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정주화 현상과 문화적응 - 여가의 역할을 중심으로 - 다문화학과 배 선 식 지 도 교 수 정 상 우 본 연구는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정주화 현상에 따른 문화적... 국문초록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정주화 현상과 문화적응 - 여가의 역할을 중심으로 - 다문화학과 배 선 식 지 도 교 수 정 상 우 본 연구는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정주화 현상에 따른 문화적응을 위해 여가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문화적응의 동화와 통합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다문화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이주노동자의 여가활동의 필요성을 제언 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한국사회의 체류외국인들은 단지 머물다 떠나는 곳이 아니라, 주민으로 거주하려는 비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고용허가제를 통하여 장기체류를 제한 하고자 하였지만 미등록이주노동자는 오히려 증가하고, 인도적 차원에서 부여한 방문취업(H-2)의 허가도 증가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이러한 이주노동자의 정주화 현상(장기 체류)은 한국에서 일상생활을 어떻게 영위하고, 문화적응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 관심을 갖게 한다. 먼저, 이주노동자들의 미디어 활동과 네트워크 활동이 한국의 문화 적응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것이라 예상하였다. 미디어와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정보가 타국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 문화적응에 도움을 준다고 한 논리이다. 이는 미디어의 사회화 기능에 주목하는 배양(cultivation)효과와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이주민들의 문화적응의 특성은 초기 이주시 주류 문화와 ‘분리’ 현상을 보다가, 조금씩 현지 사회에 익숙해지면서 자국의 기존 문화에 주류문화를 받아들여 문화의 양립을 이루는 ‘통합’의 현상을 보인다. 이 후 장기체류를 하게 되면서 현지의 문화를 완전히 수용하는 ‘동화’의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문화적응 측정기준은 동화와 통합으로 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베이와 심층면담을 병행하였으며, 표본은 수도권의 2곳(김포, 고양)과 지방 1곳(새만금)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 변인 측정 영역, 여가활동 영역, 문화적응 영역으로 총 27문항이며, 부수는 426부이다.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SPSS(Ver.24)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주요 변수들의 특성 및 문화적응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고, 종속변수의 추이를 파악해 보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가활동이 동화적 경향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 결과는 동화.202(p<0.05), 통합.336(p<0.05)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으며, 이는 여가활동이 증가할수록 ‘동화’ 및 ‘통합’의 경향은 커진다고 볼 수 있다. 세부적으로는 ‘동화’와 ‘통합’의 관계에서는 동화.202(p<0.05), 통합.336(p<0.05)로 나타나, 이주노동자들은 ‘동화’에 비해 ‘통합’에 근접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이주노동자의 여가활동 유형에서 네트워크는 ‘동화’, 미디어는 ‘통합’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었다. 셋째, 이주노동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국가, 학력, 체류기간의 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동화는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났지만, 통합은 국가별 차이에만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나고, 학력, 체류기간과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가의 심층면담에서의 결과는 체류자격의 적법성 여부를 떠나 이주노동자들이 다양한 문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했다. 본 연구는 정주화 현상에 심도 있는 대처를 위한 이주노동자들의 문화적응을 학문적으로 연구해야하는 현실적 동기를 부여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주노동자들의 여가활동은 국내의 소비활동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의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동시에 여가는 이주노동자들의 문화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 포용․통합 될 수 있는 기회가 되며, 공동체적 가치존중과 통합을 위한 책임과 의무를 이행하는 단초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이주노동자의 정주화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나아가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에 기여할 수 있는 여가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