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jective of this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cafe design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afe space design in Daegu region, and also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atmosphe... The objective of this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cafe design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afe space design in Daegu region, and also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atmosphere felt from cafe space. As a research method,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by visiting 30 cafes with high popular preference in Daegu-si. Based on the contents researched, the type of cafe space was divided, and the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lso, in order to study the atmosphere of the researched cafe space, the sensitivity was analyzed through the method of viewing the photos of cafe space and then checking on the survey questions applying to the overall sensitivity. Lastly, putting together the analyze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analysis of sensitivity, total four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nalyzing the plane of the subject cafes, there were five types of cafe space such as “space separation closed-type”, “space open closed-type”, “space separation extended-type”, “space open extended-type”, and “Hanok extended-type”. Second, regarding space design of cafes with high preference in each type, places showing different atmosphere by dividing space and utilizing props or structural elements were preferred to simple and plain space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cafes most preferred by people in Daegu included spaces showing diverse spatial atmospheres and bright/lively/comfortable atmosphere as they were composed of open space and terrace, and also spaces presenting vitality and pleasure by placing design props or plants here and there. It shows that people prefer cafe spaces providing neat, clean, relaxed, lively, and interesting feelings. Fourth, cafes in Daegu formed the similar atmosphere in accordance with each regional atmosphere. It shows that Daegu-si also forms the regional trend or atmosphere through caf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establish an opportunity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pace desig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afe space based on the sensuous atmospher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pplied to design of cafe space in Daegu-region, and also to be used as basic data to design cafes as a resting space for people instead of space just showing visual gorgeousness.
사람들이 매장 안에 들어왔을 때 각 매장의 독특한 분위기를 느끼며, 이러한 분위기와 이미지가 사람들의 심리에 인지되어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되면 매장의 선택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이... 사람들이 매장 안에 들어왔을 때 각 매장의 독특한 분위기를 느끼며, 이러한 분위기와 이미지가 사람들의 심리에 인지되어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되면 매장의 선택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이렇듯 특히 카페에서 실내공간연출은 소비자들이 카페를 선택하게 되는 주요 인자로, 분위기와 공간 구성요소 또한 중요시된다. 한 인터넷 서비스 업체의 설문에 의하면 카페를 방문하는 고객들 중 공간의 분위기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대부분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카페가 수익 창출을 위한 영리 공간이면서 공간디자인이 매우 중요시되며, 분위기 연출 또한 중요시 되는 공간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욕구 충족을 위해 형성된 소비 트렌드에 의해 다양한 사람들의 욕구와 가치를 반영하는 카페들이 자연스럽게 생겨남에 따라 카페의 공간 연출 또한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대구광역시에도 사람들의 카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카페문화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대구의 “골목”, “거리”로 되어있는 지역에 독자적인 성격을 띈 개인카페들이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은 대구지역의 카페 공간 디자인의 특성 분석을 통해 현재 카페 공간 디자인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카페 공간의 분위기에 따른 공간적 특성에 어떤 차이점을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카페 디자인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대구광역시의 대중적 선호도가 높은 카페 30곳을 방문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카페공간의 유형을 나누고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된 카페의 공간 분위기를 연구하기 위해 카페의 공간사진을 보고 공간에 대한 총체적인 감성을 설문을 통해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물리적 특성과 감성적 특성을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내용을 종합하면 4가지의 특성을 알 수 있다. 첫째, 조사대상 카페의 평면을 분석하여 “형태성”, “공간성”, “확장성”의 공간 특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이를 토대로 “공간분리폐쇄형”, “공간개방폐쇄형”, “공간분리확장형”, “공간개방확장형”, “한옥확장형”의 5가지 카페 공간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대구카페 공간 디자인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주로 바닥, 벽, 천정등의 재료를 노출콘크리트로 사용하며, 페인트나 미장을 노출콘크리트와 함께 사용하는 곳이 많았다. 공간의 형태는 단순한 직선형태이며, 가구는 주로 우드/철제소재의 가구와 쿠션감이 있는 의자가 많으며, 대부분 여러 소재나 형태의 다양한 가구를 공간에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카페 공간에서 가구의 역할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조명은 간접등을 주로 사용하고, 부분적으로 갓등형태의 조명을 사용하고 있다. 소품은 주로 식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소품을 각 카페의 인테리어 컨셉에 맞게 추가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곳이 많다. 둘째, 유형별로 대구카페 공간디자인을 살펴보면 “한옥확장형”이 가장 큰 선호도를 보이며, “공간분리폐쇄형”도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다. 이들의 공통된 특성을 살펴보면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 공간마다 다른 분위기로 연출되고, 그로 인해 공간 안에 여러 요소들이 함께 어울려져 재미있고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이렇듯 사람들은 단순하고 밋밋한 공간보다는 소품등을 활용하여 공간을 다양하게 연출하거나 구조적인 요소를 통해 공간을 분리하여 다른 분위기로 연출되어진 곳을 더 선호한다고 본다. 셋째, 대구카페에서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카페의 특징은 오픈된 공간과 테라스가 함께 구성되어있어 다양한 공간 분위기와 밝고 생기 있고 편안한 분위기로 연출된 공간이며, 디자인소품이나 식물을 곳곳에 배치하여 공간에 생기와 즐거움을 함께 주고 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정돈되고 깨끗한 느낌과 여유로운 느낌, 생기 있고 흥미로운 느낌을 주는 카페 공간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대구카페는 지역별로 지역분위기에 따라 카페 분위기가 비슷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을 통해 대구광역시도 지역별로 트렌드나 분위기를 카페를 통해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대구지역의 카페 공간 디자인에 적용된 물리적 특성과 분위기에 따른 카페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여 공간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후속 연구를 통해 문화가 발달한 다른 지역의 카페와 비교 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분석결과를 도출한다면 더 좋은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