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의 56%가 일주일에 1회 이상 규칙적으로 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장애인의 경우는 15.8%, 특히 지체장애인의 경우에는 13.9%만이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우리나라 국민의 56%가 일주일에 1회 이상 규칙적으로 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장애인의 경우는 15.8%, 특히 지체장애인의 경우에는 13.9%만이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의 생활체육 활동이 일반인에 비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장애인 생활체육의 참여 증대와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스포츠 동호회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계속해서 제기되어 왔다. 휠체어농구 동호회 활동은 건강유지 및 체력증진이라는 일차적인 차원을 넘어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고 여가시간을 건전하게 활용하게 하여 장애로 인한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 상실 등을 효과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정되었고, 이로 인해 휠체어농구는 오락 기능 및 사회학적 기능을 수행하는 신체 활동적 여가활동 영역으로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 동안의 지체장애인 스포츠 활동 관련 연구는 주로 지체장애인의 스포츠 활동 참여 실태나 참여제약에 관한 연구(구혜봉, 2002; 김선이, 2012; 성정락, 2002)가 주를 이루어 왔고,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참여 동기 연구(김용국, 박상혁, 2010; 김창균, 최소연, 오아라, 2011)나 장애인의 여가 문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연구들은 거의 찾아보기 힘든 실정(김송석, 2004)이다. 따라서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회 활동이 더욱더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동호회 회원들이 어떠한 동기를 가지고 참여하는지,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동호회 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여가만족은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이 연구는 전국의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을 대상으로 동호회 참여 동기와 참여 저해 요인, 그리고 여가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회의 효과적인 운영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경남, 강원, 제주 등 전국에서 휠체어농구 동호회에 참여하고 있는 동호인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46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 중 응답이 불성실한 2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144명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의 동호회 참여 동기를 조사ㆍ분석한 결과, 취미오락형 참여 동기가 4.0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건강지향형 참여 동기가 3.97, 사교지향형 참여 동기가 3.90, 자기개발형 참여 동기가 3.58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지향형 참여 동기가 3.1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다시 참여 동기의 하위영역별로 동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동호회 참여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자기개발형 참여 동기의 경우 연령, 직업 유무, 주거 그룹, 동호회 참여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취미오락형 참여 동기의 경우 주거 그룹, 주관적 건강 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의 동호회 참여 저해 요인을 조사ㆍ분석한 결과, 구조적 요인이 2.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인간상호간 요인 2.22, 내재적 요인이 2.0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다시 참여 저해 요인의 하위영역별로 동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동호회 참여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내재적 요인의 경우 연령, 직업 유무, 주관적 건강상태, 참여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인간상호간 요인의 경우 연령, 최종학력, 직업 유무, 참여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의 여가만족도를 조사ㆍ분석한 결과, 신체적 만족이 4.2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심리적 만족이 4.05, 사회적 만족이 4.02, 교육적 만족이 4.01 순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적 만족이 3.7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다시 여가만족의 하위영역별로 동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동호회 참여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심리적 만족의 경우 직업 유무, 장애등급,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신체적 만족에서는 가족 전체 수입이, 환경적 만족에서는 참여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회의 효과적인 운영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논의 결과 얻어진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호인들이 동호회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휠체어농구 리그 및 전국ㆍ지역대회의 활성화를 통해 게임을 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 주고, 이를 통해 즐거움을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인 생활체육에 대한 예산 확보와 동호회에 대한 재정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시ㆍ도 장애인체육회 및 시ㆍ도 장애인농구협회를 통해 장비나 시설 등에 대한 정보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일반시설도 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우선적 개방이 필요하고, 지체장애인이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편의 시설 확충에 관한 제도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