상업적 중매행위, 결혼 상담에는 소홀하고 仲媒에만 치중하는 점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에 기인하는 일반인의 낮은 신뢰도 등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기존 결혼상담의 제 문제점을 해결하고 동시에 결혼 상담을 보다 전문화하기 위해서는 전문화된 결혼상담원 교육이 필요하며, 관련 지식과 상담기술을 기르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결혼상담원들의 긍정적 활동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감정노동자로서의 결혼상담원에 대한 고객들의 인식변화와 더불어 제도적인 뒷받침과 상담업무의 전문화, 정규직화 등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