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아버지의 의사소통 방식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로 나누어 보았다. 자녀가 인식하는 아버지의 의사소통이 긍정적일 경우 자녀와의 대화시간도 길고 ... 첫째, 아버지의 의사소통 방식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로 나누어 보았다. 자녀가 인식하는 아버지의 의사소통이 긍정적일 경우 자녀와의 대화시간도 길고 친밀하며 자녀도 편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 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신의 이야기를 막지 않고 잘 들어주기 때문에 대화에 거리낌이 없고 고민이 생겨도 바로 이야기 할 수 있는 분위가 형성된다. 신체적인 접촉을 통해 자녀와의 친밀감을 형성하기도 하고 자녀가 사용하는 언어문화를 알아보고 이를 자녀와의 대화에 사용하기도 하여 친근한 관계를 유지하기도 한다. 이에 반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대화시간이 짧고 자녀는 대화를 피하기도 하고 대화가 이루어져도 자신의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고 인식했다. 쌍방향적으로 대화가 이루어지기 보다는 일방적이고 지시하며 가르치듯이 대화가 진행됐다. 자녀의 이야기를 듣기는 하지만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고 아버지가 원하는 방향으로 결론을 이끌려고 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자녀의 행복감을 알아본 결과 자녀들은 가족과 함께 여행을 가거나 외식을 하는 등 즐거운 기분으로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을 행복하다고 생각했다. 이때에는 아버지와의 부정적인 대화가 줄고 편안하고 일상적인 대화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게 됐다. 그리고 친구들과 함께 잘 어울려 놀 때, 하루의 일과를 마치고 쉴 수 있는 수면시간, 학업에 대한 부담감이 적은 금요일과 주말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자녀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친구관계, 학업성적,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의 측면에서 자녀가 느끼는 행복감을 살펴보았다. 청소년기는 친구들과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의 행복감에 친구관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친구들과 함께 공감하고 즐거움을 나누며 놀 수 있어 행복하다고 인식했다. 참여자들은 중학교, 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학업성적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으며 자신의 성적이 만족스럽지 않아 부정적 감정을 더 많이 가지게 되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며 어려워진 학업과정을 따라가지 못할까봐 걱정하고 있으며 공부를 잘 해서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면 행복해질 것 같다고 여겼다. 학교생활적응에서의 행복감을 보면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는데 친구들과의 관계가 원만하고 반의 분위기가 좋으며 선생님과의 관계도 대체적으로 무난하다고 여겼다. 반면 자기중심적인 담임선생님과 가식적이라고 느껴지는 친구들 때문에 적응하기 어렵고 행복하지 않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자아존중감에서의 행복감은 부정적인 감정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데 자신에게 실망스럽고 기대를 하지 않게 되며 자기비하를 하기도 했다. 학년이 높아지면서 다른 사람과 자기를 비교하며 잘난 부분이 없어서 자신감이 없고 해도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라고 생각했다. 반면 어려움은 모든 사람이 겪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이 헤쳐 나갈 부분이라고 생각하며 부정적인 면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다. 셋째,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자녀의 행복감을 살펴보면 아버지의 의사소통이 긍정적이라고 인식할 때 친근하고 편하며 자유롭게 말할 수 있어 행복하다고 여겼다. 자신의 이야기를 경청해 주고 공감해 주며 반언어적이고 비언어적인 측면에서 이것들이 나타날 때 긍정적인 감정을 느꼈다. 자신이 하는 일에 확신이 서지 않을 때 잘 할 수 있다는 지지적인 발언을 해주고 자녀가 자신의 재능을 어떻게 풀어 나가야할지 모를 때 방향을 제시해주면 자신감이 생겼다. 자녀의 장점을 구체적으로 말하며 표정과 언어적 표현이 잘 융합된 경우에 행복하고 느꼈다. 반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억울하고 화가 나며 대화를 피하고 싶다는 부정적인 감정이 생겨 행복하지 않다고 인식했다. 권위적으로 말하거나 타인과 비교를 하며 상황을 잘 알지 못하고 자녀를 나무랄 때 기분이 좋지 않다고 한다. 강압적이고 단정적인 말투를 사용하고 자녀의 이야기를 듣지 않고 일방적으로 대화를 진행할 때에도 행복하지 않다고 느꼈다. 또한 대화의 목적을 잘못 파악해서 공감적 듣기를 원하는 자녀에게 아버지가 문제해결 지향적 듣기를 한 경우에도 기분이 상한다고 한다.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은 자녀의 일상적 행복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먼저 학업성적에 대한 대화가 많아지고 이에 대한 부담도 증가하며 아버지와의 대화가 성적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다. 자녀의 학업에 대한 강한 불안에 아버지의 위로와 격려가 힘이 되고 아버지가 공부에 대한 부담을 주기 때문에 행복하지 않지만 성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방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아버지 때문에 엇나가게 되어 성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참여자들은 아버지와의 대화를 통해 책임감을 가지게 되고 성격이 밝아졌다고 인식하며 이런 사회적인 대응방식이 학교생활적응 측면에서 행복감을 유발했다. 아버지와의 대화로 형성된 가치관, 성격이 친구관계에도 영향을 주는데 아버지와의 대화가 원만한 경우에는 친구들과 어울리고 대화하는 것을 좋아했다. 그런데 아버지와 부정적인 대화를 하는 경우에는 자신을 공개하기 어려워하고 강압적이고 일방적인 대화를 하는 타인을 피하게 되었다. 아버지의 긍정적인 지지와 격려는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데 기여를 하고 있다. 또한 부정적이라도 아예 대화를 하지 않는 것보다 아버지와 대화를 하는 것이 자녀의 행복감을 높이는데 긍정적이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