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내 사찰의 입지특성 연구 : 4개 사찰의 풍수 입지론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 geomantic analysis of Gochal Jangkyeong Temple, Mangwol Temple, Gaewon Temple, and Gukcheong Temple inside the Namhansanseong Fortress in the Seongnam region, identifying the topographical and geographical 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 geomantic analysis of Gochal Jangkyeong Temple, Mangwol Temple, Gaewon Temple, and Gukcheong Temple inside the Namhansanseong Fortress in the Seongnam region, identifying the topographical and geographical Feng Shui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emple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from a geomantic perspective. Historically, Namhansanseong Fortress is a fortress guarding Seoul along with Bukhansanseong Fortress, registered as a USCO world heritage site in May 2014. It is a precious asset and the 11th heritage in Korea to be registered, and is a world heritage that humanity joinly works to preserve. The temples inside Namhansanseong Fortress were built from the Three Kingdoms Era to the Choson Dynasty, and some temples were built for national defense rather than for religion, establishing the ideological basis of patriotic Buddhism after experienc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First and Second Manchu Invasions of Korea. A summary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described below. First, the baseline data for location selection was derived by performing a geomantic analysis on the temples inside Namhansanseong Fortress to identify the commonality and difference between ordinary temples and Seungyoung temples, and analyzing the fortune of temple locations by performing analyses from various Feng Shui perspectives, such as Hyoungqi theory analysis, Liqi theory analysis, ternary Liqi theory analysis, and Bibo theory analysis. Until now, there was no preceding study related to temples inside Namhansanseong Fortress or analysis from a geomantic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source in relation to how the temples inside Namhansanseong Fortress approached the traditional Feng Shui theories. Second,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emple Feng Shui and general Feng Shui, the merits and demerits, as well as the functional elements of temple Feng Shui and general Feng Shui, were distinguished. The biggest characteristic distinguishing the difference between temple Feng Shui and general Feng Shui is the harmony between man and nature achieved by rejecting man's selfish human-centricity and greed in relation to lan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center of temple Feng Shui lies in the harmony between man and universe based on the Eui-Jeong-Bul-Yi philosophy that the body and the land(territory) are not separate entities. Third, the status of temples before the Choson Dynasty up until today were identified, and the elements of Ji-Ri-Oh-Gyeol (Dragon, Vein, Sand, Water, Direction) were analyzed in detail based on the yin-yang theory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applying it to each temple. Originally, only Mangwol Temple and Okjeong Temple were inside Namhansanseong Fortress, but the seven temples of Gaewon Temple, Jangkyeong Temple, Gukcheong Temple, Hanheung Temple, Cheongju Temple, Namdan Temple, and Donglip Temple were newly built when constructing the fortress. Feng Shui is a traditional geographical study of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yin-yang theory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a sangji (topographical) technique with the purpose of pursuing good fortune and avoiding bad luck. This study analyzed the five elements(dragon, vein, sand, water direction) in an objective perspective. When extending or reconstructing not only should the characteristic of the temple be well-suited for arrangement. Furthermore, geomantic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for the analysis of ibsuyong that flows from Jusan, Black tortoise's bowing/raising, left-blue dragon and right-white tiger, diverse Sasinsas such as Josan and Ansan, and the flow of water, locking of wave ridge. Therefore, by realistically analyzing the basic Feng Shui theory and geographical concepts of various temples, and parts identified as lacking are actively supplemented, supplementary materials are created to supplement the structures so that seungsaenggi is preserved, and the samhab potaebeob and hyeongong Feng Shui theory are incorporated to determine the seat and direction, the temple will superbly serve its value and purpose.

<국문 초록> 南漢山城內 寺刹의 立地特性 硏究 - 4個 寺刹의 風水 立地論을 中心으로- 김 삼 옥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성남지역 남한산성내에 있는 고찰 장경사, 망월사, 개원사, 국청...

<국문 초록> 南漢山城內 寺刹의 立地特性 硏究 - 4個 寺刹의 風水 立地論을 中心으로- 김 삼 옥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성남지역 남한산성내에 있는 고찰 장경사, 망월사, 개원사, 국청사를 풍수학적으로 분석하여, 대상 사찰은 풍수적으로 어떤 지형지세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풍수학적인 관점에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남한산성은 북한산성과 함께 서울을 남북으로 지키는 요새중 하나다. 2014년 5월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되었는데 한국에서는 11번째로 등재된 소중한 자산으로 인류가 공동으로 보전 하게 되는 세계적인 유산이다. 남한산성 내에 있는 사찰들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건립되었으며, 일부사찰은 종교적 목적보다는 국방의 목적으로 세워져 임진왜란, 정묘호란,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호국 불교의 이념적 기틀을 마련했다.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산성내에 있는 사찰들을 풍수학적으로 분석해 일반사찰과 승영사찰의 공통된 특징과 차이점을 찾아 사찰입지의 길(吉)흉(凶)을 형기론적 분석, 이기론적 분석, 삼원이기론적 분석, 비보론적 분석을 다양한 풍수적 관점에서 추론해 입지 선정의 기초자료를 도출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남한산성내 사찰관련 분야에서의 연구 및 풍수학적 측면에서의 분석은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남한산성내에 위치한 사찰들이 전통적인 풍수이론을 어떠한 방법으로 접근하였는지 그 근원을 밝히고자 했다. 둘째, 사찰풍수와 일반풍수의 차이점을 분석해 장단점과 사찰풍수와 일반풍수의 기능적 요소를 구별하고자 했다. 사찰풍수와 일반풍수의 차이점은 땅[地]에 관한 인간의 이기적 측면과, 땅[地]에 관한 인간[人]의 탐욕을 지양함으로써 인간과 자연과의 조화성에 있다. 다시 말해 사찰풍수의 기본 이념은 몸[體]과 지[국토]가 하나라는 의정불이사상(依正不二思想)에 근원을 둔 사람과 우주의 조화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조선시대를 기준으로 그 이전부터 현재에 이르는 사찰의 현황을 파악하고, 음양론과 오행설을 기반으로 지리오결[龍,穴,砂,水,向]의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각 사찰에 적용했다. 남한산성내에는 원래 망월사와 옥정사만 있었으나 산성을 축성할 당시 개원사, 장경사, 국청사, 한흥사, 천주사, 남단사, 동립사 등 일곱 개의 사찰이 새로 지어졌다. 풍수란 음양론과 오행설을 기반으로 한, 한국과 중국의 전통적인 지리학으로 길(吉)한 것은 쫒고 흉(凶)한 것은 피해 행복을 추구하는 상지(相地) 기술학이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지리오결[龍,穴,砂,水,向]의 요소들을 객관적 관점에서 분석 하였다. 상호 교리적 논리를 토대로 사찰을 창건하거나, 증축과 개축을 할 때 사찰의 특성에 맞게 배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주산에서 내려오는 입수용과 현무의 수두여부, 우백호 및 좌청룡, 조산 안산과 같은 여러 사신사, 그리고 물의 흐름과 관쇄, 파구 등을 풍수학적으로 그 특징까지 고려해서 분석했다. 따라서 현존하고 있는 여러 사찰들이 근원적 풍수이론과 지리학적 개념까지 현실적으로 분석해, 허한 부분은 보완해서 채워주고 넘치는 것은 완화 시켜, 사찰내의 승생기가 보존될 수 있도록 비보 물을 조성하여 보완하고, 삼합 포태법과 현공풍수의 이론을 접목하여 좌(坐)와 향(向)을 결정한다면, 훨씬 더 좋은 존재가치를 가지는 사찰로 그 소임을 다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