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트리피케이션 지수설정과 영향요인 분석 : 서울시 주거·상업·문화 젠트리피케이션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2000년대를 기점으로 서울시는 정부주도적 개발사업인 주거환경정비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 주택재건축사업, 주택재개발사업, 뉴타운사업 등의 대규모 부동산 개발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2000년대를 기점으로 서울시는 정부주도적 개발사업인 주거환경정비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 주택재건축사업, 주택재개발사업, 뉴타운사업 등의 대규모 부동산 개발사업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급속한 도심 재활성화 정책은 다양한 도시문제를 야기하였다. 또한, 2010년대에 접어들어 우리나라에서는 기존의 낙후지역이나 열세 상권, 구도심에서 문화예술인, 지역민 등이 활동함으로써 지역의 독특한 매력이 형성되어 새롭게 재생되었으나, 그로 인한 임대료 상승 때문에 지역을 일군 문화예술인, 창조적인 상인, 원주민 등이 다른 지역으로 쫓겨나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면서, 이런 문제를 인식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로서 젠트리피케이션이란 용어가 주목받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되어온 낙후된 근린지역에 중산층이 유입되어 지역민들을 밀어내는 현상으로 정의되는 젠트리피케이션으로는 국내에서 나타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나 서울시의 젠트리피케이션 지수와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국외 및 국내 학자들에 의해 정립된 젠트리피케이션의 개념과 인과관계 관련 이론들에 대해 살펴본 후 국내외 사례 및 기타 문헌고찰을 통하여 2005년도에서 2015년도의 서울시를 대상으로 젠트리피케이션 지수를 설정하고 행정동 단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은 기초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의 방법론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사례 및 문헌 연구를 통해 도출된 12가지의 영향요인을 각각의 특성에 따라 시계열별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주택시장 특성, 토지이용특성, 산업특성, 제도적 특성으로 재분류하였다. 상관분석 및 다중공선성 분석을 통해 12개의 변수 중 사용가능한 11가지의 요인을 독립변수로 두고 종속변수인 젠트리피케이션 지수 A모형(2005년~2010년)과 B모형(2010년~2015년)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젠트리피케이션 지수 A모형(2005년~2010년)에서는 영향요인 중 인구밀도 증감율(/), 주거시설 연면적 대비 업무시설 연면적의 비율(/), 단독주택비율 변화율(-), 주거시설 연면적 대비 상업시설 연면적의 비율(/), 아파트비율 변화율(/), 4차산업 종사자 변화율(/)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젠트리피케이션 지수 B모형(2010년~2015년)에서는 영향요인 중 지방세 징수의 변화율(-), 주거시설 연면적 대비 상업시설 연면적의 비율(/), 4차산업 종사자 변화율(/), 문화시설 연면적 비율의 변화율(/), 단독주택비율 변화율(-), 인구밀도 증감율(/), 아파트 비율 변화율(/)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를 보인다. 이는, 2005년에서 2010년의 경우 주거기능과 상업기능의 변화를 일으키는 뉴타운 사업 및 업무지구 개발로 인한 사회적 지위의 상승으로 진행되는 주거·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되었고, 2010년에서 2015년의 경우 4차 산업종사자 및 문화시설의 증가로 인한 사회적 지위의 상승으로 상업·문화 젠트리피케이션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것으로 판별된다. 또한, 전반적으로 낮은 상관계수를 보이는 분석결과이지만 2005년에서 2015년의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이 인구통계학적 특성, 주택시장 특성, 토지이용 특성, 산업특성, 제도적 특성에 의해 설명가능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 지수 모형 개발의 진행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의의를 가진다.

Starting in the 2000,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undertaken massive estate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s, housing redevelop...

Starting in the 2000,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undertaken massive estate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s,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and new town projects. However, such rapid urban revitalization policies have caused various urban problems. In addition, in the 2010, Korea has been revitalized by the existing charm areas, the commercial areas, and the local residents in the old towns and cities. the term Gentrification has received attention as a conceptual tool to recognize these problem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Gentrification in Korea with the Gentrification defined as the phenomenon that the middle class has been infiltrated into the underdeveloped neighborhoods that have already been studied. In additio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by setting up the theory that can explain this and the Gentrification index of Seoul is insignificant.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Gentrification established by foreign and domestic scholars and theories related to causality. In this study, we set the Gentrification index for Seoul city and analyzed the influencing factors. The researc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method of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12 effect factors derived from case studies and literature studies are classified in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ousing market characteristics, land use characteristics, industrial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by time series in 2005, 2010, and 2015.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collinearity analysis, 11 factors that can be used among the 12 effect factors a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Gentrification index A Model (2005 ~ 2010) and B Model (2010 ~ 2015) Were subjected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Gentrification Index A model (2005~2010), the population density increase (/), the total floor area of the residential area (/), the rate of change in the single house rate (-), Rate of change of apartment rate (/), and rate of change of fourth industry workers (/). In the Gentrification Index B model (2010~2015), the rate of change in local tax collection (-), the total floor area of residential area (/), the rate of change in the fourth industry worker (/),), The rate of change in single-family housing (-), the increase in population density (/), and the rate of change in apartment rate (/). These results show the progress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Gentrific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and business districts in 2005~2015 and It is judged to demonstrate the process of shifting from the 2010~2015 to the commercial and cultural Gentrification due to the increase of the 4th industry workers and cultural facilities.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Gentrification in Seoul from 2005 to 2015 can be explain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ousing market characteristics, land use characteristics, industrial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mplies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eoul Gentrification index model.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