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 시에 나타난 ‘무위자연’ 사상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Jeong Ji-yong’s poetic activities appear in two volumes of collections of poems, Collection of Jeong Ji-yong’s Poems(1935) and Baengnokdam(1941). Except for a series of poetry, singing the world of religious seeking for the truth, the poet sings t...

Jeong Ji-yong’s poetic activities appear in two volumes of collections of poems, Collection of Jeong Ji-yong’s Poems(1935) and Baengnokdam(1941). Except for a series of poetry, singing the world of religious seeking for the truth, the poet sings the poetic object of nature consistently.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ideology of natural situations without artificial techniques in poems related to hometown, sea and mountain. Most researchers divide his poetry into early poems and later poems and into different dimensions such as sensual poems and oriental poems, but no one can deny that he has clung to a new subject, poetical discovery of nature from his early poems. Of course, many poets sang nature through poetry, and the reason why this study makes an issue of the proposition, ‘Letting nature be(Muwijayeon),’ through poetry, especially in his poetry, is that the way in which nature is sung as a poetic object shows an essential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lyric poetry. It is because his poetry suppresses his feelings, rather than expressing the world of his subjective emotions and feelings through nature, and creates his sensual awareness about nature, itself as a harmonious aesthetic space by putting that in order through language. This study would look into the ideology of a natural situation without artificial technique in Jeong Ji-yong’s poetry that showed poetic worlds.
‘Muwijayeon’ appears in his poetry as follows: First, it aims at a union with nature based on monistic consciousness about the universe. It pursues a monistic stage of assimilation of all things, in which all creatures become me, and I become all creatures, by uniting an individual with nature and the universe. His poetry is projected on a residential space, forming a union with nature in a way in which his feelings are shared by an object as the self and the world become one or it is integrated with the object. Second, it implies a spirit of pursuing ‘Muwijayeon’ and seeking the Taoist utopia, communing with nature breaking away from secular anguish and greed and living a life, going after rustic nature. In addition, there is a characteristic by which he tries to overcome reality or transcend it by returning to nature through harmony with nature that symbolizes innocent spaces, such as hometown, sea or mountain. Third, it implies a consciousness about life to accept death and transcend distress through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nature of endless circulation. ‘Muwijayeon’ is an idea that the existence of objects is realized by regarding what is in conflict or opposition to them as a premise of their existence, and based on that, they develop, change and grow, and also everything carries out an incessant process of circulation and repetition. This ideology of opposition/transformation and circulation/reciprocation appears as a positive consciousness about death in his poetry, and in these poems, the ideology of the natural situation without artificial technique appears as various characteristics. It is noted that poetic spirit to return to nature, living a life, depending on nature, learning nature, living an idle lif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nature is manifested in a form of life in Jeong Ji-yong’s poems. Also, the poems contain his poetic spirit of pursuing the principle of life in nature, which is realiz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realization of the original home, consciousness of nature as mother and pursuit of Taoist utopia. Along with Tao, ‘idleness (Muwi),’ which forms the core of Lao-tzu and Chuang-tzu thoughts, realizes awakening, expansion to the universal consciousness, wisdom of transcending death, and the process of reaching freedom of spirit by doing nothing but looking at things, and it appears as observation in his poetic world.
In his poems, a spirit, “The idea of ‘wandering(Soyo)’ is not a means for a purpose of life, but is the purpose itself” appears, which is insisted by Chuang-tzu.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appears as the spirit of ‘not paying attention to details(Daeihwaji),’ which pursues harmony with nature and getting the absolute freedom, transcending time, that is, ‘Letting nature be.’

정지용의 시작 활동은『鄭芝溶詩集』(1935)과『白鹿潭』(1941)등 두 권의 시집으로 집약되어 나타난다. 종교적인 구도의 세계를 노래한 일련의 시를 제외하면 거의 일관되게 시적 대상이 자연...

정지용의 시작 활동은『鄭芝溶詩集』(1935)과『白鹿潭』(1941)등 두 권의 시집으로 집약되어 나타난다. 종교적인 구도의 세계를 노래한 일련의 시를 제외하면 거의 일관되게 시적 대상이 자연을 노래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그의 시를 초기의 시와 후기의 시로 나누어 감각적인 시와 동양적인 시 등 서로 다른 차원으로 나누기도 하지만 그가 초기 시부터 자연의 시적 발견이라는 새로운 주제에 매달려 있었다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다. 물론 이전에도 시를 통해 자연을 노래한 경우는 많았지만 여기서 시를 통해 무위자연이라는 명제를 유달리 정지용의 시에서 문제 삼는 것은 시적 대상으로서의 자연을 노래하는 방법이 그 이전의 서정시와는 본질적으로 차이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시는 자연을 통해 자신의 주관적인 정서와 감정의 세계를 토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면서 자연에 대한 자신의 감각적인 인식 그 자체를 언어를 통해 조화로운 미적 공간으로 창조해 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향, 바다, 산에 관련된 시에 나타나는 무위자연 사상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정지용의 시에 나타난 무위자연은 첫째 일원론적 우주의식을 바탕으로 한 자연과의 합일을 지향했다고 할 수 있다. 무위자연은 개인을 우주 자연에 합일시킴으로써 천지 만물이 내가 되고 내가 곧 천지 만물이 되는 만물제동의 일원적인 경지를 추구한다. 정지용의 시는 거주 공간에 투사되어 자아와 세계가 동일화되거나 어떤 사물과 일체화됨으로써 그의 느낌을 공유하는 형식으로 자연과의 합일을 이룬다. 둘째 세속적인 번뇌와 욕심에서 벗어나 자연과 교감하며 소박한 본성을 따르며 사는 무위자연에 대한 추구와 도가적 이상향 추구의 정신이 있었다. 또한 고향이나 바다, 산 등 순수공간을 상징하는 자연과의 친화를 통해 현실에 대한 극복을 시도하거나 자연에 회귀함으로써 초극하려는 특징을 나타냈다. 셋째 끝없이 순환하는 자연원리의 이해를 통해 죽음과 괴로움을 초극하려는 삶의 의식을 내포한다는 점이다.
무위자연은 사물들이 그들 자신과 상반하거나 대립되는 것을 전재로 여김으로써 자기의 존재가 실현되고 그 기반에서 발전·변화·성장하고, 또한 만물이 끊임없는 순환, 반복의 과정을 진행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대립전화와 순환왕복의 이념은 정지용의 시에서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의식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이들 시편에는 무위자연 사상이 다양한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정지용의 시편은 자연으로 돌아가 자연에 의지된 삶을 살고 자연을 배우고 자연의 원리에 따라 무위의 삶을 살며 소요의 자유를 누리고자 하는 시정신이 삶의 모습으로 형상화되어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자연 속에서 삶의 원리를 추구하는 시정신이 나타나 있으며 그것은 본향의식의 각성, 어머니로서의 자연의식, 도가적 이상향의 추구 등 다양한 양상으로 구현되고 있다. 도와 더불어 노장사상의 핵심을 이루는 ‘무위’는 깨달음과 우주적 의식으로의 확장, 죽음을 초극하는 지혜, 아무런 함(有爲)이 없이 오직 바라봄(無爲)으로써 정신의 자유에 이르는 과정 등을 구현하고 있으며 정지용의 시세계에는 관조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정지용 시에는 장자가 주장하는 “소요의 이념은 삶이 어떤 목적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절대 자유”라는 정신이 있다. 또한 그의 시에는 자연과 완전한 일체와 조화를 추구하는 정신, 시간을 초극하여 큰 자유를 얻는 대이화지(大而化之)의 정신, 즉 무위자연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