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을 활용한 가야금 지도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2009년 교육과정에서 안내하고 있는 창의적 인재육성을 통한 전인적인간의 교육을 위해 본 연구지도방안이 실제적으로 기여하기 위하여 전통 문화 계승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우리나라의...

2009년 교육과정에서 안내하고 있는 창의적 인재육성을 통한 전인적인간의 교육을 위해 본 연구지도방안이 실제적으로 기여하기 위하여 전통 문화 계승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우리나라의 상징적 민요 ‘아리랑’을 제제로 활용하여 가야금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리랑은 우리의 언어특질과 역사적 경험과 그로부터 스며 나온 독특한 정서에 의해 오랜 세월 동안의 삶의 지혜가 담겨 있다. 현행 가야금 교본 3종에 수록되어있는 아리랑을 난이도에 따라 학습의 단계를 구분하였다. ‘아리랑 연주의 생활화’를 최종 학습목표로 우리음악의 이해와 가야금 음악의 아름다움을 향유하기위해 우리장단의 한배의 개념을 알고 연주할 수 있는 장단 학습과정도 학습차시에 추가하였다. 지도구성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1단계는 음악의 기초를 다지면서 악기적 구성을 알아가는 단계로 <악보1>문재숙의 아리랑으로 총3차시로 계획하였으며 2단계에서는 가야금의 특징적주법과 아리랑의 특징적 선율을 중점으로 지도하였다 3단계에서는 1단계와 2단계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아리랑의 시김새를 살려 가야금으로 아리랑의 음악적 특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중점을 두어 6차시로 구성하였다. 가야금교육을 신청한 초기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학습격차와 학급간의 수준을 고려하여 교육적 효과를 반감시키는 학습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학습목표를 간소화 하였다. 기악은 가창과 습득시간이 다르게 기능습득시간이 요구됨으로 하나의 제제를 선정하여 악곡의 단계에 따라 총3단계 12차시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야금으로 음악적 표현력을 익혀 아리랑의 가야금 연주가 가능 하도록 하는 단계별 학습은 음악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기르고 적극적으로 향유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둘째, 음악의 생활화를 이룰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학습활동 수업내용으로 구성하고 적극적인 후원을 통한 음악수업을 바탕으로 다양하고 심도 있는 음악생활을 영위하게 될 것이다. 셋째, 시김새표현 및 장단활동으로 전통음악의 특징적요소를 이해 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전통 음악 활동 경험의 기회에 자신감을 갖고 적극참여 할 수 있다. 아리랑의 음악적 가치를 알고 교육의 제제로 활용하여 재구성 되는 일은 학습을 위한 모든 학교 활동에서 우리의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일로, 앞으로 다양한 악기군에서 여러 방향으로 아리랑이 풍성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pursuit of whole person education through cultivation of creative brains which has been introduced in the ‘2009 curriculum, this study wanted teaching methods to make a practical contribution.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in the end used ’ar...

In pursuit of whole person education through cultivation of creative brains which has been introduced in the ‘2009 curriculum, this study wanted teaching methods to make a practical contribution.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in the end used ’arirang’, a Korean symbolic folk song which possesses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inheritance, and offered methods to teach gayageum. As for arirang, it is considered to pass wisdom of life on that has been accumulated for long with Koreans’ own linguistic features, historical experiences and these particular emotions caused by the former, The study categorized levels of learning by difficulties of arirangs presented in three different existing gayageum textbooks. With ‘making arirang performance a way of life’ determined to be the final learning objective, in order to enjoy understanding on Korean music and beauty of gayageum music as well, the study added a process of rhythm learning as a session which would help learners to perform with their improved understanding on concepts of tempo in Korean rhythms. Details of an instruction method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stage for learners to know a construc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y acquiring the basics of music, the first stage was made out of these three sessions in total which would all deal with MOON Jae-sook’s arirang in <Music Note 1>. In the second stage, the study focused on distinctive gayageum playing styles and arirang’s distinguishing melodies. Stage 3 referred to what learners had learn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tages and emphasized ornaments of arirang which would lead the learners to express musical features of arirang as freely as they want by gayageum. As explained so far, that is how the study finally designed a teaching plan with a total of six sessions included. The study selected beginners who had applied for gayageum training as research targets and in consideration of leaning gaps of the learners and levels of the classes, it simplified learning objectives to minimize the amount of learning as much as possible which would possibly reduce educational effects. When it comes to instrumental music, since it requires time for the learners to acquire playing skills which would distinguish the instrumental music from singing, the study had to collect one main piece and created 12 sessions in a total of three stages focusing on developmental steps of the piece. Relevant expected results are presented as below. First, phased learning to help learners play arirang with gayageum as the learners learn musical expressiveness with the instrument strengthens learners’ confidence in music and gives them a chance to actively enjoy music. Second, through the music lessons consisting of various learning activities and proactive support that would make music a way of life, the learners savor their music life in diverse but profound ways. Third, the learners make use of ornament expression and rhythm activities to understand original elements of traditional music. As being given chances to experience all these different traditional musical activities, the learners become confident enough to actively join any of the musical activities. How arirang’s musical value is applied and restructured as an educational material is regarded to be what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how learners learn value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in every single school activity, and the study now hopes that arirang is used only satisfactorily for multiple purposes in every field of musical instruments.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