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ue of rock Korean chessboards as a corroborative evidence that go, the game culture naturalized from the past, was also performed under the pavilion of the mountain stream, and the old tree. This s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ue of rock Korean chessboards as a corroborative evidence that go, the game culture naturalized from the past, was also performed under the pavilion of the mountain stream, and the old tree. This study executes analysis on the location and form of rock Korean chessboards, physical environment such as the position of surrounding space, the origin of the nomination, surrounding landscape, and historical significance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of comprehensive present conditions, and highlights the position types, landscape significance, and preservation value of the rock Korean chessboards of Korea from diverse angles.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 styles of Korean chess (將棋), which identically propagated in the representative countries of Eastern culture, Korea, China, and Japan, and modified in accordance with each country’s idea and native tendency, were organized, and confirmed the Korean Go as a naturalized native culture. 2. Out of 15 rock Korean chessboard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9 (60%) were categorized as rock Korean chessboards, and 6 (40%) were categorized as stone Korean chessboards. Also, the average size of the go boards were 51cm x 46.6cm, which demonstrated not much difference with present day universal go boards.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ed rock and go boards were 0.647, demonstrating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the research subject of rock go boards have been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rationality, convenience, and the value of promotion of public welfare. 3. The results of analysis of location patterns of rock Korean chessboard showed that villages (87%), mooring (73%), plains (60%) and mountains (47%). The most frequent location pattern is mooring and village, and these two factors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rock Korean chessboard. 4. 12 (80%) of the surrounding park facility of rock Korean chessboards are positioned with pavilion trees, 7 (47%) were installed of pavilions, and 11 (73%) fabricated with the spatial identity of nature friendliness, which is a viewpoint that should be reflected on the plan at the time of modern reconstruction or the introduction of rock Korean chessboards. Rock Korean chessboards are landscape remains with the value of cultural assets, projecting our ancestors’ love for the nature, as well as their hope to keep the Korean landscapes around them. Also, the pavilion and rock writings surrounding the rock Korean chessboards are prominent remains demonstrating the original form of Korea’s traditional landscape, along with the natural landscape. However, their importance is not magnified, and they are constantly fading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expansion of the roadwork. With the study as its basis, the rock Korean chessboards needs to be preserved and succeeded at the realization that they are livingscape indwelled with Korean culture and national consciousness that good men of the past enjoyed appreciation of art, not a low-class debauchery.
본 연구는 과거부터 토착화 된 놀이문화인 장기(將棋)가 산 속, 계류(溪流)의 정자(亭子) 및 고목(古木) 아래에서도 행해졌다는 증좌(證左)인 암각(巖刻)된 장기판에 대한 가치를 밝히는데 목... 본 연구는 과거부터 토착화 된 놀이문화인 장기(將棋)가 산 속, 계류(溪流)의 정자(亭子) 및 고목(古木) 아래에서도 행해졌다는 증좌(證左)인 암각(巖刻)된 장기판에 대한 가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종합적인 현황의 조사·분석을 통해 암각장기판의 위치와 형태, 주변 공간의 입지 등의 물리적인 환경과, 지명유래 및 주변경물 등 역사적 의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국내 암각장기판의 입지유형과 경관의미 그리고 보존가치 등을 다각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양문화를 대표하는 한(韓)·중(中)·일(日) 세 국가에 동일하게 전파된 장기(將棋)를 각 국가의 사상과 민족적 성향에 맞도록 변형시킨 양식을 정리하여 한국의 장기(將棋)가 이미 토착화를 마친 전통문화임을 확인하였다. 2.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총 15개소의 암각장기판 중, 암각장기판은 총 9개소(60%), 돌장기판은 6개소(40%)로 분류되었다. 또한 장기판의 평균 크기는 가로 51cm x 46.6cm로 현재 보편화 된 장기판의 크기와 큰 차이가 없고, 기반암과 장기판 간의 Pearson 상관계수는 0.647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어 연구 대상인 암각장기판은 합리성과 편의성 및 이용후생적 가치를 고려하여 조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암각장기판의 입지패턴 분석결과 마을(87%), 계류(73%), 평야(60%), 산(47%)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이는 입지패턴은 계류와 마을로, 이 두 요인이 암각장기판이 조성되기 위한 입지가 결정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암각장기판 주변 공원시설의 경우 12개소(80%)에 정자목이 위치하며 7개소(47%)에는 정자가 설치되어 있었고, 11개소(73%)에서 자연친화적 포장으로 처리된 공간 정체성을 밝혔다. 이는 암각장기판의 도입 및 현대적 재구성시 계획·설계에 반영되어야 할 착인점으로 판단된다. 암각장기판은 선조(先祖)들이 자연을 사랑하고 아름다운 한국경관을 가까이 하려는 마음이 투영된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한국적인 조경유적이다. 또한 이와 더불어 암각장기판 주변의 정자와 바위글씨 등은 자연경관과 함께 한국의 전통조경 경관의 원형을 보여주는 주요한 흔적들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지 않고 있어 도로확장과 같은 이유로 수많은 암각장기판이 지속적으로 사라지고 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암각장기판은 품격 낮은 도락(道樂)이 아닌 선인(先人)들이 생활 가까이에서 풍류(風流)를 즐겼던 한국적인 문화와 국민의식이 깃든 생활경(生活景)임을 깨닫고 이를 보존하고 계승하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