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기는 한식에서 떨어질 수 없는 필수요소이며 한국의 독특한 식문화를 품고 있다. 사회, 경제적인 변화에 따라 다양한 식품과 음식문화를 접하는 현대인의 식생활 변화를 고려한다면 조... 한식기는 한식에서 떨어질 수 없는 필수요소이며 한국의 독특한 식문화를 품고 있다. 사회, 경제적인 변화에 따라 다양한 식품과 음식문화를 접하는 현대인의 식생활 변화를 고려한다면 조선시대에 내려오는 반상의 한식기형태, 즉 전통적으로 사용한 식기를 그대로 계승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한식기선택에 대한 소비자들의 변화된 요구를 이해하는 것은 가정 내의 생활용품을 포함하여 한식기가 사용되는 관련식품산업, 외식산업, 그리고 식기산업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되었다. 본 연구는 가정 내의 식생활을 담당하는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소비자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시장별 한식기선택속성이 구매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시장별 구매만족도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기혼여성 3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식기가 생활용품이지만 식품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등 식생활 영역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척도를 이용하여 소비자시장을 세분화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성검정을 통해 유행추구, 건강추구, 편의추구, 시각추구, 합리성추구, 미각추구의 6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군집 분석 중 K평균법을 사용하여 3개의 시장으로 세분화하였다. 세분화된 시장별 인구동태학적,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차이분석을 하여 시장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사용하였다. 세분시장 1은 식품 구매 시 식품의 정보를 비교 확인하며 음식에 대한 아름다움을 중요하게 여기고 편의식이나 간편식을 선호하지 않는 집단으로 타 집단에 비해 50대 이상의 연령층의 비율이 높은 특징을 나타내었고 이를 ‘보수적 미(美)식가집단’이라고 명명하였다. 세부시장 2는 타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식생활에 관심이 적은 집단으로 식품의 가격, 외관, 맛에 대한 정보취득에 관심이 없으나 새로운 식품이며 편의식이용 및 외식에 대해 선호하지 않으나 맛집 방문에는 적극적인 집단으로 타 집단에 비해 20대 미만과 60대 이상이 낮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이를 ‘유행적 식도락가집단’이라고 명명하였다. 세부 시장 3은 타 집단에 비해 식생활에 고관여집단으로 특히, 간편식이나 반조리식품 등 편의식에 대한 거부감이 적고 외식을 자주하며 새로운 식품이나 맛집에 대해 적극적인 집단으로 타 집단에 비해 20대〜30대의 연령층 비율이 높은 특징을 나타내었고 이를 ‘편의적 식도락가집단’이라고 명명하였다. 둘째, 세분화된 시장에 따른 한식기선택속성이 구매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시장별 구매만족도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일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한식기선택속성이 구매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3개의 세부시장에서 공통적으로 한식기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과 한식기의 형태, 색상 등 디자인에 관련된 심미성이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분시장 1인 보수적 미식가집단에서는 재구매의도에서 전자레인지 등 다양한 주방기기를 사용할 수 한식기의 호환가능성에 대해, 세부시장 2인 유행적 식도락가집단에서는 구매만족도에서 한식기의 수납, 세척, 내구성 등 한식기의 용이성에 대해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구매의도에서는 용이성이과 함께 이름 있는 회사를 선호하는 명성에 대해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한식기의 원재료, 제조공정, 사용상의 유의사항 등 한식기의 신뢰성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소비자에게 적극적인으로 공유하는 방안과 함께 품질보증에 대한 규정이나 기준 등 전문적인 관리기관에 의한 전반적이고 통합된 품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고 변화된 식생활이 반영된 한식기 고유의 미(美)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Korean tableware is an essential element in Korean cuisine and enshrines Korean food culture. Considering changes in the diet of people living in modern times who encounter diverse foods and food cultures according to different societies and economic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