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Organ에 의해 조직시민행동이라는 개념이 정립된 이후 지난 30여 년 동안 많은 조직 연구자들이 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기능을 증...
1988년 Organ에 의해 조직시민행동이라는 개념이 정립된 이후 지난 30여 년 동안 많은 조직 연구자들이 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기능을 증진하는 집합체이면서, 공적 포상 시스템에 의해 직접적으로나 명시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재량적인 개인행동이다(Organ, Podsakoff, & MacKenzie, 2006). 그 결과 조직시민행동은 개인의 성과 확대라는 포괄적 의미 외에도 치열한 경쟁 환경에 둘러싸인 조직과 필연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경쟁우위를 위한 잠재적 생존 동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조직시민행동을 정치적인 측면에서 검토해 보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조직시민행동을 직접적으로 유발하거나 간접적으로 촉진하는 제도 및 요인들을 정치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의 조직시민행동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된 행동들이 조직 정치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에 의해 조사된 행동과 매우 강력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조직시민행동이 표면적으로는 친사회적인 행동처럼 보일 수 있지만, 동시에 조직시민행동은 이기적이거나 도구적일 수 있고, 정치적인 동기에 의해 시작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정치적 입장으로부터의 조직시민행동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조직시민행동의 정치적인 메커니즘과 이에 따른 강화된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제시하였다. 첫째, 개인의 동기에 따라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개인의 동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직정치지각과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41개 기업에서 1139부의 설문응답을 바탕으로 통계 프로그램 SPSS 2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직관심 동기와 친사회적 가치 동기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상관리 동기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정치지각은 조직관심 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영향관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정치지각은 친사회적 가치 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영향관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조직정치지각은 인상관리 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영향관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는 정치적 기술의 하위차원 4가지 인맥관리 능력, 표면적 진실성, 사회적 통찰력, 대인관계 영향력을 통해 검증하였다.
인맥관리 능력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조직관심 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직관심 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표면적 진실성과 사회적 통찰력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인관계 영향력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조직관심 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적 기술의 하위차원 4가지 인맥관리 능력, 표면적 진실성, 사회적 통찰력, 대인관계 영향력 모두 친사회적 가치 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맥관리능력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인상관리 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적 진실성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인상관리 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통찰력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인상관리 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영향력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인상관리 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결과 의미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우선, 개인의 동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조직관심 동기와 친사회적 가치 동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결과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같은 결과를 가진다. 그러나 인상관리 동기의 경우 기존의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조직정치지각의 조절효과의 경우 개인적 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조직 내에서의 정치적인 분위기가 실제로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조직정치지각의 부정적인 영향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나아가 조직 내에서 이 같은 정치적인 상황이나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도록 객관적이고 조직구성원 모두가 인식할 수 있는 공정하고 깨끗한 조직문화 및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의 경우 개인의 동기가 조직시민행동을 미치는 영향에 있어 상반된 연구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개인의 동기들이 정치적 기술에 따라 조직시민행동의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의미이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의 성과 증대를 위해 구성원들의 정치적 기술 능력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관리하는 상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 및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개인적 동기, 조직시민행동, 조직정치, 조직정치지각, 정치적 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