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복잡 다양해지는 식품 소비 성향과 식품 및 유통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우리의 식생활 문화는 기존의 내식(內食)에서 외식(外食) 및 중식(中食)으로 빠르게 변화... 빠른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복잡 다양해지는 식품 소비 성향과 식품 및 유통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우리의 식생활 문화는 기존의 내식(內食)에서 외식(外食) 및 중식(中食)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관련업계에서는 최근 저성장 국면 타개를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HMR(Home Meal Replacement) 확대전략을 펴고 있으며 이를 위해 HMR 시장과 소비자를 이해하기 위한 기업 간 경쟁은 그 어느 때 보다 치열한 상황 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 소비성향에 따른 소비자 분석을 통해 시장을 세분화 하고 HMR을 편의적, 기능적 측면에서 분류하여 각각의 제품 유형별 식품 소비성향 유형별 집단에 따른 소비행태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최근 빠르게 다변화 되고 있는 HMR 시장의 실질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서울, 경인 지역 총 360명의 조사 결과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HMR 소비행태를 규명 하였고, 식품 소비성향 요인에 대한 신뢰도 분석과 식품 소비성향이 유사한 집단을 묶기 위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군집별 인구통계학 특징과 제품 유형별 HMR 소비행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식품 소비성향은 총 6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군집분석을 통해‘조리선호 집단,‘깐깐한 적극 소비 집단’,‘식품소비 무관심 집단’,‘모험 및 편의중시 집단’4개의 집단으로 확정되었고 각 군집별로 추구하는 요인이 유의적 차이를 보여 각 집단마다 차별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인구통계적 특성 및 HMR 제품 유형별 소비행태 차이를 종합하여 정리한 각 군집별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다. 응답자 총 360명 중 83(23.1%)명이 ‘조리선호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집단은 가정식을 선호하며 직접 조리를 즐기는 미각 취향의 집단으로 60대 이상의 전업주부 및 기혼 중심의 집단으로 RTE(Ready To Eat), RTH(Ready To Heat), RTC(Ready To Cook) 전 유형별로 4개 집단 중에서 가장 낮은 구매율을 보이는 집단이다. 하지만 이 집단은 조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기에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RTP( Ready To Prepare, 손질채소 및 생선, 양념소스)나 RTC(반 조리제품)를 우선 경험토록 하는 마케팅을 통해 단계적으로 HMR의 구매 빈도 및 구매 범위를 확대해 나가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 이다. 113(31.4%)명으로 나타난‘깐깐한 적극 소비 집단’은 식품정보, 브랜드, 건강 및 영양 전반적으로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활발한 소비를 하는 집단이다. 새로운 것보다는 안전을 지향하며, 50대 이상의 비교적 높은 연령대의 3~4인 가구 중심의 집단으로 바로 먹는 RTE를 제외한 나머지 제품 유형에 있어서는 가장 높은 구매율 및 구매 횟수를 보이는 집단이다. 이 집단은 온오프라인을 통한 적극적인 상품정보 제공 및 차별화 가치를 전달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마케팅에 반응할 수 있는 주요 마케팅 대상이 될 것 이다. 81(22.5%)명의 ‘식품 소비 무관심 집단’은 식품 소비에 특별한 관심이 없는 소비 집단으로 식품정보 및 브랜드, 건강 및 영양에 관심이 없고,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도 없는 전반적 무관심 집단이다. 30대 중심의 40대 이하 미혼 중심 집단으로 이들 집단은 마케팅적 측면에서는 후 순위의 타깃 집단이라 할 것이다. 83(23.1%)명의 ‘편의 및 모험중시 집단’은 새로운 것에 대한 흥미가 많고 적극적으로 즐기며 편의를 중시하나 상대적으로 건강, 영양 및 식품정보에 무관심한 소비 집단으로 직접 조리를 기피하여 간단히 식사 해결을 하려는 성향을 가진 집단이다.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미혼, 1~2인 가구의 특성을 지닌다. 이 집단은 손쉽게 바로 먹을 수 있는 RTE 제품 유형에 있어서는 높은 구매율을 보이나 추가 조리가 필요해 번거로운 RTC 제품은 구매를 기피하는 편의 지향 집단으로 이들 집단을 위해서는 RTE 및 간단한 전자레인지 상품 중심의 집중적 마케팅이 주효할 것으로 판단되며 RTE 주 구매층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품개발 및 소비자 의견수렴을 위한 패널운영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HMR 소비행태 특성 파악을 위해 최근 효과적 시장 세분화의 기준이 되고 있는 식품 소비성향 요인들을 통해 시장을 세분화 하였으며 HMR 소비행태를 세부 제품 유형별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보다 실증적인 집단 간 소비행태 차이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품 유형별 실질적인 소비자 층과 그들의 쇼핑 패턴, 고객Needs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는 HMR 제조, 유통업계 등, 전반적 식품업계의 마케팅 및 제품개발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연구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아래와 같다. 표본 수 한계로 인해 제품 유형별 유의적 결과 치를 얻는데 한계가 있었고, 자기 기입식 설문 진행법으로 설문 응답자들의 제품 유형별 제품 간 착각 및 오류의 결과치가 일부 확인되었다. 보다 정확한 연구를 위해서는 대면 설문 조사법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리라 보며 앞으로는 이러한 한계점들을 보완하여 하위 제품 유형별 심층연구 및 편의적, 기능적 측면 외의 브랜드, 보관방법에 따른 제품 분류별 연구 등, 다양한 형태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가 향후 연구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