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데이터를 가공하고 처리하는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되고 공연예술 작품이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재생산될 수 있는 원천자료로 간주되면서 공연예술자료는 지식정보자원 가운데에서도 ...
최근 데이터를 가공하고 처리하는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되고 공연예술 작품이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재생산될 수 있는 원천자료로 간주되면서 공연예술자료는 지식정보자원 가운데에서도 매우 부가가치가 높은 정보원으로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공연예술자료에 대한 분류와 기술체계가 아직 표준화되지 못하여 도서 이외의 공연예술자료들은 접근하기 어렵고 또 관리 소홀로 인해 전체적인 예술자료의 접근이 어려운 실정이다. 공연예술자료에의 접근의 불편함은 공연예술 검색사이트의 검색의 불편함으로 이어지고 있다. 공연예술 콘텐츠에 대한 효율적인 검색은 특화된 메타데이터를 근간으로 한 다양한 접근점을 제공할 때 이루어지므로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정보원의 특성을 표현해 주는 검색 접근점이 검색 인터페이스에 반영되어야 한다. 특히, 정보요구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는 정보검색 환경에서는 자유롭게 훑어보면서 원하는 자료를 파악하여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고 보고 다양한 정보요구의 다각적 조합 및 브라우징을 가능하게 하는 패싯 내비게이션 방식을 공연예술 콘텐츠 검색 인터페이스에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용자가 찾고자 하는 공연예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없더라도 공연예술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검색 할 수 있도록 패싯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공연예술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국내외 8개 사이트의 접근점 요소, 내비게이션 요소, 기술요소를 파악하여 현재 시스템의 특징 및 한계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 사이트 검색 인터페이스와 같이 제목, 저자, 주제, 키워드 검색만을 제공하고 있었고 내비게이션 요소도 장르, 유형 등 매우 제한적 이였다.
또한 공연예술 콘텐츠에 대한 정보추구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음악, 무용, 연극을 전공하는 대학교에 소속한 450명의 대학생에게 공연예술 콘텐츠의 이용행태와 검색행태 그리고 검색만족도 및 요구사항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검색 방식은 키워드 방식 외에 브라우징 방법을 매우 선호하였고 콘텐츠의 검색 요소는 제목키워드, 주제 키워드, 공연단체 이름, 출연진 이름을 주로 사용하였다. 선호하는 정렬기준은 공연예술분야, 자료유형, 인기도, 대상, 공연시기, 이벤트 테마, 언어, 공연장소로 나타났으며 검색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공연예술장르, 자료유형, 시기(날짜), 공연장소, 언어를 사용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문헌조사 및 사이트 분석과 이용자 정보검색 행태를 기반으로 하여 공연예술 콘텐츠 검색에 적합한 9개 패싯요소 즉, ‘공연예술장르’, ‘공연예술가’, ‘공연예술단체’, ‘자료유형’, ‘언어’, ‘주대상관객’, ‘이벤트’, ‘장소’, ‘시기’를 제안하였다. 공연예술장르에는 한국전통공연, 연극, 무용, 음악으로 분류하여 접근 할 수 있게 하였고 공연예술가에는 작곡가, 지휘가, 연출가 배우, 안무자, 감독, 창작자로, 공연예술단체는 공연예술장르를 따랐다. 자료유형은 텍스트, 음향, 동영상, 이미지로 브라우징이 가능하게 하였다.
제안된 9개 패싯요소가 검색될 수 있도록 공연예술 콘텐츠에 적합한 기술요소 27개를 선정하고 그 세부적인 특징을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시스템 환경을 구축하고 관계형 데이터페이스를 설계한 후 실험데이터를 업로드 하여 패싯 내비게이션 검색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공연예술 콘텐츠 시스템을 완성하였다. 마지막으로 12명의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구축된 검색 인터페이스의 시스템을 평가한 결과 본 연구에서 구축한 시스템이 이용자가 원하는 패싯을 제공하여 만족스러운 브라우징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정보조우가 가능한 인터페이스임을 증명하였다. 공연예술 도메인에서 패싯 내비게이션 검색 기법의 응용은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더 나아가 접근 및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