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하학적 조형에서 환영과 유희 : 반복 연작의 분석과 해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is about the illusion and play of the geometric shapes which have been positioned in my artworks as outstanding formative elements. Conventionally, the geometric shapes have been recognized as rational codes in line with Modernism arts, pur...

This study is about the illusion and play of the geometric shapes which have been positioned in my artworks as outstanding formative elements. Conventionally, the geometric shapes have been recognized as rational codes in line with Modernism arts, pursuing simplicity of forms and clarity of logic from the beginning. However, the geometric shapes used in my artworks, which are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ar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existing geometric shapes of the fine arts, which have been recognized as rational codes. In other words, my artworks involve emotional code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general attributes of geometric shapes which explore the transcendent essence of the medium. This question wa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t was a well-known fact that the geometric shapes became the irreducible basic model of visual perception in this period of great transformation into abstract arts, which pursue the intelligible essence beyond the phenomenon along with the extinction of Mimesis. At this point, the geometric abstract intended to rule over the area of high arts separated from life by excessively emphasizing spirituality and formalism, based on the idea of purism or fundamentalism. There ar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e fact that the geometric shapes became the target of intensive criticism based on the deconstruction reasons of de-modernism. Moreover, the urge of post-modernism reorganized the level of the geometric shapes into a more complex structure of meaning by using the strategy to re-contextualize the basic propositions of modernism.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anings and limits of the differentiated practical devices of the activity to create geometric shapes in the paradigm of contemporary arts by considering the changing process of geometric shapes and its relevant issues. This is because it can be a measure of explication within the differentiated context by projecting my artworks based on the principle of form of repetition and accumulation of the geometric shapes into the context of art history. The ultimate goal pursued by this study was to specifically find the new potentials of the geometric shapes by doing so.
First, I reviewed the issues on the abstract fine arts that appeared in the Modernism arts given the fact that the geometric shapes were created in the method of abstraction of thinking. Next, I contemplated the points in question and the meanings of the geometric shapes transformed under the spirit of the times of de-modernism. The discussion suggested ambiguity, decentralization and intertextuality, which were focused on as the source of the formative attitude in the contemporary arts, as the conceptual basis to analy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y artwork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 put an emphasis on seeking the new possibilities of geometric shapes by analyzing the strategies and effects of the geometric shapes in the research artworks, and reinterpreting their meanings and possibilities.
It was the imaginary illusion as the surface effect and the play as an emotional code that the research artworks intended to reveal through the geometric formative element. The attributes of illusion and play are concepts that conflict with the geometric shapes which have been perceived as solid, meaning that the geometric shapes are reconstructed into the flexible attribute through changes and reversals. This study intended to prove how such hard vocabularies of the geometric shapes are transformed into such a soft liquid attribute. In other words, it aimed to re-contextualize the semantic forms of the geometric shapes, which are fixed as rational codes, into the new emotional code that “shares the meaning with the fun” by avoiding fixation of the semantic forms.
The study aimed to emphasize the fact that the geometric shapes have the attributes of anti-purism or anti-fundamentalism as a universal visual language based on the common perception of forms of entire humans and cultures and one of the contemporary cultural codes. Moreover, it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finding the point to integrate once separated life and arts in Modernism arts by transforming the elements of illusion created by the geometric formativeness into ‘de-materializing play.’

이 연구는 연구자의 작품에 두드러진 조형이념으로 자리매김해 온 기하학적 조형에서의 환영과 유희에 관한 연구이다. 기하학적 조형은 관례적으로 그 출발부터 형태의 단순성과 논리의 명...

이 연구는 연구자의 작품에 두드러진 조형이념으로 자리매김해 온 기하학적 조형에서의 환영과 유희에 관한 연구이다. 기하학적 조형은 관례적으로 그 출발부터 형태의 단순성과 논리의 명료성을 지향하는 모더니즘 미술과 궤도를 함께 하면서 이성적인 코드로 인지되어 왔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기하학적 조형은 이성적인 코드로 인지되어 온 기존 미술의 기하학적 조형과는 거리를 두고 있다. 다시 말해 연구 작품은 매체의 보편적인 본질을 탐구하는 기하학적 조형의 일반적인 언어로는 설명할 수 없는 매체의 특수한 감성적 속성을 중시한다. 이러한 논점이 이 연구의 출발점이었다.

20세기 초, 회화에서 재현 이념의 쇠퇴와 더불어 가시적(可視的) 현상 너머, 대상의 가지적(可知的)인 본질을 탐구하는 추상미술로의 대전환이 이루어지던 시기에 기하학적 조형이 등장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때 기하학적 추상은 순수주의(purism) 혹은 정초주의(fundamentalism) 이념에 근거하여 지나치게 정신성과 모던한 형식성을 우선한 나머지 삶과 분리된 환원주의적인 미니멀리즘 미술로 귀착된다. 이로 인해 기하학적 조형이 탈 모던의 해체론적 사유에서 집중적인 비판의 대상이 된 것은 상당한 시사점을 가진다. 이 같은 해체론적 맥락에서의 포스트모던적 충동은 모더니즘의 기본 명제들을 차용하여 재맥락화하는 전략을 펼침으로서 환원주의적인 기하학적 조형의 지층을 한층 더 복잡한 의미 구조로 재편성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는 기하학적 조형의 변천 과정과 그 쟁점들을 고찰함으로써 동시대 미술의 패러다임 속에서 기하학적 조형 행위가 가질 수 있는 실천적 장치에 대한 의미와 한계를 짚어보고자 하였다. 이는 다른 한편으로 형의 반복과 축적의 원리에 기초한 연구자의 작품을 미술사적 맥락 속에 투사함으로서, 차별화된 문맥 속에서 해명(explication)하는 방편이 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기하학적 조형의 미적 혹은 조형적 가능성들을 구체적으로 모색해 보는 것이 이 연구가 추구하는 궁극의 목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하학적 조형이 사유적 추상의 방식으로 등장한 점에 착안하여 모더니즘 미술에 나타난 추상미술에 관한 쟁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탈 모던의 시대정신 속에서 변용된 기하학적 조형의 논점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 논의에서 특히 동시대미술에 나타나는 특수한 조형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모호성, 탈중심성, 상호텍스트성을 연구 작품의 분석틀로서 차용하였다. 이 같은 논의를 토대로 연구 작품에서 기하학적 조형의 전략과 효과를 분석하고 그 의미와 가능성을 해석함으로써 기하학적 조형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자 작품이 기하학적 조형요소를 통해 드러내고자 한 것은 표면효과로서의 가상적 환영(illusion)과 감성코드로서의 유희(play)이다. 환영과 유희의 속성은 고체성(solidity)으로 인지된 기하학적 조형과는 상반된 개념으로서, 이는 연구 작품에서의 기하학적 조형이 변형과 전복을 통해 유동적(floating) 속성이나 작동적(operational) 기능으로 재구조화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고체적인 기하학적 조형언어가 연구 작품을 통하여 부드러운 액체성(liquidity)으로 변용되는 과정과, 명사적인 실체 개념의 작품이 아닌 동사적인 작동적 개념을 수행하는 작품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즉, 이성적 코드로 고착화된 기하학적 조형의 의미형식을 탈고착화 시킴으로서 ‘재미를 통해 의미를 공유’하는 새로운 감성적 코드로 재맥락화하고자 했다.

이상의 논의에서 본 연구는 기하학적 조형이 모든 인간과 문화의 공통된 형태지각에 바탕을 둔 보편적 시각언어이기는 하지만, 또한 탈모던으로 지칭되는 동시대 문화코드의 하나로서는 반(anti) 순수주의 또는 반 정초주의의 속성을 가질 수도 있다는 점을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그것은 곧 모더니즘 미술에서 분리되었던 삶과 예술이 다시 통합할 수 있는 지점을 찾는 행위와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다.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