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maladjustment in the culture, household gender role, and relationships in the 19th century west American Creole society, endured by the protagonist Edna Pontellier in The Awakening, 1899. The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maladjustment in the culture, household gender role, and relationships in the 19th century west American Creole society, endured by the protagonist Edna Pontellier in The Awakening, 1899. The Awakening borrows the point of view of a woman trying to find her place in her household, and in the society in general. It describes her rejection of the traditional women role model, and her struggle to discover her own identity. However, the importance of the novel goes beyond the common feminist analysis of a woman trapped in a cage like a bird developed since the 1970s. Several modern analysts have brought new perspectives in the reading of The Awakening, and discussed the realism of Kate Chopin's representation of married women life at the time. They have analyzed various symbolism in Chopin's work, such as the swimming, music, house, birds, awakening, painting and sea, through the theory of existentialism and transcendentalism. Indeed, some elements of the story, such as the protagonist's quest to find her place in the universe, her delectation in solitude, or her will to miss the church, are reminiscent of Emerson's theories. The study of the contentious relationships of the main character, Edna, arising from her maladjustment both at home and in society, is the core subject of this thesis.
본 논문은 케이트 쇼팬(Kate Chopin, 1850-1904) 각성(The Awakening, 1899)에서 여주인공 에드나(Edna Pontellier)가 19세기 미국 남부의 크레올 사회에서 겪는 부적응의 양상을 문화... 본 논문은 케이트 쇼팬(Kate Chopin, 1850-1904) 각성(The Awakening, 1899)에서 여주인공 에드나(Edna Pontellier)가 19세기 미국 남부의 크레올 사회에서 겪는 부적응의 양상을 문화적 측면, 가정에서 여성의 역할, 그리고 사회적 인간관계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각성에 대한 비평은 에드나가 가부장적 사회와 가정으로부터 독립을 추구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주로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시도는 에드나가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을 거부하고 자아를 새롭게 인식하는 과정을 여성의 정체성 찾기라는 관점에서 조명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1970년대 이후 이 작품에서의 여성 정체성은 새장에 갇힌 새 등의 이미지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이 소설은 페미니즘의 교과서와 같은 작품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하지만 현대 다수 비평가들은 쇼팬이 작품에서 기혼여성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것이라고 평가하며 다양한 시각에서 다시 읽기를 시도하고 있다. 이들은 쇼팬이 작품 전체에 걸쳐 언급한 수영, 음악, 집, 새, 잠깸, 그림 그리기, 바다 등과 같은 다양한 상징적 이미지와 여주인공의 교회 예배 참석 거부, 에머슨 책 읽기, 우주 안의 자기 위치 확인, 혼자 있기를 좋아하는 행위 등을 근거로 실존주의나 초월주의적 비평을 시도하기도 한다. 본 논문은 19세기의 이러한 사회적, 사상적 배경을 토대로 주인공 에드나가 그녀에게 주어진 가정과 사회에서의 역할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갈등 관계에 놓이게 되면서 부적응의 상황에 처하게 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각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