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새롭게 등장하는 소비공간의 유형인 스트리트 몰을 중심으로 현대 전형적인 소비공간으로 여겨지는 백화점과 복합상업시설을 비교 분석하여 각 유형별 지향하는 공간적 전략과 ... 본 연구는 새롭게 등장하는 소비공간의 유형인 스트리트 몰을 중심으로 현대 전형적인 소비공간으로 여겨지는 백화점과 복합상업시설을 비교 분석하여 각 유형별 지향하는 공간적 전략과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대 소비문화의 매개체로서 소비공간을 이해하려고 시도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통해 스트리트 몰에서 나타나는 현대 소비문화의 패러다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스트리트 몰은 백화점과 복합상업시설과는 다르게 외부지향적인 공간구조를 지녔으며, 판매위주의 소비공간이 아닌 식음과 편의시설의 비중을 높임으로써 근린의 성격이 강화됨을 알 수 있었다. 백화점이 대량소비를 끊임없이 유도하는 효율적인 공간구조를 지니고 복합상업시설은 즉흥적이고 충동적인 소비를 유도하기 위한 공간 전략을 보여주고 있는 반면 스트리트 몰은 외부와 내부와의 경계를 허물고 자연적 요소를 도입함으로써 편안함과 안정감을 줌으로써 체류 시간을 극대화 시키는 회유의 전략을 수용하고 있다. 새로운 유형의 소비공간이 내포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Street mall is to analyze the spatial strategi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department store and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which are considered to be modern consumption areas, And attempted to un...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Street mall is to analyze the spatial strategi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department store and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which are considered to be modern consumption areas,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space. In addition, we tried to understand the paradigm of modern consumption culture in street mall. As a result, the street mall has an outward oriented spatial structure unlike the department store and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and it is found that the character of the neighborhood is strengthened b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food and convenience facilities rather than the sales. While department stores have an efficient spatial structure that constantly induces mass consumption, and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show a space strategy to induce impromptu and impulsive consumption, Street Mall breaks the boundary between outside and inside, And a sense of natural, thereby maximizing the stay time. This is a paradigm of modern society which is implied by a new type of spatial composition of consumption space.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