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언론이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양상의 기사를 보도해 수용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각과 책임귀인의 세 가지 차원 중 통제가능성이 대상의 원인에 관한 사람들의 ... 이 연구는 언론이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양상의 기사를 보도해 수용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각과 책임귀인의 세 가지 차원 중 통제가능성이 대상의 원인에 관한 사람들의 인식과 정서를 결정짓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선행연구의 근거를 바탕으로 저널리즘 환경에서 범죄보도의 선정성과 책임귀인의 통제가능성 수준에 따른 인지적, 정서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현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정서가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범죄보도의 선정성과 책임귀인의 통제가능성으로 인해 발생한 범죄와 관련된 부정적인 현실인식과 정서가 수용자의 사회신뢰를 저하시킬 것이라고 예측했다. 범죄보도의 선정성 문제가 전통적 뉴스 매체보다 신생 뉴스 매체에서 더 현저하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에 기반해 이 연구는 인터넷 뉴스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 결과, 범죄보도의 선정성은 범죄와 관련된 수용자의 부정적인 인식과 정서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책임귀인의 통제가능성은 수용자에게 범죄와 관련된 부정적 정서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통제가능성이 높을수록 범죄 피해에 대한 공포와 가해자에 대한 분노, 피해자에 대한 연민 정서가 모두 강화되는 것이 발견됐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책임귀인의 통제가능성과 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간에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 범죄 관련 정서 역시 수용자의 사회신뢰에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