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중국 조선어판 신문과 잡지를 대상으로 한·중 수교 이전과 20년이 지난 최근의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재 중국 조선어의 어휘체계가 한국어와 어떤 동질화 과정을 겪고 있는지...
본고는 중국 조선어판 신문과 잡지를 대상으로 한·중 수교 이전과 20년이 지난 최근의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재 중국 조선어의 어휘체계가 한국어와 어떤 동질화 과정을 겪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런 연구 목적 아래 현재 중국 조선어에서 한국어와 형태와 의미, 용법이 동일한 어휘를 찾아 그 사용횟수를 확인하고 실제 사용 양상을 파악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줄곧 논의의 대상이 되어온 중국 조선어의 어휘규범화 작업에 도움을 줄 것이며 지금까지 한국어와 이질적으로만 파악되었던 중국 조선어의 실체를 밝히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제2장에서는 중국 조선어의 어휘 변화 과정 및 특징을 기술하였다. 중국 조선어의 형성 시기로부터 한·중 수교 이전까지의 어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조선어 어휘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한·중 수교 이후 한국어와 중국 조선어 어휘의 동질화 양상을 기술하였다.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어종별과 관용표현의 영역에서 총 628개의 어휘가 동질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유어와 한자어에서는 현재 한국어의 형태와 의미가 같은 새로운 어휘, 기존에 쓰임이 없거나 적었던 어휘들이 현재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부활한 어휘, 의미변화를 겪은 어휘로 나누어 살펴보고 외래어에서는 새로 생긴 어휘, 기존어휘와 유의관계에 있는 어휘, 표기가 바뀐 어휘로 분류하였다.
고유어의 경우 새로운 문물과 개념을 나타내는 어휘가 새로 생겼으며 방언의 차이로 쓰임이 달랐던 어휘가 한국어와 동일한 의미로 쓰이게 되었고 일부 어휘는 가치 향상의 변화가 있었다.
한자어의 경우 새로운 문물과 현상을 나타내는 3음절 파생어, 합성어가 대량으로 증가하였고 현대 한국어의 신어를 형성하는 한자 접두사가 출현하였으며 기존의 중국 한어 차용어, 방언, 일본계 한자어를 대체하였거나 경쟁하고 있다. 또한 일부 한자어들은 의미 확대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외래어의 경우 영어계 외래어가 대량으로 유입되었고 문법 형태의 차용과 문자 차용 형태가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한제 외래어도 많았다. 이러한 외래어들은 중국 조선어에서 고유어를 되살려 쓴 어휘와 중국 한어로부터 차용한 외래어를 대체하였거나 경쟁하고 있다. 외래어의 표기에 있어서도 기존의 모음, 자음, 무성파열음 등의 표기에서 변화가 일었고 심지어 기존 표기가 한국식 표기로 바뀌기도 하였다.
또한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의 실제 사용에 있어서 오용(誤用)과 과용(過用) 현상도 나타났다. 관용표현의 경우 해방 후 한국에서 만들어졌거나 최근에 유행하고 있는 관용어구와 유행어구가 대부분이었다.
제4장에서는 한·중 수교 이후 한국어와 중국 조선어의 동질화 요인을 사회학적인 측면과 사회언어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는데 하나는 사회변동으로 인한 언어접촉의 요인, 다른 하나는 ‘위신(Prestige)’ 표지에 따른 요인이다.
제5장에서는 이상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고 미진했던 부분에 대해 짚어 보았다.
본고에서는 중국 조선어의 어휘 변화 양상을 체계적으로 살폈기에 개별 어휘들의 특징까지 일일이 모두 기술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각 어휘들의 유입경로와 중국 조선어에서 이질적으로 쓰이게 된 원인을 전부 파악하지 못하였다. 또한 동질화된 어휘들의 현재 사용빈도를 추산함에 있어서 정확성의 한계도 있었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