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얼굴이 표적얼굴 정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사회불안집단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emotion recognition on facial expression in anger / happiness context condi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For this, the facial expressions of surrounding others's emo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emotion recognition on facial expression in anger / happiness context condi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For this, the facial expressions of surrounding others's emotion and the facial expressions of target model's emotion were manipulated. The facial expressions of surrounding others consisted of anger and happy face, and the facial expression of target model consisted of neutral, ambiguous anger, ambiguous happy target face. In order to evaluate the emotion of the target face, the level of happiness and level of anger were measured with a 0-9 Likert scale.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conducting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ADS) and Brief-Fear of Negative Evaluation (B-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 Depression Scale (CES-D) for 500 female and male university students. The group consisted of 32 social anxiety group and 30 non anxiety group. All the participants conducted emotion evaluation about the target face in social anxiety induction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 anxiety group was not influenced by the context in the neutral target face emotional rating and was evaluated similar to the control group. Second, social anxiety group highly evaluated anger level of ambiguous anger target face in surrounding anger face. Third, social anxiety group did not differ from the control group in the ambiguous facial emotion recognition in surrounding happy face. Taken together,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degrees of social anxiety, the more anger background faces were perceived as threatening, and the more ambiguous anger target face was evaluated as more angry. This suggests that the background influence of anger faces increases in people with social anxiety.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background faces and the target face, the happy face could have an effect on reducing the anger level of the anger face. Therefore, it may be useful to utilize the context effect of the happy face in the treatment of social anxiety disorder.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불안 성향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분노/행복 맥락조건에서 얼굴표정에 대한 정서인식정확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배경얼굴정서가와 표적얼굴의 정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불안 성향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분노/행복 맥락조건에서 얼굴표정에 대한 정서인식정확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배경얼굴의 정서가와 표적얼굴의 정서가를 조작하였다. 배경얼굴은 분노얼굴조건과 행복얼굴조건으로 구성되었으며 표적얼굴은 중립얼굴과 모호한 분노표적얼굴, 모호한 행복표적얼굴조건으로 구성하였다. 표적얼굴의 정서를 평가하기 위해서 0-9점의 리커트식 척도로 행복수준과 분노수준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녀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 척도(SADS)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척도(B-F),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CES-D)를 실시하여 참가자를 선발하였다. 집단은 사회불안집단 32명과 비불안집단 3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발표과제를 실시하여 사회불안 유도 상황에서 나타나는 표적얼굴에 대한 정서평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불안집단은 중립표적얼굴 정서평정에서 맥락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통제집단과 유사하게 평가하였다. 둘째, 사회불안집단은 분노얼굴배경 내의 모호한 분노표적얼굴자극의 분노수준을 높게 평가하였다. 셋째, 사회불안집단은 행복얼굴배경내의 모호한 얼굴자극 정서인식에서 통제집단과 차이가 없었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정도가 높을수록 분노얼굴배경이 위협적으로 인식되어 모호한 분노표적얼굴을 더욱 분노한 것으로 평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회불안이 있는 사람에게서 분노얼굴의 배경 영향력이 증가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배경얼굴과 표적얼굴의 위치와 관계없이 행복얼굴자극은 분노얼굴자극의 분노수준을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사회불안의 치료에 행복얼굴자극의 맥락효과를 활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